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1/13 10:22:13
Name 판을흔들어라
File #1 나는왜생각이많을까1.jpg (2.94 MB), Download : 13
File #2 나는왜생각이많을까2.jpg (2.94 MB), Download : 5
Subject [일반] [독후감]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저는 왜 생각이 많을까요?

재작년 친구와 서점을 둘러보다 제목을 보고 바로 빵 터졌습니다.

정말 제목에 공감을 많이 했거든요.
3,000원 조금 넘는 프레피 만년필과 1500원 짜리 제트스트림 펜과 심을 을 인터넷에서 주문할 때
네이버 쇼핑과 옥션, G마켓을 왔다갔다 하면서 가격 비교를 하고 있지 않나,
마트가서 노래방 매운 새우깡 가격을 네이버에 쳐보면서 싼지 비교를 하고 있지 않나,
막상 무언가를 사러 가서도 거기서도 고민을 하거나,
저녁을 어떻게 먹을까 고민하다가(살찌겠지? 다음에 먹을까? 술을 마실까? 말까? 등등) 시간만 30분을 넘기지 않나

내가 대체 왜 이러지 하면서도 생각을 멈출 수 없어 괴로워하고 있었으니까요
그래서 읽어보았습니다.


스포 없는 독후감

책은 정말 읽기도 쉽고 분량도 그리 많지가 않습니다.
대다수가 2~3쪽이며 글씨도 크고 그림도 있어서
정말 빨리 읽는 분이시라면 간단한 한 챕터당 2~3분도 가능할 정도입니다.
그래서 책 가격이 비싸 보입니다.(제가 산 거 정가가 13,800원)

모든 내용이 연구 결과에 기초를 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이러저러하면 좋을 것이다가 아니라
이러한 연구 결과와 실험결과에 따르면
커피를 마신 사람보다 계단오르기 운동을 한 사람들이 집중력이 높아졌다거나
중고차 구매 실험에서 시간을 조금 주고 정보의 양을 적게 준 사람들이 좋은 중고차를 골랐다거나
하는 예시를 들어 줍니다.

그냥 가볍게 잠깐 잠깐씩 읽기 좋으며
한 번 읽어서 기억이 안 날테니 생각날 때마다
가끔씩 읽는 게 좋은 책 같습니다.



스포 있는 독후감

스토리가 없어서 스포 있는 독후감이 무슨 소용이 있나 생각이 들긴 합니다.
최근 김익한 교수님의 기록법 관련 영상을 봐서 요약 하면서 읽었습니다.(그러나 방금 전에 읽은 것도 기억 안나는 저...)
그에 관하여 요약을 하자면

1장: 사람을 애초에 불안해 하는데 상상한 불안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일의 우선순위를 정해 그거부터 집중하자
2장: 사람은 비교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정보량이 많으면 비교하게 되어 줄이는 게 좋으며 빨리 결정하자
3장: 어쩔 수 없이 느끼는 안 좋은 뉴스, 다른 사람의 부정적인 태도, 떨리는 불안은 시간을 두고 다른 간단한 작업을 통해 이성적 사고가 올라올 시간을 벌자
4장: 뇌는 집중을 잘 못해서 약간의 소음과 생각 안해도 되는 동작, 멍때리기가 뇌의 힘을 분산시켜 좋으며, 새로운 동작은 직전을 잊게한다.
5장: 행복하려면 대인관계가 좋아야  하고 그러려면 미소와 같은 긍정적 태도를 가지며 웃긴걸 보고 웃으려 하고 경청하자
6장: 행복감은 다양한 감정에서 오는데 불안과 갈등 상황에선 객관적으로 '그렇구나'라며 자신의 감정을 바라보고 몸을 움직여 뇌를 활성화하자
7장:  스트레스나 집중력 저하일 땐 계단오르기 등의 움직임이나 양치질 노래, 귀여운 고양이와 강아지 사진 보기 그리고 자연과 가까이 하기

였습니다.

읽으면서도 느끼는 게 중복된다는 느낌을 받는데 똑같은 소리를 또하네의 느낌보다는
핵심적인 것들이 이런 게 아닌가 하는 느낌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것 중에 불교에서 불끄는 법일 말한 부처님의 가르침(장작 넣지 마라)이나 손자병법이나 '진인사대천명'이라는 말이나 거진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라는 내용인데 이 책에서도 '자기 자신에게 집중'이란 내용이 나왔습니다. 이처럼 뭔가 수렴되는 느낌이고
아무래도 현실에서 쉽게 할 수 있는 행동들을 제안하는 지라 실제로 제가 하고 있는 것들(주변 공원 산책 등)이 있어
'어, 이거 나 하고 있는데'라고 느꼈습니다.

사실 두 번째 읽고 쓰는 독후감인데 거의 새로웠습니다.
그런데 두 번째 읽어서 그런지 최근에는 생각을 크게 안했습니다.
온전히 책 덕분은 아니겠지만 위 사진의 '라가불린16년'을 사는데
그냥 다른 술 구경을 해서 시간 보냈다 뿐이지
사기로 해놓고 사러가서 고민 하지 않고(예전이면 했겠죠) 그냥 사고
사지 않았을 때의 돈 아낌과 간 아낌 같은 장점들도 생각 안하고
샀을 때의 돈 씀과 간 씀의 단점들도 생각 안했습니다.
효과를 본 것일까요?

가볍게 읽기를 추천드립니다.(구성 상 가벼울 수 밖에 없을테지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그제프
24/01/13 14:58
수정 아이콘
좋은책 소개 + 함축적 요약 너무 너무 감사하게 읽었습니다.
짐바르도
24/01/13 18:42
수정 아이콘
비슷한 부류의 나는 생각이 너무 많아 1,2도 추천드립니다.
24/01/13 23:31
수정 아이콘
추천으로 봤었는데 일본 실용서류 특유의 의외의 가설들이 나오더군요
지금 기억나는건
양치를 하면 고민이 사라진다던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012 [정치] 김건희 여사 새로운 선물 몰카 공개 예고 [71] 체크카드14031 24/02/23 14031 0
101011 [일반] 프로듀서 신사동호랭이가 세상을 떠났네요. [33] petrus12219 24/02/23 12219 0
101010 [정치] 더불어민주당, 박홍근·김민석·박주민·윤건영 단수공천…노영민 경선 [84] Davi4ever11635 24/02/23 11635 0
101009 [정치] 개혁신당, 공천관리위원장에 김종인 선임 [99] Davi4ever11034 24/02/23 11034 0
101008 [정치] 의협 요구, 증원 백지화만이 아니다… “의료사고 완전면책 해달라” [168] 된장까스14177 24/02/23 14177 0
101006 [정치] 여론조사 꽃 지역별 여조, 울산, 경남 지역 데이터입니다. [40] 아우구스투스9478 24/02/23 9478 0
101004 [일반] 삼성, 갤럭시S23·플립5·폴드5 등에서도 '갤럭시 AI' 지원한다 [50] 강가딘7334 24/02/23 7334 0
101003 [일반] [노스포] <파묘> 후기 (feat. 2월22일2관E열22번22시20분) [19] 김유라5434 24/02/23 5434 2
101002 [정치] KBS의 영화 '건국전쟁' 보도... [65] 홍철9206 24/02/22 9206 0
101001 [일반] PGR은 나에게 얼마나 대단한 커뮤니티인가? (Feat 뷰잉파티) [12] SAS Tony Parker 5499 24/02/22 5499 8
101000 [정치] 선방위, 김건희 '여사'라 안 불렀다며 SBS에 행정지도 [68] 체크카드9256 24/02/22 9256 0
100999 [일반] [펌] 삼전 vs 하닉 vs 마이크론 D램 경쟁 현황 그리고 전망 [13] DMGRQ6897 24/02/22 6897 12
100998 [정치] 국힘 공천받고 사라진 '스타강사 레이나' 강좌... 수험생들 피해 [20] Davi4ever9910 24/02/22 9910 0
100996 [정치] [펌] 변호사가 설명하는 전공의 처벌가능성과 손해배상책임 [78] 소독용에탄올8331 24/02/22 8331 0
100995 [정치] [의료이슈] 개인 사직 vs 단체 사직, 1년뒤는? + 제가 생각하는 방안중하나. [40] lexial5290 24/02/22 5290 0
100992 [정치] 지금 이정도 지지도면 민주당이 안 질 겁니다. [105] 삭제됨10763 24/02/22 10763 0
100991 [정치] 필수과 의사 수를 늘릴 방안이 있을까요? [237] 마지막좀비7006 24/02/22 7006 0
100990 [정치] 윤석열 지지율이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네요 [159] 붕붕붕7101 24/02/22 7101 0
100987 [일반] [파묘]보고 왔습니다. (스포 제로) [24] 우주전쟁6092 24/02/22 6092 6
100986 [정치] 이낙연 "국힘 압승하고, 민주 참패할 것" [59] youcu9919 24/02/22 9919 0
100985 [일반] 지식이 임계를 넘으면, 그것을 알리지 않는다 [17] meson5029 24/02/22 5029 9
100984 [일반] 삼국지 영걸전, 조조전, 그리고 영걸전 리메이크 [26] 烏鳳5398 24/02/22 5398 16
100983 [일반] 폭설이 온날 등산 [14] 그렇군요4470 24/02/22 447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