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09/03 10:56:20
Name 오타니
File #1 7265957136_14339012_3b07316a82670ef6a00bf9c28b67f7f4.jpg (102.7 KB), Download : 1882
Subject [LOL] 2025 APAC리그에 대해 알아보자 (수정됨)


2025 리그오브레전드 APAC 리그에 관해 현재 알려진 정보들입니다. (발로란트 정보 아닙니다)

[01] 2025년도는 전 세계의 리그를 총 5개의 권역으로 분리합니다. LPL, LCK, LEC는 기존과 같고, Americas, APAC리그가 신설합병리그로 출범합니다.

[02] APAC 리그 PCS, VCS, LJL, LCO 태평양지역 4대리그를 통합하는 Tier1리그가 될 것이며, 2025 스플릿 1(윈터)부터 출범합니다. 현 기준 PCS와 VCS 간의 통합이긴 합니다만, 굳이 4대리그라고 부른 이유는 지역리그가 폐지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후술)

[03] APAC 참가팀 8팀이며, 파트너 시드 4팀게스트 시드 4팀으로 구분됩니다.

[04] 파트너 시드 4팀은 라이엇에서 선정합니다. 7월 중 라이엇에서 이미 해당지역리그 팀에 한해 참가신청을 받았습니다. 파트너 팀의 선정방식은 리그 성적과 재정(스폰서)현황, e스포츠 투자 등을 총괄하여 심사하며, 라이엇의 파트너로서 함께할 4팀은 추후 발표예정입니다.

[05] 게스트 시드 4팀은 라이엇에서 초청한 2팀과 PCS와 VCS 서머 플옵 기준 제일 순위가 높은 비파트너 2팀(각 1팀)입니다.

[06] APAC 리그는 승강전이 존재합니다. 파트너팀은 프렌차이즈와 같이 성적과 관계없이 잔류합니만, 초청된 2팀(또는 이상)은 연말에 치뤄지는 승강전 슬롯이 됩니다.

[07] 4대리그는 APAC의 하위리그로 계속 잔존합니다. APAC 참여팀을 제외하고 운영되는 해당지역리그의 상위팀은 차년도 APAC에 참여할 수 있는 승강전의 기회를 얻습니다. 즉 기존 4대리그는 유럽의 EM리그가 되고, APAC 리그는 승강전 있는 LEC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08] PCS 우승팀인 PSG탈론과 VCS 우승팀인 GAM이스포츠2025 APAC 참여가 확정되었습니다. 이 팀들이 만약 파트너 팀으로 선정될 경우 해당리그의 파트너 팀이 아닌 서머성적 차순위 팀이 초청팀으로 참여합니다.

[09] 2025 시즌 개최지는 현 PCS의 대만 타이베이입니다. 각 스플릿 이후의 플옵장소와 결산 챔피언십 장소는 미정입니다.

[10] 2026년도 이후 참가팀 슬롯이나 승강전 방식 등은 전혀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11] APAC리그는 각 지역의 상위 대표팀들이 만나는 미니 국제전이 되어 뷰어십의 상승을 가져올 예정입니다. 참고로, 2024 스프링 시즌 기준, 4대리그의 최고 뷰어십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머 뷰어십은 아직 확인을 못했습니다.) VCS 312,539명 / PCS 129,489 / LJL 56,346 / LCO 7,142 즉, LCO 기준, LJL은 8배, PCS는 18배, VCS는 43배입니다.

[12] 여기서부터는 제 예상 참가팀입니다.
파트너 4팀 : PSG탈론 / GAMe스포츠 / SHB(소프트뱅크) / CFO or 팀시크릿  
게스트 2팀(자동) : VKE(구,사이공버팔로 VCS2위) / FAK(PCS3위)
게스트 2팀(초청) : LCO 1팀(지역균형) / 동남아 1팀 or  DFM
그래서 PCS2~3팀, VCS2~3팀, LJL1~2팀, LCO1팀, 동남아연고 0~1팀 이렇게 구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예측입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12번 제외 잘못된 정보 있으면 알려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비오는일요일
24/09/03 11:05
수정 아이콘
재밌는 시도네요. 축구의 슈퍼리그 같은 개념인 거 같은데.
권리를 온전히 라이엇이 가지고 있다 보니까 가능하군요.
경쟁력에도 도움이 될 거 같긴 하네요.
24/09/03 12:05
수정 아이콘
vcs 지나치게 과대평가되서 항상 시드 많은거 의아했는데 정상화되서 다행입니다
그림자명사수
24/09/03 13:11
수정 아이콘
안타까운 일이지요
롤 인기가 한창 치솟던 시기에 코로나로 출국이 아예 불가능해지면서 국제대회 출전이 불발되고, 이제 좀 나가볼까 하는데 승부조작 터지면서 리그 곱창나고...
Karmotrine
24/09/03 13:43
수정 아이콘
강함보다는 마켓을 보고 투자한 느낌이긴 했죠 발로 중국판처럼 결국 실력도 상승하길 바라면서
가끔 퐁부가 G2 두번 잡는다던가 GAM이 TES 떨군다던가 하는 이변도 만들어내기도 하고 그러긴 했지만
Liberalist
24/09/03 16:39
수정 아이콘
저도 VCS의 어마무시한 고평가는 은근히 불만이 있었기 때문에, 이 방향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김삼관
24/09/03 12:15
수정 아이콘
발로란트 생각해보면 섞어서 같이 지내는 거 좋아보여요 많은 탈락팀이 있겠지만 팬들은 결국 높은 티어의 경기를 찾아보게 되니까요
24/09/03 14:22
수정 아이콘
어쩌다 보니 LJL 조금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LJL이 뭔가 국내 우승은 계속 되지만, 진짜로 제대로 힘을 시험해 볼 곳이 일년에 한 번인 국제 대회라서 더더욱 리그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지 않았나 싶었는데, 플레이오프가 통합되어 당장 넘어야될 벽 PSG가 생겼다는 의미에서 좋은 쪽으로 변화가 생겼다 싶더군요.
오타니
24/09/03 14:37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좋은쪽으로의 변화 같습니다.
우선 당장 5대권역이 동등한 위상을 같습니다. 막말로 2025 월즈기준, 기본티켓이 LCK도 3장, APAC도 3장이거든요. (지금 LCK4장은 모두 스위스직행이고, PCS-VCS 총 4장은 모두 플인인데 내년에는 위상이 완전 같아집니다)
라이엇은 동남아쪽 각지역 상위팀들 모아서 투닥투닥 하다보면, APAC 지역이 그만큼 저력을 보여줄거라 믿는 것 같습니다.
김삼관
24/09/03 15:03
수정 아이콘
이번에 발로란트가 중국팀 실력도 안되는데 4시드나 주는게 맞냐는 말이 무색하게 중국 1시드가 챔피언스 우승을 해버려서 여튼 섞고 많이 출전할 수 있으면 그 안에서 팀들이 성장하는 것 같습니다 
Liberalist
24/09/03 16:38
수정 아이콘
저도 이따금 LJL 경기 보는 입장에서는 말씀하신 바에 크게 공감합니다.
마이너한 국제전 경험을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쌓을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봅니다.
LJL 넘어가는 한국인 용병 수준이 그렇게까지 낮지도 않아서 비빌 구석은 얼마든지 있어보이고요.
매번같은
24/09/03 16:21
수정 아이콘
이런 다국적 리그를 볼 때마다 주최국가가 아닌 다른 나라 팀들은 주최국에 가서 먹고 자고 게임까지 다 해야하는건가 싶더군요.
LEC는 베를린에서 대부분의 경기를 한다고 하지만 워낙 나라간 왕래가 자유로운 지역이라 별 생각이 안드는데 이 경우와 같이 일본팀이 대만 가서 리그를 계속 치뤄야 한다면 선수들이나 해당 팀 프런트나 많이 힘들겠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뭐 체류비 같은 비용은 스폰서 기업이 다 준비해야 하는건가 싶기도 하고.
그러고보니 글에서 나온 남미, 북미 합동 리그도 비행기타고 많이 이동하긴 해야겠네요.
오타니
24/09/03 16: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 부분은 생각보다 덜한게,
1. 내년 2025시즌이 스플릿1 - 국제대회 - 스플릿2 - 국제대회(MSI) - 스플릿3 - 챔피언십 - 월즈(롤드컵)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스플릿경기가 지금의 스프링 서머처럼 긴호흡으로 2~3달 이렇게 진행될 수가 없습니다. 플옵까지 하려면 1~2달이겠죠. 즉 하위팀은 1달만에 갈수도 있고, 상위팀도 단기체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그것도 길다고 하면 어쩔 수 없지만.
2. 스플릿 정규시즌과 스플릿 플옵은 장소가 바뀔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각 지역을 서로 순회하겠죠.
3. 2025년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진행된다고 기사가 났는데, 이 말은 돌려보면 2026년 이후에는 또 장소가 바뀔수 있다는 말이죠.(스플릿마다 할지, 아예 통채로 시즌을 할지는 모르지만)
DownTeamisDown
24/09/03 19:34
수정 아이콘
LEC방식이면 3주딱 3주딱 3주딱 9주 27경기도 가능하죠.
그러면 하위권은 정말 한달컷일수도...
오타니
24/09/03 16:44
수정 아이콘
추가로, 남미 북미 합동리그는 아닙니다. 다음에 글 하나 더 파도록 해볼게요.
Americas 지역은 Tier 1 리그가 총 2곳입니다. 북미 8팀(현LCS 다수팀) / 남미 8팀(현 CBLOL 다수팀) 으로 플옵까지 별개로 치룹니다.
매번같은
24/09/03 16:47
수정 아이콘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801 [LOL] 2025 월즈 일정표 업데이트 (+토너먼트) [21] Dango9461 25/10/26 9461 11
81800 [LOL] 8강 초기 배당률 [60] 바브곰탱11459 25/10/25 11459 4
81799 [LOL] 월드 챔피언쉽 8강 경기 일정 [96] 미드나잇블루11331 25/10/25 11331 1
81798 [LOL] 오랜 티원팬의 2025월즈 녹아웃 프리뷰 [41] 잘생김용현8341 25/10/25 8341 6
81797 [LOL] 월즈 8강 대진표 + 일정 [96] 반니스텔루이10160 25/10/25 10160 3
81796 [LOL] 비리비리도 25 월즈에서 대기록을 달성합니다 [25] Leeka8189 25/10/25 8189 3
81795 [LOL] 스위스 스테이지 5R 추첨 결과 [142] 반니스텔루이16018 25/10/24 16018 2
81794 [오버워치] [OWCS] 월드 파이널 티켓이 걸린 운명의 한 주 [6] Riina7083 25/10/24 7083 0
81793 [기타] 네오플(던파) 노조 파업 근황 [8] 버스탈땐안전벨트10875 25/10/23 10875 0
81792 [LOL] 테스가 LCK 상대 대기록을 달성했습니다 [55] Leeka15216 25/10/23 15216 3
81791 [기타] [격투게임] SOOP 슈퍼토너먼트 행사 & 등록마감 안내 (11.01~02) 염력의세계6170 25/10/23 6170 0
81790 [발로란트] 발로란트 퍼시픽리그 '최대어'인 텍스쳐 선수의 한 마디 [15] 김삼관11918 25/10/22 11918 0
81789 [발로란트] *발로란트입니다 [오피셜]T1 감독 계약종료 [8] 김삼관11776 25/10/21 11776 1
81788 [기타] 포켓몬 Z-A 후기(스포) [42] 티아라멘츠14462 25/10/20 14462 2
81787 [모바일] 서브컬처 신작 대전 개막!! 곧 오픈하는 모바일 게임들 정리(스소, 카제나, 듀나어) [44] 대장햄토리15991 25/10/20 15991 4
81786 [LOL] 스위스 스테이지 4R 대진 확정 [71] 반니스텔루이23934 25/10/19 23934 2
81785 [랑그릿사 모바일] 죽어죽어죽어,죽어버려! - LLR 소니아 등장/ 샘+마카엘라 남매도 한섭에 옵니다! [13] 통피12828 25/10/18 12828 3
81784 [LOL] 비리비리와 티원의 멸망전확률이 오르고 있습니다 [85] Leeka23167 25/10/18 23167 3
81783 [LOL] 겨울 협곡이 돌아옵니다! [7] 대막리지14628 25/10/18 14628 2
81782 [LOL] 25 월즈, 첫 넉아웃 진출팀은 KT 롤스터입니다 [45] Leeka17505 25/10/17 17505 6
81781 [LOL] 속보) KT 롤스터, 상현의 3 TES 격파 [24] Arcturus14040 25/10/17 14040 8
81780 [LOL] 티젠한이 아무리 잘해도.. 대진이 안도와주면 스위스딱이 가능해짐.. [89] Leeka16598 25/10/17 16598 2
81779 [콘솔] 이타가기 토모노부 부고(DOA,닌자가이덴 프로듀서) [5] Myoi Mina 8014 25/10/17 801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