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2/17 10:26:38
Name 니체
File #1 IMG_597ED815C1A5_1.jpeg (237.7 KB), Download : 20
Subject [일반]  강아지 하네스 제작기 (6) - 누구나 계획이 있다 두드려 맞기 전까지는 (수정됨)


- 5편 : https://pgr21.com/freedom/100466

이대로 초도 물량을 한 번 생산해 볼까 하다가 조금 불안한 마음이 남아 있어서

제품을 좀 더 테스트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당근마켓에서 알바 모집을 해서 제품 착용, 인터뷰, 사진 촬영 등으로 만 원으로 올렸더니

연락이 몇 건 왔습니다.

그 중에 위치나 강아지 크기 등의 문제로 일단 한 건이 성사되었습니다.

주말에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만나기로 했습니다.

학교 교문 앞에 아주머니 한 분과 딸이 하얀색 귀여운 말티즈를 한 마리 데리고 나오셨습니다.

하네스가 불편하지 않냐는 첫번째 질문에 아주머니는 익숙해서 불편하지 않다고 답하셨습니다.

그래서 제가 만든 샘플을 보여 드렸는데 이 때부터 당황스러운 상황이 시작 되었습니다.

제가 예상했던 시나리오는 아주머니가 제 하네스를 채워본 후에

"오~~ 정말 채우기 편리한 하네스네요. 출시가 되면 꼭 사고 싶어요" 라는 대사를 하면서

강아지와 운동장을 한 바퀴 돌고, 저는 그 과정을 촬영해 나중에 상세 페이지 등에 활용할 계획이었죠.

그러나 현실은 이랬습니다.

아주머니는 배쪽에 두르는 천을 목에 두르고 계셨고, 저는 급히 그쪽이 배라고 알려 드렸습니다.

그 후에 아주머니는 등에서 채우는게 아니라 강아지의 배쪽에서 채우려는 시도를 하셨습니다...ㅠ.ㅠ

다시 올바른 착용법을 알려 드려서 겨우 채웠는데요.

하네스를 착용한 말티즈가 얼어 붙어서 움직이지를 않는겁니다.

저는 말티즈가 낯을 가려서 그럴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잠시 그 상태로 있다가 아주머니가 하네스를 풀고는 던진 한마디

"저라면 이거 안살 것 같아요"

이런 뼈를 때리는 말을 듣기 위해 당근마켓을 이용했던 것이었습니다.

아주머니는 제품의 문제점을 얘기 해주셨는데요.

먼저 목줄을 채우는 버클이 강아지의 목아래에 있어서 계속 기도를 압박한다는겁니다.

특히 산책을 하는 강아지는 냄새를 맡기 위해 자주 고개를 숙이는데 그 때마다 목을 불편하게 하겠죠.

그리고 소형견은 목이 생각보다 짧아서, 목줄의 폭이 25밀리나 되는 것이 불편하다고 했습니다.

아주머니는 처음에 본인이 시도했던 방식대로 강아지 배 밑으로 하네스를 넣어서 채웠습니다.

결과적으로 목줄의 버클이 목 아래가 아닌 목 뒷쪽으로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그랬더니 낯가림이 심한줄 알았던 말티즈가 너무 귀여운 모습으로 꼬리를 살랑살랑 흔들며 애교를 부리는겁니다.

보통 우리가 유아용품을 팔 때 1차로 설득해야 할 대상은 부모입니다.

아이들 몸에 아무리 좋은 제품이 있다고 해도, 구매 당사자인 부모를 설득하지 못하면 판매할 수가 없겠죠.

그런데 이 상황에서는 견주를 설득하고 말고 할 것도 없이 실제 사용자인 말티즈가 너무 솔직하게 제품이 불편하다고 알려주고 있었습니다.

옆에 있던 딸이 사진 찍으셔야 되는 것 아니냐고 말을 하셨는데

제가 찍고 싶었던 건 제 하네스를 착용하고 행복하게 산책을 하는 모습이었지

얼음처럼 얼어버린 말티즈는 아니었기 때문에 지금은 사진을 찍을 상황은 아닌 것 같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아주머니의 피드백을 통해서 목줄의 버클은 목 아래가 아닌 측면이나 후면으로 가는게 맞겠다는 생각과

목줄의 폭이 조금 더 좁아야 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딸에게도 한 번 착용해봐 달라 부탁을 드렸더니 채우는 방식은 확실히 편리하다고 피드백을 주네요.

아주머니께 만약 버클이 측면으로 오고, 목줄이 좀 얇아진다면 이 하네스를 사용할 의사가 있냐고 여쭤봤더니

그러면 사용해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답을 주셨습니다.

하지만 목줄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는 피드백을 주셨죠.

제가 해결해야 될 하나의 질문이었습니다.

하네스보다 더 편하게 채울 수 있는건 알겠는데, 목줄은 더 편하게 채울 수 있잖아?

어차피 목줄 형태로 거는 하네스라면 목줄을 하면 되는거 아니야?

추운날씨에 두 분이 같이 나와서 가치 있는 얘기들을 해주신 것에 대해 감사 드리고

만 오천원을 입금해 드렸습니다.

제품이 개선된다면 한 번 더 사용해 보시고 피드백을 부탁 드린다는 말에도 흔쾌히 그렇게 하겠다고 하셨습니다.

(끊어갈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17 13:44
수정 아이콘
대기업보다 훨씬 피드백 잘하시는 듯 크크 현장 피드백 좋네요
23/12/17 15:37
수정 아이콘
재미있는 경험이었습니다 흐흐
짬뽕순두부
23/12/17 14:53
수정 아이콘
와 진짜 고객경험을 제대로 하셨군요.. 대단하세요
23/12/17 15:38
수정 아이콘
직접 만나서 이야기를 들으니까 재미있었습니다 ^^
안군시대
23/12/17 19:40
수정 아이콘
저는 SW 개발쪽이라 이런 일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항상 저를 괴롭히는건 변함없이 "예외사항" 이더라고요.
평상시에는 아무 문제가 없는 제품도 특정 상황을 만나면 동작을 안하거나 이상상태에 빠지는 거죠.
딱 그런 경험을 하신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개발이 힘든거고, QA가 중요한 거겠죠. 좋은 글 잘 봤습니다.
23/12/17 20:43
수정 아이콘
데모의 법칙이 있죠. 사실 이건 애초에 설계가 잘못된거라 더 문제인 상황입니다. (저도 본업은 IT쪽이에요 흐흐)
及時雨
23/12/18 10:30
수정 아이콘
이 시리즈를 이제야 몰아 읽었는데 대단히 흥미롭네요.
좋은 결과물이 나와서 많은 멍멍이들이 행복하면 좋겠습니다.
23/12/18 10:47
수정 아이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VictoryFood
23/12/20 01:23
수정 아이콘
당근마켓으로 인터뷰이를 구하고 또 훌륭한 인터뷰가 진행이 되는게 인상적이네요.
23/12/20 01:33
수정 아이콘
너무 추웠지만 값진 경험이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898 [정치] 대통령실, '명품백 정보공개 청구' 거부 통지‥"국가 중대 이익 해칠 우려" [65] 자칭법조인사당군10715 24/02/14 10715 0
100897 [일반] 테슬라 주식의 미래는 암울함 그 자체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109] 보리야밥먹자11715 24/02/14 11715 5
100896 [정치] 與, 권영세·나경원·박정훈·조은희·배현진 등 25명 단수공천 [128] 유료도로당10648 24/02/14 10648 0
100895 [일반]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2) 시흥의 둘째 딸, 안양 [3] 계층방정21553 24/02/14 21553 6
100894 [정치] 방심위 "물고기 떼죽음 화면, 의도 있다"... MBC 후쿠시마오염수 보도 중징계 [44] 베라히9611 24/02/14 9611 0
100893 [일반] [역사] 고등학교 때 배운 화학은 틀렸다?! / 화학의 역사② 원소는 어떻게 결합할까? [8] Fig.14964 24/02/13 4964 14
100892 [정치] 조국이 신당을? [112] 시드11516 24/02/13 11516 0
100891 [일반] 상장 재시동 건 더본코리아 [56] Croove12410 24/02/13 12410 2
100890 [일반] 상가 투자는 신중하게 해야 되는 이유 [96] Leeka10308 24/02/13 10308 4
100888 [정치] 정부의 의사 파업 강경대응 방침 때문에 전공의협의회 지도부가 파업을 주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233] 홍철16072 24/02/13 16072 0
100887 [일반]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1) 시흥의 첫째 딸, 영등포 [49] 계층방정26868 24/02/12 26868 2
100886 [일반] 설날을 맞아 써보는 나의 남편 이야기 [36] 고흐의해바라기9640 24/02/12 9640 67
100885 [정치] 의대 정원 증원을 순전히 정치공학적으로만 판단한다면 국힘의 총선 성적에 득보다 실이 클 것 같습니다. [135] 홍철16637 24/02/11 16637 0
100884 [일반] 무거운폰 사용시 그립톡과 스트랩. S24 울트라 후기 [33] 코로나시즌9926 24/02/10 9926 4
100883 [정치] 정치의 방향, 결과, 변명 [11] kien7998 24/02/10 7998 0
100882 [일반] 최근에 읽은 책 정리(만화편)(2) [30] Kaestro6954 24/02/09 6954 8
100881 [일반] 우리는 올바로 인지하고 믿을 수 있을까 [17] 짬뽕순두부6691 24/02/09 6691 11
100880 [정치] 제3지대 합당 합의…당명 '개혁신당' 공동대표 이준석·이낙연 [404] 베놈27398 24/02/09 27398 0
100879 [일반] 어쩌다보니 쓰는 집 문제 -조합은 왜그래? [40] 네?!6671 24/02/09 6671 5
100878 [정치] 2022년 경증질환 건보부담금은 11.8조원 [21] VictoryFood6724 24/02/09 6724 0
100877 [정치] 의사 증원은 악수는 아니나 편법에 속한다 [31] Gottfried7641 24/02/09 7641 0
100876 [일반] 최근에 읽은 책 정리(만화편)(1) [20] Kaestro6021 24/02/09 6021 6
100875 [일반] 제66회 그래미 어워드 수상자 [2] 김치찌개5301 24/02/09 530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