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0/09 22:33:36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오퍼레터를 많이 받을수록 불행해진다 : 선택의 역설, 잼, 그리고 초콜릿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0/09 22:52
수정 아이콘
흐흐. 저도 지금까지 2개의 학위와 4개의 직장을 거치면서 선택지 따위는 없었는데 운 좋게도 커리어 공백도 없었네요. 딱 필요할 때 한 군데씩만 오퍼 받아서 생명연장 해왔습니다 크크
아우구스티너헬
23/10/09 23:00
수정 아이콘
오퍼를 받고 이직을 4번했는데 망설여지면 안 갔습니다.
망설여진다는건 그만큼 메리트 차이가 적다는거니까요
진짜 옮기게 될때는 망설여지지 않을 만큼의 추가 보상이 있을때만 움직이면 됩니다.
포프의대모험
23/10/09 23:10
수정 아이콘
저는 이직도 아니고 그냥 사내 부서이동만 한번 했는데, 이걸 할지말지를 잠을 못이루는 고민 끝에 결정..했으나
아직은 물음표네요 크크..
공실이
23/10/09 23:16
수정 아이콘
즉, 취업제의를 많이 받았을수록 오히려 취업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졌습니다.
-> 그래서 오타니가... 고통받고 있군요
23/10/10 00:03
수정 아이콘
재밌는글 잘 읽었습니다. 문외한이라 그러는데 jop이 축약어인가요? jop specific과 firm specific이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원달라
23/10/10 00:16
수정 아이콘
job의 오타입니다ㅠㅠ수정했습니다
직무 스펙/기업 스펙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좋을 듯합니다.
23/10/10 00:1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자유도가 높은 게임에 스트레스를 받는 분들이 많이 있죠.
사비알론소
23/10/10 00:15
수정 아이콘
오퍼를 많이 받아야 협상카드로 써서 tc를 올릴 수 있죠.. 흐흐
서린언니
23/10/10 01:06
수정 아이콘
순간 발로란트 오퍼레이터인줄..

저도 오퍼를 받아서 간적이 있는데 일이 생각대로 되진 않더라구요
그래서 직장을 옮긴다는건 큰 모험이라고 생각합니다
jjohny=쿠마
23/10/10 01:26
수정 아이콘
최근에 이직한 입장에서 많이 공감이 가네요.

3가지 선택지(A, B, C) 중에서 골랐는데, 각각의 장단점이 아주 뚜렷해서 판단하기가 다소 용이했던 것 같습니다.

덕분에, 예전의 저라면 절대 선택하지 않았을 C선택지를 선택할 수 있었고 지금까지는 아주 성공적인 이직이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저나 가족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네요.
23/10/10 05:10
수정 아이콘
결이 다른 이야기이지만 연애도 마찬가지라 들었습니다. 특히 미국 등은 데이팅앱의 발전으로 선택지가 정말 많아지다보니 오히려 젊은세대가 연애와 결혼을 예전 세대만큼 못한다는 이야기를 듣기도 했는데.. 저랑은 상관없는 얘기라.. 킁
계층방정
23/10/10 06:25
수정 아이콘
연애 경험이 많을수록 결혼 후에도 배우자를 자기 전 애인들과 비교하면서 이혼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는데, 본문과 비슷하게 느껴집니다만 혹시 다른 이야기일까 싶기도 합니다.
록타이트
23/10/10 08:00
수정 아이콘
저도 똑같은 생각을 하면서 읽었습니다.
23/10/10 06:37
수정 아이콘
영화 <에에올>이 본문의 내용과 같이, 여러가지 가능성 속에서 방황하는 모습을 그렸다고 생각합니다.
재밌어용
개좋은빛살구
23/10/10 08:31
수정 아이콘
요즘 오퍼도 받고 준비도 하면서 생각하다보니까
모든지 일장일단이 있어서 한참을 고민하다가
이제는 입사하기전까지는 모르는 것들은 배제하고(오히려 안좋아질거라고 단정지은 상태)
회사 규모, 급여, 복지, 워라벨, 출퇴근 이 항목들만 고려하기로 맘먹으니까 오히려 오퍼나 이직처 구하는것들에 대해 판단하기가 쉬워지더라구요 크크
23/10/10 09:49
수정 아이콘
절 뽑아주는 곳이 한군데밖에 없어서 선택 고민은 안해도 되서 좋더군요..
무냐고
23/10/10 10:05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채용이야 워낙 중요한 사안이라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겠죠.
딴얘기지만 별거 아닌 선택에도 최선의 선택을 해서 작은 손해도 보지 않겠다는 마인드로 지내는 분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불행하다고 느끼는것 같습니다.
23/10/10 10:43
수정 아이콘
입시도 그런 것 같더군요.
학종을 해야하나 수시를 할까 정시를 달릴까
A 대학에 맞춰서 스펙을 쌓아야하나, B전공에 맞춰서 해야하나.. 등등.
율리우스 카이사르
23/10/10 11:23
수정 아이콘
C레벨에 향후 전략보고 할때도 실무자베스트안 1안 1개, 기존조직에 익숙한 현상유지/대동소이 안 1개 , 모험적이고 안채택하실것 같지만 고민한 흔적이 보이는 대안 1개 .. 요렇게 3개 준비해야 1안으로 골라주실 확률이 높더라고요. 너무 많아도 안되고 너무 적어도 안되고..
23/10/10 12:53
수정 아이콘
잼 실험은 후속 실험들은 재현이 실패한거라.
신빙성에 큰 결함이 있죠.
23/10/11 11:16
수정 아이콘
참고자료 얻어볼수 있을까요?
23/10/10 13:40
수정 아이콘
저는 살아보지 않은 스포츠 스타들의 삶도 한번쯤은 궁금해지더군요
생각해보면 거기는 어렸을때부터 오퍼의 삶이고 커리어 마감할때까지 오퍼의 삶이니까요
서울에서 이직하는것도 아니고 작게는 도시 크게는 국가단위로 생활반경까지 바뀌니까요
23/10/10 14:24
수정 아이콘
제가 옷 살 때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제품이 많아도 너무 많아 선택장애와서, 그냥 매장 가서 거기 있는 옷 중에서 사는게 더 편하고 오히려 시간도 더 절약되더라구요.
23/10/10 15:20
수정 아이콘
뭔가 댄 애리얼리 책 생각나게 하는 글이네요 흐흐
잘 읽었습니다
아크크
23/10/10 17:48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글이네요.
답이머얌
23/10/11 00:03
수정 아이콘
맞아요 복잡하게 생각할것 없이 과거 어릴적 기억과 현재 기억을 대비해도 마찬가지에요.

한여름 어릴때 : 50원 쭈쭈바
100원 브라보콘
150원 콜라 또는 사이다
돈에 맞우어 선택의 고민이 없고, 일단 사고 나면 만족도가 최상. 불만족은 돈이 없어서 상위권으로 가고 싶은데 못갈때 뿐임.

한여름 어른 : 돈에 구애 없다. 편의점에서 수많은 음료수 사이에서 뭘 고를까 고민. 신제품? 익숙한 제품? 프리미엄? 1+1 가성비?
이러다가 결정 장애로 시원한 바람만 쐬고 나오기도 하고, 어느 하나를 골랐어도 시간이라는 자원을 예상보다 많이 소모했다는 생각, 이거 말고 다른 거 골랐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으로 만족도가 확 떨어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108 [정치] 일본의 6세대 전투기 F-3 개발이 헤매는 까닭... [36] singularian28117 23/10/21 28117 0
100107 [일반] <플라워 킬링 문> - 탐욕과 폭력으로 쓰는 이야기.(약스포) [8] aDayInTheLife8465 23/10/20 8465 7
100106 [일반] 대전 스쿨존 음주운전 사망사건 1심 : 징역 12년 [59] Croove14330 23/10/20 14330 0
100105 [정치] 대통령실 의전비서관 딸 학폭논란, 사의표명 [109] Thirsha15852 23/10/20 15852 0
100103 [정치] 尹지지율 30%로 6개월만에 최저…국민의힘 33%·민주 34% (한국갤럽) [99] 덴드로븀22430 23/10/20 22430 0
100102 [일반] 피와 살점이 흐르는 땅, 팔레스타인(중) [23] 후추통25962 23/10/20 25962 9
100101 [일반] 아니 이게 왜 좋음? [10] 아빠는외계인14582 23/10/20 14582 6
100100 [일반] 120시간 단식을 한 이유 [19] realwealth12289 23/10/20 12289 4
100099 [정치] 저출산을 뉴노멀로 받아들여야 하는 시기. [41] 백곰사마13624 23/10/20 13624 0
100097 [일반] 유게 글을 보고 쓰는 프라모델 리캐스트 이야기 [18] 담배상품권11051 23/10/19 11051 4
100096 [정치] 사회 소멸에 관한 전망과 몇 가지 생각들 [22] 오곡쿠키13210 23/10/19 13210 0
100095 [일반] 단식 120시간 후 인바디 변화 및 후기 [45] realwealth18505 23/10/19 18505 3
100094 [일반] 2023 ADEX 공중기동 사진을 찍어봤습니다. (F-16, KF-21, F-22) (스압) [17] 한국화약주식회사9607 23/10/19 9607 16
100092 [정치] 유자녀는 벼슬이 아니고, 무자녀는 미안할 일도 아니다 [163] 방구차야18907 23/10/19 18907 2
100091 [일반] [역사] 어묵과 오뎅은 다른 음식! / 오뎅의 역사 [30] Fig.111601 23/10/19 11601 19
100090 [일반] 피와 살점이 흐르는 땅, 팔레스타인 (상) [17] 후추통14777 23/10/18 14777 14
100088 [정치] 이준석 전대표에 대한 생각 [245] kien25618 23/10/18 25618 0
100086 [일반] 크롬에서 다나와 접속이 막혔습니다+ 14세대 살까요?에 대한 1차적 답변 [33] SAS Tony Parker 15836 23/10/18 15836 1
100085 [일반] 가자지구의 병원 공습, 최소 500명 사망 [93] 두개의 나선16818 23/10/18 16818 2
100084 [일반] 감기는 치료제가 없습니다 [112] 아기호랑이15899 23/10/18 15899 52
100083 [일반] 은유가 우리를 구원하리라 [17] mmOmm11572 23/10/18 11572 22
100081 [일반] 불황의 늪 - 버티거나 포기하거나, 2023 자영업 생존기 [22] 챨스8910 23/10/18 8910 3
100080 [일반] 나이 40 넘어서 건강관리를 해야겠다고 마음 먹은 이유 [39] realwealth14029 23/10/18 14029 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