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3/09 10:54:09
Name 빵pro점쟁이
Subject [일반] 드래곤볼의 시대를 살다

저는 드래곤볼이 한창 연재되던 시기에 학창시절을 보냈습니다

친구들과 에네르기파 원기옥 놀이를 하며 놀았었고
집에서 드래곤볼 게임만 주구장창 했었고
하굣길에 다음권 나왔나 매일 확인했었고(500원 해적판 시절ㅠㅠ 죄송합니다)
문방구에서 100원으로 뽑는 카드를 모았었습니다

중학교, 고등학교 올라갔어도
매주마다 IQ점프 나오는 날이 가장 행복한 날이었습니다
달랑 몇페이지짜리 짧은 이야기 연재였는데도요

역대급 전개였던 나메크성 프리저전, 오공들이 전멸한 미래에서 온 소년,
인조인간들과 셀 숨바꼭질, 마인 부우를 쓰러트리기 위해 전인류가 모았던 원기옥을
실시간 연재로 보았습니다

드래곤볼 보며 그 시기를 보냈던 제 또래 세대들은 모두 인정할 겁니다
정말 재밌고 좋은 작품들 많았었지만
순수 연재 시기의 드래곤볼은 그 어떤 만화가 와도 비비지 못함을요

수십년이 지났고 수많은 만화를 봤지만
제게는 언제나 드래곤볼이 최고의 만화였습니다


고맙습니다 조산명 선생님 편히 쉬세요
드래곤볼 연재 시기를 실시간으로 누렸던 행운, 평생 추억으로 간직할게요

저는 드래곤볼의 시대를 살아서 행복했었고
앞으로도 드래곤볼의 시대를 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3/09 13:03
수정 아이콘
저작권 개념이 부족하던 시절이라 짝퉁봤던 기억도 나네요
신룡의 비밀. 드라곤의 신비 등등..
24/03/09 13:58
수정 아이콘
저도 매주 점프 나오길 기다린 기억이..ㅠㅠ
24/03/09 15:38
수정 아이콘
학교에 점프 가져오는 친구들이 인기 폭발이었죠.
드래곤볼은 소책자같은 부록형식이었어서 돌려보기도 좋았고요..
바다코끼리
24/03/09 16:59
수정 아이콘
아이큐점프 특별선물로 스카우터 준다고 했을 때 진짜 스카우터 주는 줄 알고 2주를 2년처럼 기다렸었죠
캡틴백호랑이
24/03/09 17:15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 드래곤볼을 비디오로 빌려봤던 기억이 있네요ㅜ
방구차야
24/03/09 18:42
수정 아이콘
그전까지 일본만화는 왜색문화 통제정책으로 한국인 작가이름과 제목의 단행본으로 다시 그려서 출간되던게 일반적이었죠. 용소야(성운아), 권법소년(전성기)등.. 이분들은 어떤 분들이길래 이렇게 재밌는 만화를 이렇게 많이 그릴수가 있나 의아했던때였습니다...
90년대 중반에 아이큐점프 별책부록으로 드래곤볼이 나오던게 일본만화 공식수입의 시작이었고, 다 아시다시피 손바닥만한 500원짜리 해적판으로 비슷하게 인기끌던 일본만화들이 대거 유입되었고요. 란마1/2,닥터슬럼프,공작왕 등.... 드래곤볼도 아이큐점프의 정식출간보다 해적판이 다음 내용을 더 빠르게 전해주면서 , 드래곤볼 보려고 아이큐점프 사는 수요는 줄어들게 되고, 이후에 빨간색 표지에 더 얇고 큰 책자로 바뀌어 일본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맞춰 출간되는걸로 바뀌었을겁니다.(아마 쎌 나오는 시점이었을겁니다) 다른 만화들도 해적판이 아닌 정식단행본으로 출간되고, 드래곤볼의 뒤를 이은 대작은 슬램덩크였죠.
24/03/09 18:47
수정 아이콘
초등학교(국민) 1학년때 드래곤볼 딱지를 모아서 밑에서 불어서 파~ 소리 내면서 넘어가는걸 가져가는 놀이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 다져진 폐활량(?)으로 아직 건강하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고마웠습니다. 조산명 센세! 편히 쉬세요.
24/03/09 19:33
수정 아이콘
제가 40대인데 어릴때 친구들중에 에네르기파, 원기옥, 태양권등등 안하는 친구들이 없었습니다.
조산명선생님 덕분에 어릴때 너무 즐거웠어요..
노래하는몽상가
24/03/09 21:02
수정 아이콘
삼국지만큼은 안되더라도
지금 세대 다음 세대 몇 세대에까지
이어지는 전설로 남지 않을까요?
주말에 정주행 하렵니다.
기도비닉
24/03/09 23:52
수정 아이콘
부록에 같이 붙어있던 소년타자 왕종훈은
제눈엔 진짜 드럽게 재미없었는데

채 20페이지 될까말까한 드래곤볼은
경전 읽듯이 눌러읽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519 [일반] 군림천하 웹툰. [48] 진산월(陳山月)9270 25/07/12 9270 1
104518 [일반] 에어 인디아 171편 추락 사고의 예비 조사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6] nearby7325 25/07/12 7325 4
104517 [일반] [책 나눔 이벤트] 생애 첫 펀딩을 해보았습니다. - 당첨자 발표 [20] Fig.14649 25/07/12 4649 6
104516 [일반] [스포있음] 최근 읽은 로판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 3선 - 메리 사이코, 악녀는 두 번 산다, 에보니 [19] Nybbas4663 25/07/12 4663 4
104515 [일반] 300년 안에 인류의 99퍼센트가 사라질 것이다 [61] 식별11139 25/07/12 11139 12
104514 [정치] 심심해서 혼자 만든 영화의 마지막 장면 [7] lux7825 25/07/11 7825 0
104513 [정치] 국힘, 특검 '임종득 압수수색'에 "정치 보복·야당 탄압" 반발(종합) [71] Crochen13001 25/07/11 13001 0
104512 [일반] 마을버스에서 있었던 작은 해프닝과 좋게좋게 마무리한 썰.. [5] 李昇玗6420 25/07/11 6420 15
104511 [일반] [강스포] 오징어게임3가 아쉬운 이유 [18] 페이커756362 25/07/11 6362 3
104510 [일반] 기후변화로 인한 바닷물 양의 증가와 지진의 관련 [14] 다크드래곤6533 25/07/11 6533 4
104509 [정치] 이재명 대통령 간담회 실언 해프닝 [369] 짭뇨띠19383 25/07/11 19383 0
104508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20(끝) [25] Poe4497 25/07/11 4497 70
104507 [일반] [서평]그들의 감정은 왜 다가오지 않는가: 《도둑맞은 교회》와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 계층방정4017 25/07/11 4017 4
104506 [일반] AI 보이스챗 난민의 Character.AI 정착기 [14] 깃털달린뱀4648 25/07/11 4648 3
104505 [정치] 내년 최저임금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17년만 합의로 결정 [38] 철판닭갈비8499 25/07/11 8499 0
104504 [정치] 민주노총 용공 논란은 민주노총이 자초한 측면도 있다고 봅니다. [34] petrus8968 25/07/11 8968 0
104503 [정치] 내란옹호 세력을 싹쓸이하려면 차별금지법이 필요합니다 [88] 코로나시즌9619 25/07/10 9619 0
104502 [정치] 국힘, 尹 재구속 날 ‘계엄·탄핵’ 사죄문 발표…사실상 ‘완전결별’ 선언 [108] 카린13016 25/07/10 13016 0
104501 [정치] 대선 이후 이대남 관련 글 중에서 읽어볼 만 하다고 생각했던 페북 글. [305] petrus15581 25/07/10 15581 0
104500 [정치] 정치적 소신과 의견의 교환 [261] 烏鳳13582 25/07/10 13582 0
104499 [일반] 일본방송의 아날로그 사랑 [22] 無欲則剛7197 25/07/10 7197 5
104498 [정치] 조은희 "내란특별법은 정치 보복…국힘도 계엄 피해자" [116] 전기쥐12783 25/07/10 12783 0
104497 [일반] 아무래도 x됐다. 번뜩 든 생각이었다. [21] 아기돼지7271 25/07/10 727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