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3/26 23:35:35
Name Leeka
Subject [일반] 미국 볼티모어 다리 붕괴



미국에서 속보로 계속 보도중인 대형사고로

새벽 1시에 화물선이 볼티모어 다리를 들이박으면서
저 거대한 다리가 붕괴되고
위에 달리던 차량들과
다리를 정비하던 사람들이 그대로 추락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그나마 새벽 1시라 다리위에 차량이 적어서 피해가 적었다고 하네요..

이게 참 무슨일인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tarscream
24/03/26 23:41
수정 아이콘
새벽이라 구조가 어려웠을텐데 또 한편으론 러시아워가 아니여서 다행이다 싶기도 하고.....
많은 배들이 다니는 항로이고 시야가 확보 안될 악천후도 아닌데 어쩌다가 저런 사고가 참.....
어제내린비
24/03/26 23:46
수정 아이콘
영상으로 봤더니 충돌 조금전에 배에 불이 다 꺼지는 상황이 2회 있더라고요.
배에 무슨 문제가 있었나봐요.

https://x.com/NodrogyerrT/status/1772555975427281055?s=20
24/03/26 23:48
수정 아이콘
사이버공격이라는 설도
파르셀
24/03/27 00:31
수정 아이콘
저 사고 보자마자 광안대교가 떠오르면서 부산은 운이 좋았다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애플프리터
24/03/27 01:42
수정 아이콘
만든지 10년밖에 안된 새 배이고, 한국에서 제조했네요. 튼튼한건 증명했고,
기계적 결함이 의심된다는데... 사고원인이 정확히 뭔가가 중요하겠네요.
Starscream
24/03/27 09:20
수정 아이콘
여기서 튼튼하다는게 상관이 있나요....
애플프리터
24/03/27 13:31
수정 아이콘
사고 후 서있는 영상을 자세히 보면, 배 앞부분이 살짝 찌그러진 것처럼 보입니다.
Starscream
24/03/27 13:37
수정 아이콘
제 말은 저런 대형 선박이 다리와 충돌함에 있어서 선박쪽이 튼튼하지 못해서 어찌될 일은 없지않나?입니다.
튼튼하던 말던 다리가 붕괴됐을것이고 애초에 튼튼하지 않으면 다리와 충돌이 아니고 컨테이너를 만개씩 적재하고 항행할수가 없을테니.
24/03/27 03:42
수정 아이콘
저 사고 보고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가 떠오르는....
하아아아암
24/03/27 07:25
수정 아이콘
배에 문제가 있어서 동력상실했고, 충돌 전 구조신호 보내서 당국이 대응할 시간이 있긴 했었나보군요.
24/03/27 07:58
수정 아이콘
아침에 뉴스 봤는데 미리 조난 신호를 해서 통과하는 차량 같은건 막았었고
작업자들 피신을 못시켜서 그 작업자들이 변을 당한거더군요.
엄청난 참사가 날수도 있었는데 그래도 잘 대처한 느낌....
덴드로븀
24/03/27 09:39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90763
[다리 붕괴로 폐쇄된 볼티모어항은 美 최대 자동차 수출입 관문(종합)] 2024.03.27.
사고 교량, 동부 주요교통로…美 國歌 작사한 '프랜시스 스콧 키' 이름따 명명
머스크 화물 실은 싱가포르 국적 선박이 충돌…2015년 현대중공업 건조

Francis Scott Key Bridge : 1977년 개통, 약 2.6km
raindraw
24/03/27 09:41
수정 아이콘
배에 문제가 생긴 원인이 제일 중요할 것 같네요.
매번같은
24/03/27 11:44
수정 아이콘
어제 밤에 기사보고 도대체 뭔 일이지 싶었는데 아침에 추가 기사를 보니 오히려 선박측이 대처를 잘한 상황이더군요.
배 조타를 못하는 상황이 되버리는 바람에 바로 메이데이 신호 뿌리고, 그걸 받은 관리업체 측에서 다리 교통 통제를 했다고. 그래도 다리 위에서 공사하던 8명의 인부 중 6명이 실종되는건 막을 수 없었는데, 빠른 대처가 아니었다면 수십 수백명의 사망자가 나올 수도 있는 상황이었겠죠. 그나마 천만 다행.
24/03/27 12:02
수정 아이콘
1차 블랙아웃 후 복구하는 속도를 보니 기관부는 실력이 있는건 맞는데 왜 2차 블랙아웃이 왔는지를 모르겠네요;;;
복구되었다는 소리는 비상발전기가 돌아간다는 소린데 왜 2차 블랙아웃이 왔는지를 모르겠습니다;;;;
(1만티유 선박이니 발전기가 4대일꺼고, 그게 일괄로 나가는 상황도 드문 상황에 비상발전기도 돌아갔을텐데;;;)
마텐자이트
24/03/27 20:22
수정 아이콘
선박내부 부하증설이 많이 되어서 비상발전기 용량으로 감당이 안됐을 수 있습니다.
호머심슨
24/03/28 08:09
수정 아이콘
교통통제가 이루어져서 사상자가 안날수도 있었는데 하필 교량보수작업하던 분들이 있었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455 [일반] 인체공학을 염두에 둔 내 pc용 책상 세팅(1) [36] Kaestro6923 24/05/12 6923 3
101454 [일반]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12) 시흥은 왜 열두 지자체로 나뉘었을까 [3] 계층방정9661 24/05/12 9661 14
101452 [일반] [팝송] 코난 그레이 새 앨범 "Found Heaven" 김치찌개2657 24/05/12 2657 0
101451 [일반] 칼성비(칼로리 설능비)의 시대 [17] pecotek6670 24/05/11 6670 3
101450 [일반] 학령인구 감소가 동네 문구점에 미치는 영향 [21] Croove9578 24/05/11 9578 11
101449 [일반] 문구점 근무중 겪은 빌런 올림픽 "은메달"편 3/3 [26] Croove7416 24/05/11 7416 24
101448 [일반] 왜 일러스트의 유방 크기가 커지고 있을까 [57] 사부작11260 24/05/11 11260 11
101447 [일반] 경력직 이직 후 느낀 점들 [33] Garnett2111692 24/05/10 11692 14
101446 [일반] 카니발 하이브리드 하이리무진 12일차 후기! [17] 아이유IU7094 24/05/10 7094 6
101445 [일반] 대한민국 라면 역사가 바뀐 오늘 [62] 핑크솔져10137 24/05/10 10137 4
101444 [일반] [음악에세이] 국힙 원탑 민희진의 정동의 힘 [12] 두괴즐5919 24/05/10 5919 21
101443 [일반] 타지역 분들께 소개하는 대전의 명물 성심당 [74] 겨울삼각형9255 24/05/10 9255 11
101442 [정치] 입시경쟁 과열, 저출산, 수도권 집중의 원인 : 대기업 일자리 부족 [25] 사람되고싶다4749 24/05/10 4749 0
101441 [일반] 엔비디아 파트너 만리, 녹아버린 RTX 4090에 대한 RMA 요청 거부, 사용자 과실 주장 [12] SAS Tony Parker 5785 24/05/10 5785 1
101440 [일반] [개똥글/스포] 만화 원피스에서 흰수염은 왜 그토록 에이스를 지키려 했을까? [30] TAEYEON7372 24/05/09 7372 0
101439 [정치] 윤석열 취임 2주년 기자회견. 특검은 거부. 대일본 굴종 굴욕외교. [96] Crochen9498 24/05/09 9498 0
101438 [일반] 국립 과천과학관 남자 화장실 관련 민원을 넣었던 후기 [19] 설탕가루인형형10442 24/05/09 10442 27
101437 [일반] 남자화장실을 침략당했습니다 [104] 학교를 계속 짓자14447 24/05/09 14447 34
101436 [일반] 뻘글) 한국의 과도한 경쟁의 기반? [51] moqq7485 24/05/09 7485 4
101435 [일반] 만화를 볼 때 이 만화가 대단해 수상작만 골라도 만족도가 높네요. +최근 본 만화책 감상 [31] 그때가언제라도9118 24/05/09 9118 2
101434 [일반] 기자들이 코로나19 백신을 가지고 장난을 치나 봅니다. [84] 아우구스투스12410 24/05/09 12410 12
101433 [일반] 마카오에서 만난 아저씨 이야기. [18] 가위바위보5745 24/05/09 5745 26
101432 [일반] 김미영 팀장에게 당하지 않는 법 - 수법과 대응방법 [16] 이선화5840 24/05/08 5840 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