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1/07 23:02:05
Name 퀀텀리프
Subject [일반] 지구는 둥글다
둥글다는 말을 쓰고보니 이게 맞는 단어인가 하는 생각부터 든다. 둥글다.. 둥글다?
구글로 검색해보니 맞는 표현인것 같다.

요즘 세상에도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거부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한편으로는 "지구가 둥글면 어떻고, 네모지면 어떤데.. 그래서 어쨌다고?"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다.

그러나, 지구가 둥글다는 발견은 인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지구가 편평하다고 생각했을때는 원거리를 항해하면 배가 지옥으로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그러니 멀리 갈수 없었다.
지구가 둥글다고 하니  용기를 내어 바다 끝까지 가게 되어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게 되었다.
아메리카 대륙이 역사속에 본격적으로 들어오게 된것이다.

그 이후 서구 열강들은 수많은 배를 지구 곳곳으로 보내어 식민지 쟁탈전을 벌이고
대영제국이 해가 지지 않은 제국을 건설한바 있다.

오늘날 전세계를 지구촌이라고 할만큼 연결이 되고
하루에도 수천대의 비행기가 지구의 이쪽 저쪽을 왕래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 모든 것은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발견한 것에서 출발한다.

코페르니쿠스의 지구구체설(지구구형론)은  그 시대 사람들에게 "그래서 어쨌다고" 라는 반응이 있었을것도 같다.
그러나 이후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주 차원으로 보면 빅뱅론이 이에 비견할만 하다.
130억년전  한개의 점이었던 우주가 대폭발 하여 오늘날의 우주릉 형성했다는 이론이다.
인간의 지능으로 지구, 우주, 생명의 신비를 발견해 가는 것을 보면 놀랍다.

요즘은 유투브등에서 우주 시뮬레이션설(가상세계설)이 많이 올라온다.
시뮬레이션 이론이 증명이 된다면 인간의 지식은 또다른 차원으로 발전할듯 싶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캡틴리드
18/01/07 23: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대 사람들이 많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지구가 둥글다"라는 사실이 대항해시대 때 알게 되었다는 것인데, 고대 그리스 시절, 중세 때 이미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습니다. 애초에 아리스토텔레스도 지구는 구형이라고 주장했는걸요.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측정도 지구가 구형이라는 사실을 기반으로 한 것이고, 천동설에서도 지구를 구형으로 표현하지요. 코페르니쿠스도 지구 구형설을 주장한게 아니라 지동설을 주장한 것이죠. 천동설, 지동설과 지구구형설, 지구평면설은 전혀 다른 이야기입니다.
콜럼버스나 마젤란의 항해는 험한 바다에서 상상할 수 없을정도로 오래 항해를 해야하기 때문에 반대의견을 받았던 겁니다.
홍승식
18/01/07 23:26
수정 아이콘
닉이 글쓰신분이랑 너무 비슷해 보여서 왜 자답하시나 했어요. 크크크크
18/01/07 23:36
수정 아이콘
콜럼버스의 경우는 콜럼버스의 당시 주장처럼 아시아 가기 위한 목적이고, 당시에 알려진대로 아메리카 대륙이 없다고 가정하면 뻘짓 그자체..
괄하이드
18/01/08 00:02
수정 아이콘
에라토스테네스는 진짜 엄청난것 같아요. 기원전의 사람인데 '지구가 둥글다' 수준을 넘어서서 지구의 둘레(약 4만km)를 거의 정확하게 계산했다는게... 진짜 놀라울 따름입니다.
jjohny=쿠마
18/01/07 23:46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대로, 글쓴 분께서 이래저래 잘못 알고 계신 것들이 있습니다. 아래 링크들을 참고하셔요.
https://namu.wiki/w/크리스토퍼%20콜럼버스#s-2.2
https://namu.wiki/w/플랫%20에러
좋아요
18/01/07 23:51
수정 아이콘
아 이제 둥글다는 표현만 보면 특정인물이 생각나게 돼 버렸(..)

늙어죽기 전까지 우주 끝에 뭐가 있는지 설명해줄 과학자느님을 영접할 수 있기를.
18/01/08 07:05
수정 아이콘
지구는 둥글지만 우주는 평평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크크
퀀텀리프
18/01/08 10:52
수정 아이콘
흠.. 글을 쓰면서 뭔가 찜찜하다 했는데 여러 오류들이 있군요.
일단 코페르니쿠스가 아닌 "과학자"라고 하는 것이 맞겠네요.
그리스 철학자들의 얘기는 알고는 있는 내용이지만 지구구체설의 인식이 식자층에서나마 받아들여진 시점의 문제인것 같고요.
그외 플랫오류나 콜럼버스 신화는 교과서기반의 상식이 잘못된 것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815 [일반] 현장에서 겪는 학종의 민낯 [137] 펠릭스30세(무직)22239 19/09/22 22239 49
82814 [일반] [10] 특히나 명절에 인터넷에선 보기 힘든 사람들 [10] 치열하게8498 19/09/22 8498 2
82813 [일반] 역대급 강아지 구충제 임상실험이 진행중입니다. [30] 윤정15004 19/09/22 15004 0
82811 [일반] [10] 실록에서 검색한 추석 관련 세 가지 이야기 [13] 이치죠 호타루6857 19/09/21 6857 11
82810 [정치] 검찰개혁 촛불집회가 대검찰청 앞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151] i_terran16611 19/09/21 16611 0
82809 [일반] 대학별 본고사는 안된다고 봅니다. [55] 미사모쯔11315 19/09/21 11315 6
82808 [일반] 오산 에어 파워데이 2019를 다녀온 후기 [24] 한국화약주식회사9565 19/09/21 9565 5
82807 [일반] 현 교육제도와 관련 된 미국 교포 아주머니의 얘기와 이런 저런 잡생각 [23] 가라한8709 19/09/21 8709 6
82806 [일반] 10회차 글쓰기 이벤트 공지드립니다. (주제: 추석)(기간 : 9월 22일까지) [15] clover13488 19/08/28 13488 4
82805 [정치] 북한 ICBM과 철사장 [33] 미사모쯔11853 19/09/21 11853 0
82804 [일반] 제17호 태풍 타파가 북상중입니다. [35] 아유12076 19/09/21 12076 1
82803 [일반] 안심전환대출 첫 주 11.8만건이 신청되었습니다. [67] 유랑14316 19/09/21 14316 0
82802 [일반] 가족 [4] swear5328 19/09/20 5328 2
82800 [일반] 뒷북이지만 추석때 본 추석 개봉 영화들 [23] 청순래퍼혜니8896 19/09/20 8896 0
82799 [일반] [10] 고향 [8] 아이유_밤편지6063 19/09/20 6063 15
82797 [일반] 이상한 예고편 떄문에 망한 최고의 히어로 영화 [30] 박진호15189 19/09/20 15189 16
82796 [일반] [스포주의] AD ASTRA 보고왔습니다. [18] 중년의 럴커8369 19/09/20 8369 1
82795 [정치] 갤럽 여론조사 '대통령 지지도 취임 후 최저치' [211] 고라파덕19516 19/09/20 19516 0
82794 [일반] 알지 못하는 어떤 사람을 떠올리며 [14] 글곰7889 19/09/20 7889 29
82793 [정치] 조국이 위법하지 않으면 사퇴하지 않아도 되는가 [189] 물멱16198 19/09/20 16198 0
82792 [일반] 통계로 본 일본 내 한국 관광객의 특성 [44] sakura15930 19/09/20 15930 5
82790 [일반] 영화 [예스터데이]를 봤습니다. (스포있습니다!) [13] chamchI9957 19/09/20 9957 1
82789 [일반] 인간관계에 대한 깊은 고민, 조언이 필요하네요. [28] 김유라9276 19/09/20 927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