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1/29 06:34:31
Name 김유라
Link #1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628538?sid=101
Subject [일반] 찰리 멍거 향년 99세 별세, 주식계의 큰 별이 졌습니다 (수정됨)
1978년부터 워렌 버핏과 함께 버크셔 헤서웨이를 이끌어왔던 찰리 멍거가 11월 28일 별세하였다고 CNBC에 보도되었습니다.

당장 1주일 전만 하더라도 대외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실 정도로 건강에서 정정함을 과시하던 분이 갑작스레 운명을 달리하셔서 당혹스럽기도 합니다.

찰리 멍거는 1924년 1월 1일에 태어나, 부동산 전문 변호사로 근무하던 중 1978년부터 버크셔 헤서웨이 부회장 직을 역임하였는데요.워렌 버핏만큼이나 가치투자에 날카로운 안목을 보여주었던 분 중 하나라서 기억에 크게 남습니다. 본인의 100번째 생일을 2달도 채 남겨놓지 않고 작고하셔서 안타까움이 더 배가 되는 것 같습니다.

슬슬 버크셔 헤서웨이를 이끌던 두 개의 큰 별 중 하나가 저물고, 다른 한 별은 후계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하니 참 시간이 흐르고 있음을 달리 느껴지게 하네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보다 조금 더 현명해지려고 노력하는 하루하루를 보내세요. 하루하루, 그리고 마지막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충분히 오래 살면 인생에서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을 얻게 될 것입니다. "
- 찰리 멍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레이퍼플
23/11/29 06:38
수정 아이콘
너무 갑작스럽네요. 나이는 많으셨지만, 얼마전까지도 정정하게 인터뷰하시던 분이...
말년임에도 코인에 투자하지 말라고 늘 강조하셨던 모습이 상당히 인상적이셨죠.
사기꾼이 판치는 월가에서 그나마 늘 신뢰할 수 있는 분들중 한 분 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사람되고싶다
23/11/29 07:40
수정 아이콘
엘리자베스 여왕도 그렇고 저 나이대 분들은 정정하시더라도 한순간에 나빠지시고 떠나시더군요. 참 나이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23/11/29 07:48
수정 아이콘
워런 버핏도 93세죠. 가끔 그 나이에 투자자로, 아니 어떤 일이라도 할 수 있는 건가 싶어집니다.
혹시 투자가 늙어서도 할 수 있는 좋은 직업(?) 이었던가요.
23/11/29 08:10
수정 아이콘
멍거 님의 좋은 말씀 덕분에 인생을 바라보는 시각과 행동이 달라졌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3/11/29 08:52
수정 아이콘
연세 많이 드신분들은 분명히 정정하셨다가도 갑자기 안좋아지시더라고요..
23/11/29 09:35
수정 아이콘
멍거 부회장님의 조언이 주식 투자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올해 읽었던 주식 서적중 하나도 '찰리 멍거 바이블'이었구요.. 영원하실 것만 같았던 버크셔 해서웨이의 큰 기둥중 한분도 결국 세상을 떠나시는군요.. 그 곳에서는 편안하시기를.. Rest In Peace...
헤세드83
23/11/29 09:37
수정 아이콘
찰리멍거와 워렌버핏덕분에 투자서적읽는게 참 즐거웠는데 편히 쉬시길
다마스커스
23/11/29 09:38
수정 아이콘
제가 저 분을 존경하는 건 재력이 아니라, 청년들 못지 않은 활동량과 정확한 판단력, 삶에 대한 철학이었습니다.
투자에 대해서도 많은 가르침을 주신 점 감사드립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3/11/29 09:48
수정 아이콘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똥진국
23/11/29 10:06
수정 아이콘
저렇게 살다가 떠날수있는 것이 부럽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VictoryFood
23/11/29 10:07
수정 아이콘
백수(白壽)까지 사셨네요.
아무리 평균 수명이 늘어도 저정도 연령이면 언제 돌아가실지 모르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크낙새
23/11/29 10: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매년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때 버핏과 함께 단상에 나란히 앉자서 주주들의 질문에 답해주는 모습을 더이상 못보게 되었네요. 영면하시길.
베르톨트
23/11/29 10:58
수정 아이콘
에고.. 투자 관련 공부하면서 정말 존경하게 된 분이고.. 언젠간 버크셔해서웨이 주총에 가서 한 번 그 모습을 직접 보고 싶었는데
이젠 못 이룰 꿈이 됐네요..
좋은 곳에서 평안하시기를...
기다리다
23/11/29 11:24
수정 아이콘
시니컬한 얘기는 이제 누가 해줄까요. 명복을 빕니다
유료도로당
23/11/29 13:00
수정 아이콘
지난주까지도 정정하셨군요; 겨울에 추워지면 노인분들 갑자기 돌아가시는 일이 잦긴하죠..
No.99 AaronJudge
23/11/29 14:22
수정 아이콘
세상에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메리츠퀀텀점프
23/11/29 14:58
수정 아이콘
덕분에 주식 투자에 있어 바른 생각을 갖게 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RIP

계산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생각하는 사람들은 없다.
- 찰리멍거 -
23/11/29 15:36
수정 아이콘
아 이 아저씨가 간결하면서 핵심을 찌르는 이야기를 많이 해줘서 좋았었는데
편안히 쉬시길
시나브로
23/11/29 15:52
수정 아이콘
저번주에 무슨 논평 기사 올라와서 정정하시다는 느낌 받았는데 이 글 때문에 알게 되었네요.

글 보자마자 생각난 게 본문 아래 멍거 옹 말씀. 저게 첫 기억이었거든요. 무슨 주식, 사업, 돈 때문이 아니라 그냥 인생, 사람으로서 지혜 덩어리셨던..

버핏 할아버지 심정이 어떠실지.. 위에 겨울 노인분들 별세 얘기도 너무 안타깝고 슬픈데 찰리 멍거 부회장님과 모든 분들의 명복을 진심으로 기도합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3/11/29 17:08
수정 아이콘
저 양반은 백살 넘기겠네, 하는 분들 참 신기하게 99 98에 꺾이는 경우를 많이 보는거 같네요. 그동안 함께 지낼 수 있어서 즐거웠십니다 영감님
가위바위보
23/11/30 06:13
수정 아이콘
굿나잇 미스터 멍거. 아직까지 키신저 옹은 저승사자도 돌려보내는 중
김유라
23/11/30 11:20
수정 아이콘
선생님 방금 키신저옹도 타계하셨습니다 덜덜...
시나브로
23/11/30 17:10
수정 아이콘
어제 이 글 제목 보고 버핏 옹, 키신저 옹 절로 생각났었는데.. 키신저 별세 소식도 이 댓글 덕분에 알게 되었네요.

일반인분들 별세도 생각나고 모두의 명복, 행복을 빕니다.... ㅠㅠㅠㅠㅠ
여름보단가을
23/12/01 08:47
수정 아이콘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856 [일반] 구축 다세대 주택이 터진 사례 [74] 네?!12665 24/02/05 12665 6
100849 [일반] 전세사기가 터지는 무자본 갭투자의 유형 중 하나 [34] 네?!9290 24/02/05 9290 10
100831 [일반] [번역] 중국이 향후 10년간 4, 5%씩 성장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35] 사람되고싶다8641 24/02/02 8641 11
100754 [정치] 한국 부동산의 미래가 미국(서브프라임), 일본(거품붕괴)보다도 더 처참하게 진행될 이유 [187] 보리야밥먹자14553 24/01/23 14553 0
100748 [일반] 구조적 저성장에 빠진 세계, AI는 이 한계를 뚫을 수 있을까 [34] 사람되고싶다10079 24/01/21 10079 30
100702 [정치] 대만 대선에서 민진당이 승리했는데, 정치구도를 한국과 비교해 보니 흥미롭군요. [22] 홍철11088 24/01/13 11088 0
100689 [정치] 윤석열 대통령, 화제의 JTBC 영상 [164] 빼사스23740 24/01/11 23740 0
100684 [일반] 비트코인 현물 ETF가 SEC 승인되었습니다.+제가 btc에 투자하지 않는 이유 [188] lexial11968 24/01/11 11968 1
100618 [일반] 뉴욕타임스 12.17. 일자 기사 번역(중국 조폭의 인신매매, 사기) [2] 오후2시6719 24/01/02 6719 4
100591 [일반] 2024년 부동산 특례대출 비교표 [44] 유랑8769 23/12/30 8769 10
100579 [정치] 쌍특검이 통과되었고 대통령실은 거부권 행사를 밝혔습니다. [124] Morning15285 23/12/28 15285 0
100529 [정치] 배터리 아저씨 금감원 압수수색 및 창당 [17] 맥스훼인9117 23/12/22 9117 0
100518 [정치] 대주주 양도세가 10 억에서 50 억으로 상향됐습니다. [176] 아이스베어14270 23/12/21 14270 0
100479 [일반] 인권에서 특권으로 - 경제적 자유 [7] 계층방정5715 23/12/15 5715 10
100422 [일반] [서평] 보이지 않는 중국, 중진국 함정을 가장 잘 설명한 책 [38] 사람되고싶다11041 23/12/06 11041 48
100415 [일반]  강아지 하네스 제작기 (2) - 제조 공장 찾기 [10] 니체4816 23/12/05 4816 2
100351 [일반] 찰리 멍거 향년 99세 별세, 주식계의 큰 별이 졌습니다 [24] 김유라7036 23/11/29 7036 5
100292 [일반]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hard money, 비트코인 등 [50] lexial9451 23/11/21 9451 9
100206 [일반] 뉴욕타임스 10.31. 일자 기사 번역(부동산 수수료 분쟁) [23] 오후2시8087 23/11/05 8087 1
100103 [정치] 尹지지율 30%로 6개월만에 최저…국민의힘 33%·민주 34% (한국갤럽) [99] 덴드로븀17630 23/10/20 17630 0
100018 [일반] 팔레스타인계 모델이 이팔 분쟁에 관해 인스타에 올린 글 [88] VictoryFood14626 23/10/11 14626 22
100017 [일반] 합리적인 이혼은 존재하는가? [74] shadowtaki10422 23/10/11 10422 1
100016 [일반] 요즘 MZ들 취업난 수준 [225] 푸끆이21424 23/10/11 21424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