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1/08 00:01
방송 경기 보면 최연성 선수 만큼 멀티 체킹 잘하는 선수 없던거 같던데.... scv가 아까울 정도로 멀티 체킹 자주 하던데요....플토나 테란전은 벌처로 수시로 확인하고...
04/01/08 00:08
연성님은 세 종족 모두 GameI 2000 점 이상이라고 하시죠..
음.. 그 만큼 각 종족의 특성을 잘 알고 있다는 얘기니.. 궂이 확인을 안해도 다 안다는 말... -_-;; 하지만 프로와 프로의 경기에서는 어떤 변수가 생길지 모르니 체크를 하시는것 같네요..
04/01/08 00:29
가정 1에 대한 설득력을 뒷받침해주는 최연성 선수의 인터뷰 내용이 있었지요. 지난 Hanafos CEN GAME MSL 조지명식(추첨식) 인터뷰에서 지난 결승전 홍진호 선수와의 3경기에 대한 질문을 중계진에서 물어보니깐 답변 내용이 "원래 연습을 통해 준비한 대로라면 드랍쉽 4대까지만 생산하고 경기가 끝났어야 했는데, 그 이상의 상황이 발생해서 당황했었다"라는 내용의 발언을 했었죠.
드랍쉽 4대에서 끝났어야 했다는 그 말에서 치밀한 준비와 연습량을 느낄 수 있었답니다.
04/01/08 00:30
그런 맵핵과도 같은 플레이를 하기위해서 오늘도 고수를 꿈꾸는 많은 사람들이 로템에서 수십판을 연습하고 있죠. 저글링의 움직임만 보아도 저그가 노리는 빌드를 예측할 수 있을 정도로 말이죠. 초고수의 세계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입니다. ㅠ.ㅠ 방송 경기에서도 맵핵과 같은 플레이가 나오는데 (엔터더드래곤에서의 임요환vs박상익 전, 개마고원에서의 최연성vs박태민 등등) 자다가도 지도를 그릴 수 있는 로템에서야 더하면 더했지 못할게 있습니까.
04/01/08 00:32
오.. 엄청난 연습량.. 하기사 1년전에 임요환 선수가 최연성 선수를 예언했었죠.. 그럼 1년전부터 임선수 및 오리온 팀한테 훈련을 받았겠죠.. 임선수가 키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듯.. 여기서 잡담.. 그럼 박정석 선수는 김동수님이 키운 걸까;;;
04/01/08 00:36
최연성선수 방송경기에서는 멀티채킹을 수시로하던데요.. 대표적인 경기로는 요번 첼린지리그 vs 나경보 전 노스텔지아 를 보면서 깨달앗는데 SCV죽으면 또보내고 SCV죽으면 또보내고.. 그러던것 같던데요.. 아마 옛날 리플(연성선수가 괴물화 되기 전-_-;;) 이 아닐지..
04/01/08 00:36
아닌데요...멀티채킹 잘 합니다..제가 본 리플이랑 님이 본리플이랑 달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꼭 scv한기씩 갖다 놔서 멀티채킹을 하던데요...그리고 상대편이 언제 러쉬 올지 모르니 상대의 삼룡이멀티 지역근처에(로템기준) scv한기씩도 잘 갖다두던데요... 몇 경기가지고 최연성 선수의 플레이를 평가하는건 좀 아닌듯 싶은데요...
04/01/08 00:37
]fanta[님/ 그런 민감한(?) 발언은 쪼~ 금만 완곡하게 해 주세요. 예전에도 그걸로 굉장한 논쟁이 있었는데..-_-; 아무튼 최연성 선수, 아마추어 때 리플 보면 굉장히 특색있고 강력한 선수였지만 지금처럼 초특급 플레이까지는 아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근 1년만에 정점에 달할 정도의 실력이라면 그의 연습량은 말할 것도 없겠죠. 이래저래 방송에서 인터뷰하는 걸 봐도 굉장한 연습맨~! 이라는 게 팍팍 느껴진다는..
04/01/08 01:00
SummiT[RevivaL]님//물론 많이 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 경기들에서 너무나도 이상해서 차마 나머지 리플들을 보지도 않고 성급히 글을 올렸습니다^^ ygclan에서 최연성으로 검색을 해서 최근 몇가지(테테전을 제외한)를 받았는데 최근것이 그것들이라니... 하는 생각으로 일딴 여러분들도 그런 의문점이 있는지 여론조사 비슷하게^^;했습니다. SummiT[RevivaL]님 리플레이들좀 공유해주세요^^
04/01/08 05:27
저도 한가지 가정을 해보자면. 최연성 선수의 좀 오래된 리플레이라서 그런 것이 아닐까요? 최연성 선수의 게임아이 시절, 혹은 데뷔초 의 대저그전과 요즘 날리고 있는 최연성 선수의 대저그전은 스타일이 달라진 편입니다. 그시절 최연성 선수는 더블커맨드를 해서 상대가 아무리 멀티를 많이 하던지 더블커맨드가 가장 강력해지는 타이밍에 상대에게 치명타를 주고 경기를 이끄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요즘은 나름대로 타이밍이 다양한 편입니다. 2003년 여름까지만 해도 최연성 선수가 아직 괴물일 시기가 아니라서 그 이후에 더 많은 발전을 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역시 저만의 가정이었습니다.
04/01/08 05:42
최연성선수 방송경기들을 보면 날아가는 드랍십 위에 스캔 찍는 경우도 상당히 자주 나오더군요 -_-;; 이욤환 선수도 그렇고요
아마도 최연성, 임요환선수의 모니터는 반으로 갈라져서 반은 자신 화면 반은 상대 화면이 나오는게 아닐런지..?
04/01/08 09:31
최연성 선수는 역시 치터...?? ^^. 제가 본 리플에서도 멀티채킹 잘 하시던데요.. 흠..
시미군님- 이욤환 선수의 압박이 ^^;;;
04/01/08 09:54
최연성선수는 자신의 플레이에 강한 자신감을 가지고 플레이하는것이 아닐까요? 상대가 이타이밍에 무엇을 할지 충분히 알고...이 타이밍에 삼지안드랍이 온다면 멀티할 자원이 안돼 된다하더라도 본진이 허술하겠군. 하면서 본진으로 그냥 쑥 들어가서 GG받아내는게 아닐지...
04/01/08 12:03
테란이 대 저그전 상대로 스켄 모일때마다 쓰는건 아니라고 생각해용 ~_~ 럴커 드랍에 대비해 약간의 여유분을 남겨두기도 하고.. 히드라나 뮤탈리스크 아니면 하이브 타이밍을 보려면 최소 2방 보통 3방은 남겨 둬야 합니다 (앞마당 본진 3번째 해쳐리) 스켄마나가 100~150이라면 한번에 저그의 상황을 모두 볼수 있지만 따로따로 한번씩 쓴다면 본진은 보이되 앞마당엔 무슨건물이 지어지는지 알수 없죠 ^_^;; 50모일때마다 바로바로 쓰면서 한곳을 못보는것 보단 좀 모았다가 여러곳을 보는게 더 좋다는 개인적인 생각;;;
04/01/08 13:19
최연성 선수.. 최근들어서 멀티 장난아니게 정찰 열심히 합니다. 아마 조금 오래된것이 아닐까 싶구요.. 최근 최연성선수의 플레이를 보면서 느끼는 거지만 임요환 선수의 장점들이 하나씩 스며드는 것 같습니다. 멀티 견제나 미니맵활용이나 타이밍이나.. 점점 성장해 나가는 모습이.. 심히 두렵네요..
04/01/08 16:14
제가 아는 옛날의 최연성선수는 답답하다 싶을정도로 상대의 멀티타이밍을 꿰뚫어보지 못햇습니다.. 그 대표적인예가 1차 프로리그 대 성준모선수와의 경기인데요.. 2시지역을 왠만하면 알텐데 못알아채죠..그렇다 치고.. 스타사랑무한대님말씀처럼 최연성 선수도 자신이 멀티 체킹 못한다는걸 느끼고는 임요한선수에게 열심히 배운걸로 압니다...;;그리고 스캔은 별로 그다지 쓸필요가없는거 같습니다.. 제가 잘난건 아니지만.. 확장할타이밍은 꿰뚫고잇거든요.. 근데 스캔안뿌리고 들어가면 맵핵이라고 하니 ㅡㅡ; 어쩔수없이 뿌리는거지만.. 암튼 최연성 선수 요즘은 멀티체킹이니 뭐니.. 최강의 테란임이 틀림없습니다. ^^;
04/01/08 20:33
임병성님// 제가 본리플에선 저그의 본진(보통 저그의 테크를 확인 할려고 스캔.러커or 뮤탈인지)에 스캔을 때리는게 일반적이지 않나요? 본진 스캔이 완성돼면 저그의 압마당이나 본진에 스캔을 때려서 저그의 테크를 확인하는게 정설 아닌가요?
04/01/09 05:13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ㅇ..ㅇ 스켄 완성되자마자 본진에 스켄을 했다 치면.. 저그는 스켄장소가 안개로 덮히는순간 그곳에 무언가를 합니다.. 그럼 테란은 다음 스켄을 앞마당에하겠죠... 그럼 테란은 보는게 없죠 ㅠ_ㅠ 그래서 차라리 100을 모아서 앞마당 본진 한번에 2군데를 본답니다 저는 ㅡ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