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3/17 15:33:27
Name 니드호그
Subject [일반] meson님이 올려주신 연개소문의 승첩에 대한 글을 보니 떠오른 기억이 있습니다. (수정됨)
PGR21은 자주 방문해서 글을 읽었지만, 회원 가입을 하고 처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지난 2개월간, 회원 등급이 상승한 후 어떤 글을 쓸지 이런 저런 생각을 했는데, 마침 meson님이 올려주신 글을 보고 떠오른 기억에 대해 간단히 쓰기로 했습니다.

제가 어린 시절, 아마 1989~90년 사이의 당시 국민학교 입학 전후의 언젠가이지 않을까 싶은데, 친척 집에서 아동용 교양 서적을 받아왔습니다. 상당히 오랜 시간 소장하면서 즐겁게 읽었던 책이었는데, 초등학교 졸업할 무렵에는 몇번의 이사 과정에서 폐기했는지, 더 이상 집에선 볼 수 없었습니다. 이름도 정확히 기억하지 못했기에 인터넷 시대가 되고나서도 정보를 찾기가 쉽지 않기도 했습니다.

이런 저런 조사 끝에 알아냈던 책 이름은 바로 지능계발 천재학습 시리즈였습니다. 그런데 그 중, 정확하지 않고 애매하지만, 상당히 인상 깊어서 기억에 남아있던 페이지가 있었습니다.

(요즘에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소장 중인 책들에 대해서 직접 가지 않더라도 집 근처의 협약도서관에서 디지털 자료를 열람할 수 있더군요. 자주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 기억에 남아있던 이미지는 이런 이미지였습니다. 책 자체는 더 이상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다른 책들을 통해서 알게 된 사실들을 통해서 내용은 대충 예상할 수 있었습니다.

을지문덕 장군 - 살수대첩은 기억에 남아있었고, 권율장군 - 행주대첩도 상식에 속하는 대첩이고요. 이순신 장군은 대첩만 3개여서 어떤건지 애매했지만….

그런데 그 중 한 명, 연개소문 장군의 대첩이 대체 뭔지를 모르겠더군요. 다른 역사책들을 접해보아도 살수대첩, 안시성싸움, 고구려 멸망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한 책들이 많았지만, 연개소문의 대첩에 대해 다룬 책은 찾아보기가 힘들었습니다. 한국사 3대첩, 임진왜란 3대첩은 유명했지만, 연개소문이 거둔 대첩이 대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가 없었습니다. 90년말, 20년대 초의 인터넷 시대가 되고 나서 검색해봐도 별로 나오는게 없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2015년 즈음 되어서,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 자료에 대해서 알고나서 비로소 이 책을 다시 한번 보고 나서 알 수 있었습니다. 


이게 본래 페이지였고, 비로서 연개소문이 거둔 승리의 이름, 패수 대첩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다만 패수 대첩이란 단어는 요즘엔 거의 안 쓰이는 모양이긴 합니다만. (나무위키에는 사수 전투라는 이름으로 있더군요.)
다만 알고있는 건 이름뿐이고, 살수대첩, 안시성싸움에 비하면 구체적인 내용은 전혀 몰랐기에, meson님이 올려주신 글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AS Tony Parker
24/03/17 15:53
수정 아이콘
대학 동기가 중앙도서관 사서로 근무중입니다 잘 쓰신다니 반갑네요 흐흐 고구려 사료는 북한에 많을텐데 못 보니 많이 아쉽습니다
24/03/17 17:5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사수에서만 싸운 게 아니니) 패수 대첩이라는 명칭이 더 적절해 보이긴 합니다. 물론 패수에서는 다른 전투도 좀 많았어서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950 [일반] <플로우> - 선의와 경이. (노스포) [8] aDayInTheLife6201 25/03/22 6201 2
103949 [일반] 20일 발표된 2024년 대한민국 혼인, 이혼 통계 [34] 아롱이다롱이12676 25/03/22 12676 2
103948 [일반] 파스타 가성비템 [21] 데갠10461 25/03/22 10461 9
103947 [일반] [AI 음성 합성 엔진] 친애하는 처음의 너에게(feat. Lua) by 상록수 [7] 카페알파8781 25/03/22 8781 1
103946 [일반] [테슬라] 제무제표에 약 14억 달러가 누락되었다는 보도가 있습니다(아직은 의혹 제기) [47] 타츠야11193 25/03/22 11193 2
103945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86. 낮 오(午)에서 파생된 한자들 [8] 계층방정3984 25/03/21 3984 6
103944 [일반] 노년층, 장기요양보험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46] 푸끆이7292 25/03/21 7292 8
103943 [일반] 미래세대는 우리를 감당할 수 있을까?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201] 여왕의심복14523 25/03/21 14523 67
103942 [일반] 빚을 낼 곳이 없어 침체 중인 대한민국 경제 [200] 깃털달린뱀16518 25/03/21 16518 21
103941 [일반] 세계의 10대 강 [26] VictoryFood9187 25/03/21 9187 6
103940 [일반] 넷플릭스 [소년의 시간] 강추합니다.(스포일러 있음) [12] 뉴민희진스8397 25/03/20 8397 1
103939 [일반] 요절복통 국장 근황 [63] 된장까스13947 25/03/20 13947 0
103938 [일반] 아이의 두 돌이 지났습니다. 매일 리즈 갱신 중입니다. [69] 보리차8753 25/03/20 8753 28
103937 [일반] 2021년 OECD 교통사고 사망자 통계.jpg [77] VictoryFood11285 25/03/20 11285 2
103936 [일반] 한국기업 배당성향 주요국 중 1위! [37] 깃털달린뱀10203 25/03/19 10203 2
103935 [일반] 넷플릭스 <소년의 시간> 후기(노스포) [9] 라이징패스트볼6930 25/03/19 6930 5
103934 [일반] 백설공주 감상: 자스민을 이렇게 만들었어야지 [28] 술라8788 25/03/19 8788 4
103933 수정잠금 댓글잠금 [일반] 서울대 의대 교수진들이 미복귀 전공의, 의대생들에 비판 성명을 냈습니다 [529] T10024527 25/03/19 24527 45
103932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85. 별 진/때 신(辰)에서 파생된 한자 [8] 계층방정4707 25/03/18 4707 6
103931 [일반] 죽느니 점령당하겠다는 독일 청년들 [74] Lz12971 25/03/18 12971 3
103930 [일반] 짜장면의 원형은 베이징에서 이미 탄생했다. 제물포가 아니라.(관련도서 有) [37] 아스라이11974 25/03/17 11974 7
103929 [일반] 대구 2호선 역세권 대형교회 출석 만 4년차 후기(중소-대형 이동) [26] SAS Tony Parker 11017 25/03/17 11017 1
103928 [일반] <에밀리아 페레즈> - 힘을 받지 못하는 이야기.(노스포) [10] aDayInTheLife7814 25/03/16 781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