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12/08 15:55:36
Name Leeka
File #1 2023_12_08_15_52_56.103.png (96.5 KB), Download : 28
Subject [LOL] 나이로 보는 LCK 주전들의 우승커리어 최신버전 (수정됨)


- 커즈 / 테디 영입과 주한 아웃으로 인한 부분 반영..



* 빨간색은 '아겜 우승으로 인한 군 면제 표시'

- 95년생은 군필/군면제가 아니면 2024년에 군대를 가야 합니다.
- 96년생은 군필/군면제가 아니면 2025년에 군대를 가야 합니다.

군문제로 인한 은퇴이슈를 막는게 아겜이라 빨간색으로 표기함


* 주전으로 한 우승만 표시
ex) 에포트 19 스프링 제외
ex2) 커즈 18 스프링 제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라그
23/12/08 16:11
수정 아이콘
좋은 정리 잘 봤습니다.
23/12/08 16:16
수정 아이콘
헤나도 생각보다 나이가 많군요.
이번 샌박에서의 성적이 앞으로 커리어에 중요해 보이네요.
데이나 헤르찬
23/12/08 16:19
수정 아이콘
어쩌다보니 월즈보다 귀해진 msi 우승자 크크크크크 17년 이후 lck가 우승 못한것도 있긴 한데
마음속의빛
23/12/08 16:27
수정 아이콘
초기에는 리프트라이벌즈 대신 생긴 이벤트 같았고,
써머 시즌 준비 일정에 차질이 생긴다고 참가 안 하는 게 다행이라는 말도 있었던
리그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이제는 세월과 함께 꽤 중요한 리그가 되었네요.
(그랜드슬램을 노리려면 반드시 우승해야하니)
시간여행
23/12/08 16:51
수정 아이콘
MSI야 말로 15년부터 있었던 근본 대회 아닌가요?
마음속의빛
23/12/08 17:23
수정 아이콘
제 기억 오류일 수도 있어서 확신은 어려운데
LpL이 Msi를 쓸어가기 시작하면서부터
Msi 위상이 높아졌을 거에요.

2016년까지는 LCK 우승이 쉬워보여서
근본 대회로 생각을 안 했던 거 같아요.
예니치카
23/12/08 17:32
수정 아이콘
음.....그렇다기엔 당장 2015 초대 MSI부터 EDG가 T1 잡고 우승한 대회입니다. 그거랑 중국 엑소더스랑 겹쳐서 LCK 위기론에 암사자론에 별의별 이야기가 다 나왔었는데요. 2016년에도 T1이 조별리그 탈락 직전까지 갔다가(블랭크 쭈구리 표정짤) 기사회생해서 우승까지 먹었던 걸로 기억해요. 다른 건 몰라도 2016년까지 LCK 우승이 쉬워보였다는 건 잘못된 내용이 아닐까 합니다.
마음속의빛
23/12/08 17:36
수정 아이콘
왜 msi가 대수롭지 않게 느껴졌을까에 대한 나름의 근거를 생각했던 거였는데
우승팀을 잘못 알고 있었네요. 제 글은 잘못된 글입니다.

다만 2017년쯤 되었을 때부터 msi가 국제대회로서 위상을 갖기 시작했던 것 같긴 해요.
이른취침
23/12/08 17:41
수정 아이콘
그쵸. 지나보면 쉬워보이지 암사자가 2015년이죠.
23/12/08 18:34
수정 아이콘
그때 진짜 대단했죠
동준좌가 롤드컵에서 한풀이 한게 아직 생생하네요
쿠vs프나틱
이른취침
23/12/08 17:41
수정 아이콘
제우스 페이즈가 대단하네요.
mooncake
23/12/08 19:00
수정 아이콘
피넛 lck 6개 대단하네요. 세 팀에서
라라 안티포바
23/12/08 19:25
수정 아이콘
이렇게 놓고보니
03년생들이 약간 낀세대 느낌나는군요;
23/12/08 21:57
수정 아이콘
사실 제우스랑 페이즈가 좀 축복받은 환경인 거죠 크크크.
한국안망했으면
23/12/09 03:48
수정 아이콘
고이면서 어린선수들이 우승하기 힘들어졌는데 페이즈랑 제우스가 해냄 정도로 보이네요
0305사이에 우승컨텐더였던 선수도 없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877 [LOL] 롤판 3대리그의 2024년 팀 사치세 커트라인 [14] Leeka10955 23/12/13 10955 0
78876 [LOL] 한이가 이야기한 2024 LPL 팀별 연봉 [28] Leeka10633 23/12/13 10633 0
78875 [LOL] (T1)네 개의 별, 과정의 결실을 맺으며 | WORLDS 2023 EP.4 FINALS [49] 데이나 헤르찬12586 23/12/12 12586 1
78874 [LOL] [오피셜] GDB 휴식 [226] 리니어18593 23/12/12 18593 2
78873 [LOL] 오피셜) 더샤이 휴식 [20] 리니어14931 23/12/12 14931 1
78872 [LOL] [T1 오피셜] Welcome, Rekkles [75] 사나없이사나마나14370 23/12/11 14370 8
78870 [LOL] LPL 2023 연간 어워드 수상자 발표 [17] Leeka11189 23/12/11 11189 0
78869 [LOL] 2023 한중일 이스포츠 대회 국가대표 선수단 명단 공개 [6] 비오는풍경11579 23/12/10 11579 0
78868 [LOL] DRX 주한 관련 입장 표명 [60] GOAT17305 23/12/10 17305 3
78867 [LOL] 갱맘 이창석 전역 [20] SAS Tony Parker 11558 23/12/10 11558 1
78866 [LOL] 前DRX 주한 선수, 일방적 계약해지로 본 롤판에서 다년 계약 [126] 매번같은15736 23/12/10 15736 8
78865 [LOL] 주한 인터뷰 기사가 나왔네요 [43] 쀼레기12248 23/12/10 12248 2
78864 [LOL] 격추된 곳 없다길래 써보는 글 feat 펨코 인벤 [114] TAEYEON19626 23/12/09 19626 12
78863 [LOL] 울프 이전엔 앰비션이 타겟이었고 그 다음은 전용준 캐스터가 타겟이었습니다 [106] 리니어17215 23/12/09 17215 16
78862 [LOL] 울프가 사이버불링과 관련해서 유투브에 글을 올렸습니다 [262] 주말21225 23/12/09 21225 7
78861 [LOL] 2023 LCK 어워즈, 올해의 선수 최종 후보 4인 공개 [134] 반니스텔루이13871 23/12/08 13871 1
78860 [LOL] 나이로 보는 LCK 주전들의 우승커리어 최신버전 [15] Leeka10565 23/12/08 10565 1
78858 [LOL] DRX 테디 오피셜 주한 아웃 [69] Fin.13809 23/12/08 13809 0
78857 [LOL] 역대 LPL 연간어워드 라인별 수상자 + MVP 총 정리 [11] Leeka8001 23/12/08 8001 0
78856 [LOL] GoodBye, SANDBOX Gaming [20] Leeka11391 23/12/08 11391 0
78854 [LOL] 애로우 노동현 LCS 플라이퀘스트 코치 선임 [14] SAS Tony Parker 8406 23/12/08 8406 0
78853 [LOL] 페이커, 더 게임 어워드 올해의 E스포츠 선수상 수상 [19] roqur9928 23/12/08 9928 7
78851 [LOL] 피넛을 본 백종순 여사님의 한마디 [33] SAS Tony Parker 14964 23/12/07 1496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