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4/01 16:41:29
Name MelOng
Link #1 https://m.boannews.com/html/detail.html?idx=128350
Subject [일반] XZ Utils(데이터 압축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초고위험 취약점 발생에 따른 주의
2024년 3월 29일, 개발자와 시스템 관리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압축 도구인 xz-utils에서 백도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리눅스와 macOS 시스템에서 흔히 사용되며, 소프트웨어 패키지, 커널 이미지 등을 압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발견된 백도어는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만 활성화되며, 원격에서 비권한 시스템이 공개 SSH 포트에 연결할 때 트리거될 수 있습니다. 이는 성능 문제를 일으키고, 더 깊은 분석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영향을 받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 glibc를 사용하는 배포판
- xz 또는 liblzma의 버전 5.6.0 또는 5.6.1을 설치한 시스템

주로 systemd와 패치된 openssh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다른 구성에서도 취약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의 시스템이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sshd를 운영하고 있다면, 취약성에 대응하기 위해 즉시 시스템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도어는 빌드 과정에서 악의적인 테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스 코드에 삽입되며, glibc의 IFUNC 메커니즘을 이용해 OpenSSH의 인증 루틴을 우회합니다. 이는 정상적인 사용을 위한 도구이지만, 이 경우 공격 경로로 악용되었습니다.

백도어가 활성화되면, /usr/sbin/sshd 프로세스 이름을 가진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대해 페이로드가 활성화됩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으며, 페이로드가 의도하는 바는 아직 분석 중입니다.

조치 방법:

- 취약한 버전의 xz-utils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가능한 한 빨리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 공식 웹사이트나 신뢰할 수 있는 소스를 통해 패치를 적용하십시오.
- 시스템 보안 팀이나 커뮤니티의 지침을 따르고, 추가적인 취약점에 대비하여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합니다.
- 취약 버전 확인 방법: strings `which xz` | grep '5.6.[01]'XZ Utils 다운그레이드: 5.6.1 이하 버전

리눅스 및 맥 사용자, 개발자 라면 필히 패치(대표적으로 [brew]) 해야 합니다.

[10 점으로 최고 위협 등급]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스타
24/04/01 16:46
수정 아이콘
오픈소스 진영에서 한동안 난리일 것 같습니다. 몇몇은 그동안의 커밋 전부 뜯어보고 있던데 말이죠.
그찮아도 이거 때문에 그저께인가 서버 한번 들었다 놔봤는데, Debian stable까진 영향이 미치기 전이라 괜찮더라고요.
Paranormal
24/04/01 17:08
수정 아이콘
와우 한동안 난리겠네요
24/04/01 17:09
수정 아이콘
제 맥에도 깔려있네요.
홈브루에서도 빠르게 조치를 했는지 업데이트 하니까 5.6.1에서 5.4.6으로 알아서 다운그레이드를 합니다
푸헐헐
24/04/01 17:15
수정 아이콘
이럴 땐 서버 버전을 천천히 가는게 좋군요
Ubuntu 22.04 LTS 로 가는데 xz와 liblzma 버전이 5.2.5 네요
데로롱
24/04/01 17:53
수정 아이콘
저두요 크크 내년쯤 되면 슬슬 업데이트를 해야할터인데..
세크리
24/04/01 20:53
수정 아이콘
저도 업글 귀찮아서 LTS만 쓰니까 제 시스템은 좋네요. 그리고 서버는 대부분 어차피 더 보수적이라 (CentOS 나 Debian이 대부분이죠).
24/04/01 17:42
수정 아이콘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분은 아래 링크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gist.github.com/thesamesam/223949d5a074ebc3dce9ee78baad9e27
24/04/01 18:04
수정 아이콘
BTW I use Arch
24/04/01 18:14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페이로드 분석이 불가능한게 rsa 암호로 특정 공개키로 공격 페이로드를 복호화해서 실행하기 때문에 정확히 뭘 노렸는지 알기도 어렵다합니다.
이오니
24/04/01 20:35
수정 아이콘
EOL 지난 OS가 아직 돌고 있어서 다행이다(?)
[살려주세요]
퀀텀리프
24/04/01 23:46
수정 아이콘
물리적인 망분리를 할수 밖에 없는 이유군요.
Regentag
24/04/03 11:15
수정 아이콘
공격에 대한 전체 타임라인이 공개되었습니다.
https://news.hada.io/topic?id=14122

백도어를 심는 기술적 공격에 앞서서 코드 수정권한을 얻기위한 정밀한 사회공학적 공격이 있었네요.
24/04/03 20:04
수정 아이콘
오픈소스가 위축 될까 걱정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518 [일반] 에어 인디아 171편 추락 사고의 예비 조사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6] nearby7261 25/07/12 7261 4
104517 [일반] [책 나눔 이벤트] 생애 첫 펀딩을 해보았습니다. - 당첨자 발표 [20] Fig.14592 25/07/12 4592 6
104516 [일반] [스포있음] 최근 읽은 로판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 3선 - 메리 사이코, 악녀는 두 번 산다, 에보니 [19] Nybbas4578 25/07/12 4578 4
104515 [일반] 300년 안에 인류의 99퍼센트가 사라질 것이다 [61] 식별11071 25/07/12 11071 12
104514 [정치] 심심해서 혼자 만든 영화의 마지막 장면 [7] lux7744 25/07/11 7744 0
104513 [정치] 국힘, 특검 '임종득 압수수색'에 "정치 보복·야당 탄압" 반발(종합) [71] Crochen12855 25/07/11 12855 0
104512 [일반] 마을버스에서 있었던 작은 해프닝과 좋게좋게 마무리한 썰.. [5] 李昇玗6357 25/07/11 6357 15
104511 [일반] [강스포] 오징어게임3가 아쉬운 이유 [18] 페이커756275 25/07/11 6275 3
104510 [일반] 기후변화로 인한 바닷물 양의 증가와 지진의 관련 [14] 다크드래곤6468 25/07/11 6468 4
104509 [정치] 이재명 대통령 간담회 실언 해프닝 [369] 짭뇨띠19208 25/07/11 19208 0
104508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20(끝) [25] Poe4416 25/07/11 4416 70
104507 [일반] [서평]그들의 감정은 왜 다가오지 않는가: 《도둑맞은 교회》와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 계층방정3937 25/07/11 3937 4
104506 [일반] AI 보이스챗 난민의 Character.AI 정착기 [14] 깃털달린뱀4586 25/07/11 4586 3
104505 [정치] 내년 최저임금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17년만 합의로 결정 [38] 철판닭갈비8434 25/07/11 8434 0
104504 [정치] 민주노총 용공 논란은 민주노총이 자초한 측면도 있다고 봅니다. [34] petrus8840 25/07/11 8840 0
104503 [정치] 내란옹호 세력을 싹쓸이하려면 차별금지법이 필요합니다 [88] 코로나시즌9523 25/07/10 9523 0
104502 [정치] 국힘, 尹 재구속 날 ‘계엄·탄핵’ 사죄문 발표…사실상 ‘완전결별’ 선언 [108] 카린12944 25/07/10 12944 0
104501 [정치] 대선 이후 이대남 관련 글 중에서 읽어볼 만 하다고 생각했던 페북 글. [305] petrus15421 25/07/10 15421 0
104500 [정치] 정치적 소신과 의견의 교환 [261] 烏鳳13412 25/07/10 13412 0
104499 [일반] 일본방송의 아날로그 사랑 [22] 無欲則剛7123 25/07/10 7123 5
104498 [정치] 조은희 "내란특별법은 정치 보복…국힘도 계엄 피해자" [116] 전기쥐12691 25/07/10 12691 0
104497 [일반] 아무래도 x됐다. 번뜩 든 생각이었다. [21] 아기돼지7191 25/07/10 7191 2
104496 [정치] 정부, '전시작전권 환수' 협상 카드로 검토 [137] 시린비10232 25/07/10 1023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