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
2004/01/10 16:15:16 |
Name |
서창희 |
Subject |
간추린 실용 띄어쓰기(2) |
(5) 수를 적을 때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한글 맞춤법 제 44 항)
십이억 삼천 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구
12억 3456만 7899
다만, 금액을 적을 때에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붙여 쓸 수 있다.
일금 : 삼십일만오천육백칠십구원정
돈 : 일백칠십육만오천원임.
(6)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말들은 띄어 쓴다.(한글 맞춤법 제 45 항)
국장겸 과장 -> 국장 겸 과장
열내지 스물 -> 열 내지 스물
부산, 광주등지 -> 부산, 광주 등지
책상, 걸상등이 있다. -> 책상, 걸상 등이 있다.
이사장및 이사들 -> 이사장 및 이사들
청군대 백군 -> 청군 대 백군
(7)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쓸 수 있다.(한글 맞춤법 제 46항)
그때 그곳, 좀더 큰것
이곳 저곳, 내것 네것
이말 저말, 이집 저집
한잎 두잎, 한잔 술
좀더 큰 이 새집
(8)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한글 맞춤법 제 47 항). 다만, 이 조항은 교육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칙 조항을 적용한다.
<원칙> <-> <허용>
영어를 배워 가지고 <-> 영어를 배워가지고
불이 꺼져 간다. <-> 불이 꺼져간다.
견디어 내다. <-> 견디어내다.
논을 갈아 놓다. <-> 논을 갈아놓다.
자꾸 먹어 댄다. <-> 자꾸 먹어댄다.
이만 말해 두겠다. <-> 이만 말해두겠다.
신문을 읽어 드리다. <-> 신문을 읽어드리다.
할 만하다. <-> 할만하다.
먹어 버리다. <-> 먹어버리다.
그럴 법하다. <-> 그럴법하다.
좋은가 보다 <-> 좋은가보다.
읽어 보아라. <-> 읽어보아라.
죽을 뻔하였다 <-> 죽을뻔하였다.
날이 밝아 오다. <-> 날이 밝아오다.
때려 주다. <-> 때려주다.
잘난 척하다. <-> 잘난척하다.
일이 될 성싶다. <-> 일이 될성싶다.
(10) 파생어는 붙여 쓴다.
1. 접두사는 붙여쓴다.
강 추위 -> 강추위
민 대가리 -> 민대가리
풋 나물 -> 풋나물
개 살구 -> 개살구
새 파랗다 -> 새파랗다
한 여름 -> 한여름
날 김치 -> 날김치
선 하품 -> 선하품
햇 것 -> 햇것
늦 더위 -> 늦더위
싯 누렇다 -> 싯누렇다
홑 이불 -> 홑이불
돌 미나리 -> 돌미나리
잔 소리 -> 잔소리
한 가운데 -> 한가운데
맨 발 -> 맨발
짓 이기다 -> 짓이기다
붙임 1. 이와 같이 붙여 쓰는 접두사와 구별해서 관형사는 띄어 쓴다. 관형사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각학교 -> 각 학교
맨처음 -> 맨 처음
새학교 -> 새 학교
웬소리 -> 웬 소리
갖은고생 -> 갖은 고생
몇사람 -> 몇 사람
아무고생도 -> 아무 고생도
저사람 -> 저 사람
그아가씨 -> 그 아가씨
몹쓸놈들 -> 몹쓸 놈들
여러가지 -> 여러 가지
첫나무 -> 첫 나무
너댓개 -> 너댓 개
무슨소리 -> 무슨 소리
옛친구 -> 옛 친구
한가지 -> 한 가지
두어사람 -> 두어 사람
뭇백성 -> 뭇 백성
온갖고생 -> 온갖 고생
한두집 -> 한두 집
2. 접미사는 붙여 쓴다.
정치 가 -> 정치가(政治家)
팔월 경 -> 팔월경
정성 껏 -> 정성껏(精誠껏)
까드락 거리다 -> 까드락거리다
충무 공 -> 충무공(忠武公)
보름 께 -> 보름께
한 사람 꼴 -> 한사람꼴
처가 살이 -> 처가살이
미국 제 -> 미국제(美國製)
욕심 꾸러기 -> 욕심꾸러기
증권 거래 소 -> 증권 거래소
만주 족 -> 만주족
애인 끼리 -> 애인끼리
사교 술 -> 사교술
문 지기 -> 문지기
영감 님 -> 영감님
창피 스럽다 -> 창피스럽다
되 직하다 -> 되직하다
어른 답다 -> 어른답다
격퇴 시키다/격퇴 하다/격퇴 되다 -> 격퇴시키다/격퇴하다/격퇴되다
십 원 짜리 -> 십 원짜리
봉변 당하다 -> 봉변당하다
하나 씩 -> 하나씩
여러 개 째 -> 여러 개째
심술 딱지 -> 심술딱지
한국 어 -> 한국어
미심 쩍다 -> 미심쩍다
주목 바다 -> 주목받다
교사 용 지침서 -> 교사용 지침서
어디 쯤 -> 어디쯤
부산 발 서울 행 -> 부산발 서울행
고아 원 -> 고아원
피 투성이 -> 피투성이
앉은 뱅이 -> 앉은뱅이
신임 장 -> 신임장
미련 퉁이 -> 미련퉁이
학년 별 -> 학년별
산화 제 -> 산화제(酸化劑)
신격 화 -> 신격화
3 분의 2 -> 3분의 2
단원 제 -> 단원제
(11) 첩어 또는 준첩어는 띄어 쓰지 않는다.
가깝디 가깝다 -> 가깝디가깝다
들락 들락 -> 들락들락
이모 저모 -> 이모저모
가끔 가끔 -> 가끔가끔
매일 매일 -> 매일매일
일기죽 얄기죽 -> 일기죽얄기죽
곤드레 만드레 -> 곤드레만드레
생긋 생긋 -> 생긋생긋
지껄 지껄 -> 지껄지껄
굴쩍 굴쩍 -> 굴쩍굴쩍
엉큼 성큼 -> 엉큼성큼
찌그락 짜그락 -> 찌그락짜그락
기우뚱 기우뚱 -> 기우뚱기우뚱
여기 저기 -> 여기저기
차례 차례 -> 차례차례
너울 너울 -> 너울너울
요리 조리 -> 요리조리
하나 하나 -> 하나하나
두고 두고 -> 두고두고
이러나 저러나 -> 이러나저러나
하루 하루 -> 하루하루
(12)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한글 맞춤법 제 48 항).
김양수(金良洙)
박동식 박사
최치원 선생
채영신 씨
서화담(徐花潭)
충무공 이순신 장군
(13)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한글 맞춤법 제 49 항). 다만, 이 조항은 교육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칙 조항을 적용한다.
<원칙> <-> <허용>
대한 중학교 <-> 대한중학교
한국 대학교 사범 대학 <-> 한국대학교 사범대학
한국 대학교 의과 대학 부속 병원 <-> 한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14)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한글 맞춤법 제 50 항). 다만, 이 조항은 교육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칙 조항을 적용한다.
<원칙> <-> <허용>
중거리 탄도 유도탄 <-> 중거리탄도유도탄
만국 음성 기호 <-> 만국음성기호
긴급 재정 처분 <-> 긴급재정처분
손해 배상 청구 <-> 손해배상청구
붙임 5. 명사와 동사, 동사와 동사, 부사와 동사로 서로 어울려 말끝이 '기' 로 끝나는 말로서, 하나의 동작, 작업, 상태, 놀이를 나타내는 술어는 붙여 쓴다.
가지 고르기 -> 가지고르기
높이 뛰기 -> 높이뛰기
삼단 뛰기 -> 삼단뛰기
거름 주기 -> 거름주기
듣고 부르기 -> 듣고부르기
외어 부르기 -> 외어부르기
까막 잡기 -> 까막잡기
벌 치기 -> 벌치기
이어 달리기 -> 이어달리기
노래 부르기 -> 노래부르기
사이 짓기 -> 사이짓기
이어 짓기 -> 이어짓기
붙임 9. 하나의 구령(口令)은 붙여 쓴다.
앉아 쏴/엎드려 쏴 -> 앉아쏴/엎드려쏴
앞으로 나란히 -> 앞으로나란히
우향 우/좌향 좌 -> 우향우/좌향좌
앞으로 가/뒤로 돌아가 -> 앞으로가/뒤로돌아가
열중 쉬어/편히 쉬어 -> 열중쉬어/편히쉬어
제자리 에서 -> 제자리에서
붙임 10. 역사적인 서명, 사건명, 관청명, 관직명, 화폐명 등은 붙여 쓸 수 있다. 그러나 뚜렷이 별개 단어로 인식되는 것은 띄어 쓴다.
경국대전, 동지춘추관사
동국여지승람, 중서문하성
갑오경장, 상평통보
임진왜란,
의암 선생 행장기
붙임 11. 우리말로 된 음식 이름은 붙여 쓴다.
감자 조림 -> 감자조림
김치 찌개 -> 김치찌개
새우 튀김 -> 새우튀김
김치 볶음밥 -> 김치볶음밥
도토리 묵 무침 -> 도토리묵무침
쇠고기 덮밥 -> 쇠고기 덮밥
<'교과서 편수 자료 2 - 1' 에서>
글을 적으면서 정말 지켰다고 지켰는데도 내가 틀리고 있었던 부분이 많구나라고 다시 느낍니다.
여러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