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1/09 16:50:40
Name 아싸가고일
Subject 글이라는 것에 대해 느끼는 것들
고등학교 시절부터 알게 된 친구 하나가 군대에 갔습니다. 생각해 보면 그때는 정말 주위에 스타를 잘하는 친구들이 많았던 기억이 납니다. 조금 더 전문적으로 하면 진짜 프로게이머 해도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던 많은 친구들……. 그 가운데 저는 제일 못했었던 아픈;; 기억까지 생각나는군요.

군대간다고 msn으로 말을 걸더군요. 휴가 나오면 PC방비 내가 낼 테니 스타나 하자고 했더니만 싫다고 물리기로 하자고 하더군요. 그때부터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냥 국민학교 이후로 많은 추억들이 그냥 마구 떠오르더군요.

요즘 굉장한 매너리즘에 빠져있습니다. 그냥 삶이 그러는 중인데 지금은 학교 도서관에서 알바를 하고 있던 중에 사서 분들은 모두 퇴근하시고 5시까지 시간 때우면서 컴터하다가 pgr에서 글을 읽고 있었습니다. 오랜만에 들려서 읽는 글은 보통 리플이 많이 달린 글들을 보게 됩니다. 자유게시판에서의 글을 읽는 나름의 기준이죠. 그러다가 아래쪽에 고수가 되는 법에 대한 글을 읽었습니다. 리플수를 보고 ‘굉장한 의견들이 달렸군. ‘ 이라는 생각으로 다들 나름의 노하우로 서로 논쟁중인가 하는가 보나하고 최근 허접의 끝자락에서 늘지 않는 실력을 한탄하던 차에 클릭을 하게 되었던 것이죠.

기대와는 다른 상황에 약간 실망하면서 글을 읽었습니다. 고작 5개 미만인 듯 하더군요. 정작 고수가 되는 방법에 대한 리플은……. 저는 pgr에 대한 애정을 매우 가지고 있는 회원 중 하나입니다. 리플 중에 “자유”게시판이 아니라 자유“게시판”이라는 표현이 매우 마음에 들었습니다. 온라인은 무규칙이라는 공식이 있는 것 같아서 솔직히 웬만하면 어디서 리플 같은 것 보지 않습니다. 정말 뭐를 입에 물고 말하는 것도 짜증나고요.

저번학기 국어 관련 수업에서 들었던 말이 생각납니다. 좋은 글이란 내용이 어쩌고 이전에 일단 A4용지로 프린트 했을 때 네모반듯하게 글들이 써져 있고 들여쓰기 잘 되어있고 전반적인 모양이 바르게 되어있어야 비로소 글 내용이 어떤가 보는 거라고요. 그러시면서 한 장의 글을 보여줬던 기억이 납니다. 표현을 빌려서 말하자면 니들이 글 쓴 것을 프린트해서 보면 정돈이 되어있지 않다고요. 문단도 제대로 안 나눠져 있다고요. 표현이 어쩌고 내용이 어쩌고 심지어 맞춤법이 어쩌고 그 이전에 바르게 이를테면 각이 딱 잡혀 있어야한다 랄까요?

뱀다리. 글을 쓰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굉장히 글을 많이 쓰는 편인데 (관리하는 클럽에 글을 많이 쓰지요;;) 내용이나 구성 암튼 배워서 해결해야 하는 것들은 배우지 않은 건 모르니 어쩔 수 없지 않습니까? 그래서 워드의 도움을 받아 글을 쓰는 것이 많은 도움에 된다고 살포시;; 생각을 해봅니다. 이글도 한글의 도움을 받고 있고요.

뱀다리2. 고민입니다. 스타고수가 되고 싶은데 말이죠. 저는 개인적으로 마인드 전환이 필요한 하수라고 생각합니다. 음.. 어찌해야 실력이 늘려는지 아~ 글을 쓰다보니 이제 퇴근시간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싸가고일
04/01/09 16:51
수정 아이콘
쓰고나서 확인을 눌렀는데 권한이 없다고 나와서 깜짝 놀랐습니다;; 로그인이 도중에 풀렸더군요;
04/01/09 16:56
수정 아이콘
뱀다리2의 답변입니다. 고수가 아닙니다. 저도 하수입니다. kOdh님의 글 어느정도 읽으시겠죠? 그럼 그거 보고 하면 될거 같습니다. -0-! 리플레이.. 중요하죠. 요즘엔 이용범 선수의 리플을 잔뜩 구해놓고 제 리플이랑 비교해봅니다. 비교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이 저는 되지 않지만 그래도 하고 있습니다.
게임의법칙
04/01/09 18:03
수정 아이콘
군대 가서 휴가 나오면 스타실력이 장난 아닙니다.
예전에 100일 휴가 나와서 하는데 SCV 뽑고 서플 짓고 배럭까진 지었는데 그 뒤에 뭘해야 되는지 모르겠더군요. -_-
물리기를 하면 좋은 결과가 있으실 겁니다.
개인적으로 실력 늘리기라면 역시 고수의 직접 가르침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만..
요즘은 리플 분석하는 프로그램이 좋아서 볼만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1 왜 맞춤법으로 논쟁하십니까? [29] 하와이강4542 04/01/09 4542 0
890 [잡담] 12일에 군입대 합니다.. 군입대보다 더 슬픈것은.. ㅠ.ㅠ [14] 박영진3698 04/01/09 3698 0
888 공상비과학대전 - 설정편 [13] 총알이 모자라.3763 04/01/09 3763 0
889 [잡담]황당하네요.. [11] Go_TheMarine3974 04/01/09 3974 0
887 내가 생각하는 최고인 사람들 [15] Be_on_Da4338 04/01/09 4338 0
886 글이라는 것에 대해 느끼는 것들 [3] 아싸가고일3043 04/01/09 3043 0
885 [기쁨-_-] 크하하 단어아이디 만들었습니다.!! [14] 잃어버린기억3832 04/01/09 3832 0
883 궁합 [18] white3092 04/01/09 3092 0
882 '너'와 '나'.....중요한것은? [6] CopyLeft2796 04/01/09 2796 0
881 편입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4] 튼튼한 나무2889 04/01/09 2889 0
879 SG 기획 이준호입니다.[수정] [113] 이준호11151 04/01/09 11151 0
878 TV에 나왔어요^^ (실미도) [9] 찬양자3321 04/01/09 3321 0
876 추억 되살리기.. (추게) [6] 프토 of 낭만2950 04/01/09 2950 0
875 홍진호선수에 대한 단상 [15] 허강석5267 04/01/09 5267 0
874 전설의 마우스가 공구가 성사 되었군요. [15] 빠붐이5055 04/01/09 5055 0
873 프로게이머의 비즈니스에 대한 고찰 [12] 홍포바인4195 04/01/09 4195 0
872 러커........ 그리고 마린......... [12] 진상훈4984 04/01/09 4984 0
871 무엇을 위한 선택인가? [65] SmartChoice6833 04/01/09 6833 0
870 박용욱 선수. [25] 세레네이7443 04/01/09 7443 0
869 MSL 1주차 감상문 ^0^)/ [6] 킁킁4588 04/01/09 4588 0
868 "고수가 되기위한 지름길..." [52] kOdh4658 04/01/09 4658 0
867 부탁한가지 드리겠습니다... [9] CopyLeft3168 04/01/09 3168 0
866 WGtour 그 즐거움 그리고 고통.. [12] 킁킁3792 04/01/09 379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