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12/13 17:40:04
Name [couple]-bada
Subject 리그에서의 분위기...
이윤열 선수.. 최근 가장 강력한 force를 자랑하고 있죠..

과거 그랜드슬램시절의 모습이 아니냐.. 하는 것.

그런데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듭니다. 선수들마다 자기가 강력한 리그가 있고..

그 분위기라는게 존재하지 않는가..

이윤열 선수는 유독 mbc게임에서 강력한 것 같습니다.

엠겜 3연패(물론 kpga시절이지만), 프리미어리그 1패우승, 팀리그 올킬 등등..

하지만 온게임넷에서는 아주 강력한 포스를 자랑하던 파나소닉배 우승을 제외하곤

뚜렷한 성적이 없는것이 사실이지요... 프로리그에서도 부진한 편이고..

임요환 선수는 반대로 온겜에서의 성적이 엠겜보다는 좋은 것 같습니다.

최초의 2회 연속 우승, 최초의 3회 연속 결승 진출.. 비록 준우승이 많아졌지만

온겜서 우승 2회, 준우승 3회라는 거의 기록적인 경력을 자랑하고 있지요.

반면 엠겜서는.... kpga1차때 우승 이후로는 뚜렷한 성적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고..

아직도 마이너리그를 못벗어 나고 있지요.

최연성 선수가 그나마 양대방송사 가리지 않고 고른 활약을 펼치는 중입니다만..

박정석 선수도 온겜쪽에 가깝고.. 이병민 선수는 엠겜... 등등등

방송사마다 그 분위기가 다른 선수들이 꽤 많아 보입니다.

이윤열 선수... 최강의 Force를 자랑중이긴 합니다만....

그것은 프리미어리그에서의 국한된 분위기는 아닐지... 한번 생각해봅니다.

이런 말을 불식시키려면 온겜서 다시 한번 우승을 거두어야겠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이사르
04/12/13 17:48
수정 아이콘
맵이 통합된다고 하니 그다음에 다시 이문제를 알아보면 재미있을듯~^^

이윤열선수 요즘 정말 소름끼치도록 무섭습니다.
마법사scv
04/12/13 17:56
수정 아이콘
박정석 선수도 온겜에서 더 강하죠.
이윤열 선수가 안 강한 리그가 어딨겠습니까만.. 프리미어리그에서 더 돋보이는 듯~!!
요시오카세이
04/12/13 18:01
수정 아이콘
뭐..사실 이윤열 선수 온게임넷 성적이 나쁜편은 ' 절대 ' 아니죠. 온게임넷 승률 공동 2위에...7회 연속진출, 올라오자 마자 우승 1번에 8강 3번 16강 2 번...사실 여느선수와 견주어봐도 '좋은편' 에 속하죠. 단, 엠겜 성적에 비해 떨어질뿐. 결코 나쁜편은 아닙니다. 워낙 엠겜 성적이 화려해서 그렇지..^^;; 어쨌든 차기 아이옵스 스타리그 기대되네요~^^
[couple]-bada
04/12/13 18:08
수정 아이콘
나쁜편은 아니지만, 좋다고도 할 수 없는 성적이니깐요. 적어도 한 리그에서 강력하다. 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의 성적은 아니니.. 맵 탓인지 분위기 탓인지는 모르겠지만 유독 온겜서 그렇네요. 특히 죽음의조의 희생양이 자주 되는듯;
PENICILLIN
04/12/13 18:16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 온겜 포스 다시 잡아올려면 이번에는 진짜 4강은 기본으로 잡아야 하죠.
AntiqueStyle
04/12/13 18:18
수정 아이콘
요시오카세이쥬로 님 / 글쓴 분은 그랜드 슬래머 "이윤열" 이란 명성에 비해서 생각 하신듯 합니다. 제 생각도 "이윤열"이란 이름 석자에 비해 온겜넷 성적은 아직 시원치 않다고 생각 됩니다. 그래서 이번 아이옵스배가 무척 기대 됩니다. 어느 대회보다 이윤열 선수의 우승이 기대되는 대회라고 생각합니다. (최근의 포쓰를 보면...)
요시오카세이
04/12/13 18:26
수정 아이콘
AntiqueStyle // 아~ 넵~ 저도 글쓴님에 대한 딴지리플은 아니고 그냥 제 의견을 말한거예요~^^;; 좋은 하루되시길~~
04/12/13 18:52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는 선수 스스로가 특정 방송사를 마치 '마음의 고향'으로 생각하듯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닐까 합니다.(물론 추측입니다.) 선수들에게 중요하지 않은 경기나 리그가 어디있겠냐마는 그래도 우승을 경험했던 선수에게는 '여기는 내꺼'라는 인식이 부지불식중에 박힌다고 봐야죠. 이윤열선수도 당골왕배 조추첨식때 '안방같았던 MSL에서...'라고 하신 것을 보면 분명히 특정방송사에서 경기를 할 때 어느정도 심리적인 안정 또는 불안정을 갖고 경기를 한다고 볼 수 있겠죠.
04/12/13 18:53
수정 아이콘
근데 너무 당연한 얘기를 했네요-_-;
04/12/13 18:55
수정 아이콘
팬들도 어떤 선수를 특정방송사와 종종 연결시키곤 하죠....이윤열,최연성,강민은 엠겜쪽에 임요환,박정석선수등은 온겜에.....
아케미
04/12/13 18:58
수정 아이콘
예전에 이런 의문을 가진 적이 있었습니다.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MBCgame 마이너리그에 같이 올라간 선수, 온게임넷 챌린지리그와 MBCgame 메이저리그에 같이 올라간 선수. 두 선수의 차이는 무엇일까… 설마 풀리그와 더블 엘리미네이션의 차이인가-_-; 하고도 생각해 보았지요. 그런데 지금 보니 잇힝님 말씀이 맞는 것도 같습니다. ^^
아무튼 이윤열 파이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44 단세포적인 사고 [7] 총알이 모자라.3239 04/12/18 3239 0
9741 PvsZ, 주력이 변하고 있다? [13] selud4679 04/12/18 4679 0
9740 박용욱 vs 변은종 엠게임을 보고 [10] minyuhee4765 04/12/18 4765 0
9739 프로토스,두 갈래의 길로 나뉘는가? [5] legend4003 04/12/17 4003 0
9738 대저그전에서의 해법. 수비형 프로토스 그 첫단계부터 현재까지. [14] 애송이3634 04/12/17 3634 0
9737 너무 화가나서..... [46] infinity_5699 04/12/17 5699 0
9736 박정석vs변은종"때론 움츠러드는 것보단 만용이 필요할때가 있소……." [7] 오줌싸개3397 04/12/17 3397 0
9735 기죽지 말아라. 최연성! 그리고 기억해내라...그때를.... [26] 청보랏빛 영혼4847 04/12/17 4847 0
9734 오늘 경기 관전평 - 저그의 귀환, 징크스는 깨어지지 않았다 [19] 어딘데4019 04/12/17 4019 0
9733 A/S 확실한 제품으로 물건을 구입합시다.. [15] 아이리네3237 04/12/17 3237 0
9732 어제 MSL에서의 대 저그전이 해법일까? [5] 저그맵을 꿈꾸3228 04/12/17 3228 0
9731 수학적 명제에 관한 고찰 [26] The Warrior3866 04/12/17 3866 0
9730 저는 온게임넷 본선만의 성적을 조사해봤습니다. [33] 찌글링3617 04/12/17 3617 0
9729 osl 수익 다변화의 한 예 [11] 데오늬 달비3271 04/12/17 3271 0
9728 실리칸스 [7] 총알이 모자라.4885 04/12/17 4885 0
9727 저만의 랭킹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22] ClassicMild4947 04/12/17 4947 0
9726 당신은 자유인 입니까? [13] 비롱투유3469 04/12/17 3469 0
9723 7736번 글에 대한 리플레이 몇개, [13] 아트오브니자3647 04/12/17 3647 0
9722 프로토스 강자들의 저그전 포스가 살아나는가? [13] minyuhee4552 04/12/17 4552 0
9720 '~스러운'의 사용에 대해... [16] Velikii_Van3558 04/12/17 3558 0
9719 현재 포스로 보는 온겜 스타리그 예상. [21] 쫌하는아이.5364 04/12/17 5364 0
9718 어제 동네에서 연예인들을 봤습니다 [16] 치토스4809 04/12/17 4809 0
9717 과연 괴물은 그의 첫번째 천적을 물리칠수 있을 것인가..... [25] HerOMarinE[MCM]4924 04/12/17 49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