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12/08 15:55:36
Name Leeka
File #1 2023_12_08_15_52_56.103.png (96.5 KB), Download : 28
Subject [LOL] 나이로 보는 LCK 주전들의 우승커리어 최신버전 (수정됨)


- 커즈 / 테디 영입과 주한 아웃으로 인한 부분 반영..



* 빨간색은 '아겜 우승으로 인한 군 면제 표시'

- 95년생은 군필/군면제가 아니면 2024년에 군대를 가야 합니다.
- 96년생은 군필/군면제가 아니면 2025년에 군대를 가야 합니다.

군문제로 인한 은퇴이슈를 막는게 아겜이라 빨간색으로 표기함


* 주전으로 한 우승만 표시
ex) 에포트 19 스프링 제외
ex2) 커즈 18 스프링 제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라그
23/12/08 16:11
수정 아이콘
좋은 정리 잘 봤습니다.
23/12/08 16:16
수정 아이콘
헤나도 생각보다 나이가 많군요.
이번 샌박에서의 성적이 앞으로 커리어에 중요해 보이네요.
데이나 헤르찬
23/12/08 16:19
수정 아이콘
어쩌다보니 월즈보다 귀해진 msi 우승자 크크크크크 17년 이후 lck가 우승 못한것도 있긴 한데
마음속의빛
23/12/08 16:27
수정 아이콘
초기에는 리프트라이벌즈 대신 생긴 이벤트 같았고,
써머 시즌 준비 일정에 차질이 생긴다고 참가 안 하는 게 다행이라는 말도 있었던
리그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이제는 세월과 함께 꽤 중요한 리그가 되었네요.
(그랜드슬램을 노리려면 반드시 우승해야하니)
시간여행
23/12/08 16:51
수정 아이콘
MSI야 말로 15년부터 있었던 근본 대회 아닌가요?
마음속의빛
23/12/08 17:23
수정 아이콘
제 기억 오류일 수도 있어서 확신은 어려운데
LpL이 Msi를 쓸어가기 시작하면서부터
Msi 위상이 높아졌을 거에요.

2016년까지는 LCK 우승이 쉬워보여서
근본 대회로 생각을 안 했던 거 같아요.
예니치카
23/12/08 17:32
수정 아이콘
음.....그렇다기엔 당장 2015 초대 MSI부터 EDG가 T1 잡고 우승한 대회입니다. 그거랑 중국 엑소더스랑 겹쳐서 LCK 위기론에 암사자론에 별의별 이야기가 다 나왔었는데요. 2016년에도 T1이 조별리그 탈락 직전까지 갔다가(블랭크 쭈구리 표정짤) 기사회생해서 우승까지 먹었던 걸로 기억해요. 다른 건 몰라도 2016년까지 LCK 우승이 쉬워보였다는 건 잘못된 내용이 아닐까 합니다.
마음속의빛
23/12/08 17:36
수정 아이콘
왜 msi가 대수롭지 않게 느껴졌을까에 대한 나름의 근거를 생각했던 거였는데
우승팀을 잘못 알고 있었네요. 제 글은 잘못된 글입니다.

다만 2017년쯤 되었을 때부터 msi가 국제대회로서 위상을 갖기 시작했던 것 같긴 해요.
이른취침
23/12/08 17:41
수정 아이콘
그쵸. 지나보면 쉬워보이지 암사자가 2015년이죠.
23/12/08 18:34
수정 아이콘
그때 진짜 대단했죠
동준좌가 롤드컵에서 한풀이 한게 아직 생생하네요
쿠vs프나틱
이른취침
23/12/08 17:41
수정 아이콘
제우스 페이즈가 대단하네요.
mooncake
23/12/08 19:00
수정 아이콘
피넛 lck 6개 대단하네요. 세 팀에서
라라 안티포바
23/12/08 19:25
수정 아이콘
이렇게 놓고보니
03년생들이 약간 낀세대 느낌나는군요;
23/12/08 21:57
수정 아이콘
사실 제우스랑 페이즈가 좀 축복받은 환경인 거죠 크크크.
한국안망했으면
23/12/09 03:48
수정 아이콘
고이면서 어린선수들이 우승하기 힘들어졌는데 페이즈랑 제우스가 해냄 정도로 보이네요
0305사이에 우승컨텐더였던 선수도 없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125 [기타] 뉴타입랜드 김무광 대표 사망 [12] 서린언니9644 24/02/19 9644 1
79124 [LOL] LoL에서 지표 분석의 까다로움에 대해. [72] aDayInTheLife10942 24/02/19 10942 7
79122 [LOL] 브리온 역대 LCK 첫 8경기 세트 최저 승률 타이 기록 [78] 리니어9198 24/02/18 9198 0
79121 [LOL] [ERL] 주한 자이언트X 2군행 구두계약 [17] BitSae8321 24/02/17 8321 0
79120 [철권8] 주황단 달았어요 [6] 김삼관5805 24/02/17 5805 2
79119 [모바일] 창세기전 모바일 플레이 중간평 [13] 꽃차7034 24/02/17 7034 5
79118 [LOL] 베테랑의 첫 승리 [About T1A] [7] 리니어7571 24/02/17 7571 0
79117 [LOL] [우틀않 3 화] 진-유미는 틀리지 않았다?? | 2024 LCK 스프링 스플릿 [21] aDayInTheLife7095 24/02/17 7095 0
79115 [LOL] 농심 레드포스 허영철 감독 사임 [46] kapH10035 24/02/17 10035 0
79114 [기타] [철권8] 무릎이 평가하는 현 시점 캐릭성능 [39] 어강됴리14911 24/02/16 14911 0
79112 [오버워치] 러너웨이 재창단 [22] 라이디스8359 24/02/16 8359 6
79111 [LOL] 목요일 경기 후기 [73] TAEYEON14633 24/02/15 14633 3
79110 [PC] 팰월드, 페3 리로드, 헬다이버즈2 감상 [26] 류지나6795 24/02/15 6795 2
79109 [기타] 스트리트파이터 6 최초의 정상결전 - capcom cup x [28] Kaestro5571 24/02/15 5571 4
79107 [LOL] KT가 이겼지만 깔 팀은 까야겠죠? [46] 펠릭스12770 24/02/15 12770 22
79106 [PC] P의 거짓 - 업데이트 1.5.0.0 [3] SAS Tony Parker 5868 24/02/15 5868 0
79105 [LOL] 고점의 케이티 + 광동 상승세 [23] 곽한구대리운전10013 24/02/14 10013 4
79104 [모바일]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2/14 업데이트 내역 + 복귀&신규 진입 타이밍 입니다 [7] 캬옹쉬바나4684 24/02/14 4684 0
79103 [기타] [철권8]나 너무 많은 일이 잇엇어... 힘들다진짜.... [35] 오후의 홍차9310 24/02/13 9310 2
79102 [기타] [철권8] 커피아줌마의 공참무릎 파훼하기 [17] 어강됴리7325 24/02/13 7325 1
79101 [LOL] E스포츠 전력분석관 인터뷰 [4] 욱상이8903 24/02/13 8903 3
79099 [기타] 3만 안 해본 사람의 페르소나 3 리로드 후기(스포) [26] 이선화7144 24/02/13 7144 2
79098 [기타] 용과같이 8 후기 [23] Purple6194 24/02/13 619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