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12/09 18:51:57
Name 홍승식
Subject KeSPA의 역할과 프로게임리그에 대하여
지금 토론게시판에 가시면 지난 <엠비씨무비스배 엠비씨게임 팀리그> Soul 대 삼성 Khan 팀간의 경기에서의 <부적격선수 출전에 따른 몰수패>에 대한 토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을 보면서 이 기회에 KeSPA의 역할을 정확하게 규정하고 프로게임리그가 KeSPA의 주관하에 운영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 몇자 적어보려고 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KeSPA가 해야하는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업무는 자격을 심사하고 부여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프로게임리그, 프로게임단, 프로게임선수의 자격을 심사하고 그들에게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는 일이죠. 현재 진행되는 리그와 그에 참가하는 게임단/선수 들을 규정하고 일정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리그/단체/게이머 에 대해서는 참가를 금지시켜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무엇보다 프로게임선수의 신분에 대한 규정이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리그도 게임단도 선수들이 만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KeSPA가 규정하는 리그/게임단/선수의 자격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인대회(리그) : 협회가 요구하는 여러 기준을 만족하거나 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대회.
   http://www.e-sports.or.kr/regist/standard.html
- 게임단 : 게이머 협의회의 승인을 받고, 운영위원 과반수 이상의 출석과 출석인원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승인한 단체.
   http://www.e-sports.or.kr/regist/team_rules.html
- 선수 : 공인대회에서 입상한 후 협회의 소양교육을 이수하고 등록신청을 한 자.
   http://www.e-sports.or.kr/regist/procedure.html

KeSPA 홈페이지에 가시면 자세히 보실 수 있으시지만 현재의 자격요건은 공인대회에 참가한 사람을 대상으로 선수를 뽑고 그 선수로 게임단을 만들고 있습니다. 다시말해 대회 > 선수 > 게임단 식으로 신분을 규정하는 거죠. 게다가 이런 상태에서 가장 중요한 공인대회 심사가 가장 예외가 많습니다. (대회 규정은 주최측에 위임이라고 되어있죠. -_-;;)

이런식으로 규정이 되어 있으니 대회마다 규정이 다 다르고 선수들의 신분이 오락가락하며, 게임단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겁니다.

프로게임리그가 누가봐도 알 수 있게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되려면, KeSPA는 모든 규정을 선수를 기준으로 출발해야 합니다. 선수의 자격을 먼저 정하고 그에 따라 게임단과 대회의 자격을 정하면 될 것입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 대략적인 규정은 이렇습니다.

1. 프로게임선수
  ㄱ. 프로게임선수(이하 선수)란 협회에서 실시하는 커리지매치에서 입상한 자로서 소양교육을 마치고 협회에 등록한 자를 말한다.
  ㄴ. 선수가 소양교육을 2회이상 무단불참하면 자격이 정지된다.
  ㄷ. 선수가 협회가 공인하는 대회가 아닌 게임대회에 사전 승인없이 참가하면 징계를 받으며 2회 이상 사전 승인 없이 비공인대회에 참가하면 자격이 정지된다.
  ㄹ. 선수는 협회의 기본 규정 및 대회 주최측의 규정을 준수하여야 하며 이를 위반하면 징계를 받는다.

2. 프로게임단.
  ㄱ. 프로게임단(이하 게임단)은 선수가 2명이상 소속된 단체로 게이머협의회의 추천을 받고 협회에서 승인한 단체를 말한다.

3. 프로게임대회
  ㄱ. 프로게임대회(이하 대회)는 협회가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선수/게임단이 참가하는 대회를 말한다.
  ㄴ. 선수 또는 등록대상자,게임단이 아니면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
  ㄷ. 대회에서 선수가 아닌 자가 경기를 하면 해당 전적은 무효가 되며, 상대선수의 부전승이 되고, 대회 주최측은 징계를 받는다.
  ㄹ. 대회의 규정은 협회의 규정을 따르며 협회에 규정이 없으면 주최측의 규정을 따른다. 주최측의 규정에도 없는 사항은 해당 리그 운영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이상이 제가 이렇게 되었으면 좋겠다 생각하는 KeSPA 규정 중 일부입니다.

지금의 방송사 중심의 프로게임리그가 KeSPA가 보다 더 명확한 규정으로 중심을 잡는 리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lytotheSKY
04/12/09 19:07
수정 아이콘
차라리 협회가 아닌 우리가 e스포츠 규정을 만들었음 좋겠다는 생각을 자주 합니다... 어쩌다 이지경이 된건지 -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49 KeSPA의 역할과 프로게임리그에 대하여 [1] 홍승식4163 04/12/09 4163 0
9548 키가 머길래......... [42] 희망7443 04/12/09 7443 0
9546 미성년자 처벌.. 그 당위성에 관한 논란?! [35] 8분의 추억4240 04/12/09 4240 0
9545 나다 팬들 긴장하세요. 초짜가 돌아옵니다! [49] nbastars_tt5256 04/12/09 5256 0
9544 정말 고민입니다. 아무래도 다단계 업체같습니다. [10] iamdongsoo4325 04/12/09 4325 0
9543 축구 소식 몇 개 [14] 수시아3519 04/12/09 3519 0
9542 사형제도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47] THE LAKE3738 04/12/09 3738 0
9541 이용범선수.. [22] 너에게로또다4814 04/12/09 4814 0
9539 이봐 곰 그렇다면 이글의 기준은 무엇이더냐? [12] Gommmmm3561 04/12/09 3561 0
9538 방송경기를 시청하는것이 악이 되는사람. [6] 보고싶소_부인3140 04/12/09 3140 0
9537 wow 을 하고 있습니다. [15] Hilbert3583 04/12/09 3583 0
9536 정말 지켜보기 갑갑해서 한번 적어봅니다. [4] DeZiGoGi3353 04/12/09 3353 0
9535 [잡담] 수능 부정과 대물림, 과연 정말 몰랐을까? [8] 정석보다강한3273 04/12/09 3273 0
9534 블리자드의 행태에 대하여 [28] 보리3816 04/12/09 3816 0
9533 꿈에서 죽음을 느끼다. [해몽좀...] [9] 미츠하시3330 04/12/09 3330 0
9532 나다,그를 본받고 싶다 [19] 아트오브니자3788 04/12/08 3788 0
9530 2004 3rd 챌린지리그 예선 참가자 명단입니다. [78] 블루스카이6006 04/12/08 6006 0
9529 내 돈 900원이여... 내 돈 900원이여 [12] 테란유저3338 04/12/08 3338 0
9528 역시 한빛은 죽지 않았다 ! [15] EzMura3293 04/12/08 3293 0
9526 밸런스에 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20] 송혜교짱3336 04/12/08 3336 0
9525 SKTelecom T1... 졌습니다. 완벽히 졌죠...하지만 그래도... [48] 청보랏빛 영혼6425 04/12/08 6425 0
9524 KTF 승리를 축하합니다. [54] 미래4267 04/12/08 4267 0
9523 온게임넷 우승자 징크스에 관심집중!! ^-^ [20] 마음속의빛3347 04/12/08 33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