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0/31 18:43:34
Name Fig.1
Link #1 www.fig1.kr/history
Subject [일반] [역사] 레이벤보다 근본인 선글래스 브랜드/포스터 그랜트
b0NeHVF.jpg

Comment.
- 요즘 저와 한 몸이 된 물건이 있습니다. 바로 선글라스인데요. 추석 연휴에 라섹 수술을 했거든요. 6개월간 자외선 차단을 위해 선글라스를 껴야 합니다.

- 물론 선글라스도 시중에 판매 중인 브랜드 중에 가장 오래된 브랜드를 찾아 구입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구입한 선글라스가 바로 레이벤 에비에이터였죠. 그런데 아뿔싸. 레이벤의 역사를 조사하던 중에 레이벤이 최초의 선글라스 브랜드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레이벤보다 약 10년 앞서 포스터 그랜트이라는 회사에서 선글라스를 출시한 것이었죠. 국내 유통되고 있지 않아서 포스터 그랜트 브랜드를 몰랐습니다.(솔직히 들어본 사람 거의 없잖아요?!) 어찌 되었든 뒤늦게 포스터 그랜트의 역사를 알아보았습니다.

- 사실 최초의 브랜드를 찾는다는 것은 상당히 모호한 일입니다. 대부분의 최초 브랜드는 없어졌을 테고, 문헌상 가장 오래되었기는 하지만 진짜로 최초인지 알 수 없는 경우도 부지기수죠. 그리고 최초의 브랜드라고 하면 다들 역사와 전통이 있어 이야깃거리가 넘쳐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여러모로 쉽지 않은 일입니다.



Fig.1 선글라스는 장애 보조도구?!

선글라스의 역사를 살펴보면 에스키모인들이 설원에 비친 햇빛에 눈을 보호하기 위해 썼다는 순록의 뿔로 만든 고글, 중국에서 증인신문을 할 때 판관들의 표정을 가리기 위해 수정으로 만든 선글라스 등의 기록이 있습니다.

vnHyq3Q.png
[Figure.1 제임스 에이스코프의 선글라스, 사실 그는 현미경으로 더 유명하다 ⓒGoogle Arts & Culture]

그러나 오늘날 형태를 가지고 자외선 차단을 목적으로 한 선글라스는 1752년 제임스 에이스코프James Ayscough 가 최초로 제작합니다. 그는 초록색 혹은 파란색 렌즈를 사용해 선글라스를 제작했죠.

rHc8cGz.png
[Figure.2 탈륨 원소를 발견하기도 했던 윌리엄 크룩스]

1911년에는 윌리엄 크룩스William Crookes 가 새로운 자외선 차단 유리를 개발합니다. 이후 크룩스 렌즈는 ‘눈을 부시게 하는 빛을 거의 다 막아 주어 나이 든 눈이든 젊은 눈이든 편하게 해 준다’라는 문구로 홍보하며 런던의 윙게이트 안경사에서 판매했죠. 1922년에는 뉴욕의 바슈롬이 미국 내 상표권을 따내 크룩스 선글라스를 판매합니다.

하지만 에이스코프의 선글라스와 크록스 렌즈를 쓴 바슈롬 선글라스는 소비자용이 아니었습니다. 눈이 약한 사람들을 위한 보조기구에 가까웠죠. 그래서 선글라스를 구매하려면 검안사를 통해 주문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대중적으로 쓰이지도 않았죠.



Fig.2 할리우드와 썬탠이 만들어낸 선글라스의 인기

mIZ2oem.png
[Figure.3 단발머리 유행을 주도했던 아이린 캐슬]

최초로 소비자용으로 판매된 선글라스는 포스터 그랜트Foster Grant 에서 시작됩니다. 1919년 설립된 포스터 그랜트는 원래 셀룰로이드 플라스틱으로 여성용 머리 빗과 머리 장식을 생산하는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1920년대 중반 미국 사교계 스타인 아이린 캐슬Irene Castle 이 ‘캐슬 봅Castle Bob’이라 불리는 단발머리를 하면서 여성들 사이에서 단발이 유행합니다. 그러자 머리 빗과 머리 장식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었죠. 위기를 타계하기 위해 포스터 그랜트는 선글라스를 생산하고 1929년 애틀랜틱 시티의 한 가게에서 선글라스를 팔기 시작합니다.

운이 좋게도 당시는 선글라스가 유행하기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햇볕을 쬐면 건강에 좋다고 주장한 여러 의학적 주장이 나왔는데요. 이로 인해 부유한 미국인들이 사막 휴양지에서 여름휴가를 보냈죠. 그리고 이때 챙겨간 것이 선글라스였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영화산업이 발전하면서 할리우드 배우들이 등장했습니다. 이들은 카메라 스포트라이트로부터 눈을 보호하고자 했고, 이때 사용된 것이 바로 포스터 그랜트의 선글라스였습니다. 그레타 가르보Greta Garbo 같은 영화배우들이 쓰면서 포스터 그랜트 선글라스 인기에 더욱 박차를 가했죠. 게다가 포스터 그랜트는 셀룰로이드 플라스틱 성형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저렴하게 선글라스를 생산할 수 있었죠.

하지만 포스터 그랜트의 선글라스의 경쟁력은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다른 경쟁자들도 선글라스를 생산하기 시작했거든요. 특히 1937년에는 레이벤이 등장하며 2차 세계대전 이후 인기를 끌죠.



Fig.3 광고의 한 획을 긋다

wtr3WYk.png
[Figure.4 우디앨런의 포스터 그랜트 광고 ⓒebay.co.uk]

1965년 포스터 그랜트는 "Who's That Behind Those Foster Grants?"라는 광고 캠페인을 합니다. 이 캠패인에는 우디 앨런, 라켈 웰치, 피터 셀레스, 앤서니 퀸 등 포스터 그랜트 선글라스를 착용한 당대 유명인들이 등장하고, 잡지의 연예인 화보 페이지처럼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물론 한결같이 포스터 그랜트의 선글라스를 쓰고 있었죠. 이 광고는 광고의 역사에서도 한 페이지를 장식할 정도로 큰 성공을 합니다. 이 성공으로 포스터 그랜트는 선글라스 미국 내에서 가장 많은 선글라스를 생산하는 곳이 되죠.



Fig.4 더이상 경쟁력이 되지 않는 저렴함

많은 인기를 얻었지만, 포스터 그랜트는 저렴한 가격을 유지했습니다. 그렇다고 품질이 나쁘냐 하면 그렇지도 않았습니다. 기술개발을 꾸준히 해 1970년대 초 성형된 아크릴 렌즈를 선보이고 렌즈가 긁히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실리콘 하드 코팅을 개발하죠.

하지만 1990년대 들어 세계 패션 선글라스 시장은 명품 브랜드 시대로 진입하면서 명품 브랜드의 라이센스 선글라스를 생산하는 이탈리아의 사필로Safilo 와 룩소티카Luxottica 가 시장을 양분하면서 포스터 그랜트의 인기를 과거가 되었죠. 오늘날에는 저렴한 패션 선글라스 브랜드로서 포지셔닝을 하며 아직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Reference.
- 트래비스 엘버러. (2022). 거의 모든 안경의 역사. 유유
- Foster Grant 공식 홈페이지. URL : https://www.fostergrant.com/about-us
- Unkown. (Unkown). Joseph C. Foster. Plastic Hall of Fame. URL : https://plasticshof.org/members/joseph-c-foster/
- 김의경. (2011). 20세기 디자인 아이콘 : 광고 - 포스터 그랜트, 1965. 네이버캐스트. URL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1237&cid=58789&categoryId=58796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VictoryFood
23/10/31 18:59
수정 아이콘
와 레이방 쓰시는구나
예전에 아버지께서 레이방 이라고 하셔서 그게 뭐지 했던 게 기억이 나네요
카즈하
23/10/31 19:08
수정 아이콘
라이방 아닙니까 크크크
거기로가볼까
23/10/31 19:22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척척석사
23/10/31 19:59
수정 아이콘
역시 라이방이 근본이죠
겟타 세인트 드래곤
23/10/31 20:57
수정 아이콘
레이밴은 머리 큰 사람은 쓰기가 영 안좋아서... =_=
23/10/31 21:02
수정 아이콘
오늘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역시 선글라스는 Ray-Ban Aviator죠.
Foster Grant 라는 브랜드는 몰랐는데 여기가 원조였군요.
William Crookes는 Crookes tube를 만들었던 그사람인가 싶었는데 역시...
23/11/01 12:5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저도 Foster Grant 이번에 처음 알게되었는데 5만원 안쪽의 제품들이 많아서 저렴하게 써볼 만 할 것 같더라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413 [정치] 대한민국 정치는 지역이 과대표되고 있다 [30] VictoryFood9325 23/12/05 9325 0
100412 [일반] 4분기 애니메이션 중간점검 [54] Kaestro6950 23/12/05 6950 1
100411 [정치] 한국은행이 말하는 출산율 1.5 찍는 법 [97]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221 23/12/05 12221 0
100410 [일반] 행복은 쾌락인가 [31] realwealth7776 23/12/05 7776 7
100409 [일반] 허수아비 때리기, 선택적 분노 그리고 평행우주(4.추가) [252] 선인장17899 23/12/05 17899 27
100408 [정치] 소는 누가 키워? [23] 라이언 덕후8054 23/12/05 8054 0
100407 [일반] 스위트홈 시즌2 예고편만 보고 거른이유(스포주의) [37] 마트과자7765 23/12/05 7765 4
100406 [정치] 국민연금 부족분을 , 젊은 사람들의 임금에서만 가져오는 것이 맞을까요? [114] 마르키아르12284 23/12/05 12284 0
100405 [정치] 저출산은 필연적으로 몰락을 초래하는가? [103] meson8571 23/12/05 8571 0
100402 [정치] 리버버스 + 트윈아이(대관람차) = 1조원 [17] 덴드로븀5977 23/12/04 5977 0
100401 [일반] 강아지 하네스 제작기 (1) - 불편은 발명의 아버지 [4] 니체4758 23/12/04 4758 4
100400 [일반] 뉴욕타임스 11.26. 일자 기사 번역(군인 보호에 미온적인 미군) 오후2시5816 23/12/04 5816 3
100399 [일반] 그 손가락이 혐오표현이 아닌 이유 [93] 실제상황입니다13565 23/12/04 13565 13
100398 [일반] <괴물> : 그럼에도 불구하고 던지게 되는 질문(스포일러o) [20] 오곡쿠키6926 23/12/04 6926 7
100395 [일반] 달리기 복귀 7개월 러닝화 7켤레 산겸 뛰어본 러닝화 후기.JPG [36]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8446 23/12/04 8446 5
100394 [일반] 애플워치9 레드 컬러 발표 [22] SAS Tony Parker 9221 23/12/04 9221 1
100393 [일반] 이스라엘 신문사 Haaretz 10월 7일의 진실(아기 참수설) [51] 타카이8823 23/12/04 8823 8
100391 [정치] 한국은 사라지는가 ? Is South Korea Disappearing? [41] KOZE13272 23/12/03 13272 0
100390 [일반] 피와 살점이 흐르는 땅, 팔레스타인 (10) 자살수 [6] 후추통5468 23/12/03 5468 20
100389 [일반] 서면 NC백화점 내년 5월까지 영업하고 폐점 [30] 알칸타라14167 23/12/03 14167 1
100388 [일반] [팝송] 빅토리아 모네 새 앨범 "JAGUAR II" 김치찌개4404 23/12/03 4404 1
100387 [일반] 커피를 마시면 똥이 마렵다? [36] 피우피우9764 23/12/02 9764 18
100386 [일반] <나폴레옹> - 재현과 재구축 사이에서 길을 잃다.(노스포) [16] aDayInTheLife5721 23/12/02 572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