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9/28 03:29:25
Name 니어
Subject ONGAMENET 적극적 PR활동이 더욱 필요하다.
여기 PGR에 오시는 분들은 모두 게임을 좋아하고, 선수를 좋아하여 모인곳입니다. 저도 또한 마찬가지구요.

얼마전에 글을 보니 수 많은 리그로 인해서 선수들의 경기력 저하가 우려된다는 이야기가 나온바가 있습니다만, 그 많은 리그가 충분히 게임 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방송사측 입장에서 보면, 더 많은 스폰서와 광고를 통한 수익을 원하게 될것이고, 이러한 수익은 다시 선수및 게임 산업 전체에 보다 질 높은 방송으로 귀결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타크래프트 경기및 여타 다른 게임 경기의 10대에서 30대 까지의 집중도와 타겟 변별력이 아직까지 기업들에게 충분히 어필하고 있다고 생각되지 않으며 (물론 SKT 및 KTF 정도의 기업에서 적극적 마케팅을 펼치고 있지만, 전체적인 견지에서 말이죠.), 계속해서 불어나고 있는 게임 인구(순수 관람자 포함)에 대한 기업의 재조명, 컨텐츠 주체자로서의 온게임넷의 PR활동이 더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래서 MPR 측면에서 대해서 온게임넷에 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먼저 제가 온게임넷 명예기자 게시판에 올린 글을(그곳 게시판에는 올리는것이 의미가 없는듯하여....) 쓰고 더 부연하겠습니다.

<밑의 글은 이미 작성해 놓은 문건이기에 문체가 상이함을 말씀드립니다.>

-----------------------------------------------------------------------------
2000년 7월 개국한 ONGAMENET(이하 OGN)은 2004년 8월 현재 최고의 게임방송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OGN의 온게임넷 스타리그(이하 OSL)의 시청인구는 약 2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웹사이트의 경우 게임방송이라는 특성이 작용하여 매우 활성화 되어 있다.
또한 OGN의 경우 시청자 연령대가 10대에서 30대 초반까지 넓게 형성이 되어 있다. 게임이라는 매개체에 대한 관심과 컴퓨터, 인터넷 등을 주로 쓰는 신세대들이 주 시청자이며, 이러한 신세대의 특징은 이슈에 민감하고, 전자기기에 친숙하며, TV보다는 인터넷 정보에 더욱 많이 노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청인구와 시청자의 특성을 살펴 본다면, 기업의 입장에서는 케이블 TV의 특성상 타깃 변별력이 뛰어난 점, 많은 시청인구, 경제활동이 활발한 인구 분포를 볼 때 마케팅에 대한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고, 마케팅 성공의 욕구를 느낄 수 있는 충분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OGN은 얼마나 적극적 대 기업 PR을 하고 있는가?

먼저 광고비를 보자.

표-1
케이블TV                                             단위는 만원
채널                  SSA           SA               A               B                   C
YTN               시급없음        220            160           100                50
M.NET            시급없음        120            100             60              시급없음
SBS스포츠       시급없음        120              90          시급없음        시급없음
ONGAMENET   시급없음        100              90          시급없음        시급없음

출처 : 2004 광고업계총람

표-1 에서 보이듯이 OGN의 광고비는 SA가 약 100만원이며, B와C 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편차는 공중파 방송의 광고비와 비교했을 때에도 더 큰 편차가 존재하는데,
공중파 방송의 광고비를 살펴 보면,

프로그램명                                   광고단가

SBS‘파란만장...’                         9,210,000원
MBC‘불새’                                10,215,000원
MBC‘결혼하고..’                         10,005,000원
SBS‘야심만만’                             7,770,000원
MBC'섹션TV..'                             7,905,000원
SBS‘한밤의..’                              7,950,000원
KBS‘해피투게더’                           8,745,000원
SBS'이경규의..‘                         10,080,000원
KBS‘VJ특공대’                             9,795,000원
SBS'시네클럽‘                             1,590,000원
MBC'금요영화천국‘                       2,310,000원
MBC‘유재석김원희..’                     7,290,000원
KBS‘MC서바이벌                           9,150,000원
MBC‘주말의명화’                          5,160,000원
KBS‘토요명화’                              6,135,000원
KBS‘비타민’                                 8,745,000원
MBC'타임머신                              7,410,000원
KBS'드라마시티                            4,980,000원
SBS‘영화특급’                              4,890,000원
MBC'영화극장‘                              2,130,000원

                    2004년 6월 기준

이렇듯 많게는 10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왜 이러한 편차가 나는가? 이러한 편차의 가장 주요한 이유는 OGN의 적극적 대 기업 PR이 미비하기 때문이다.

"시청률 조사기관인 TNS미디어코리아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마이큐브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 결승전이 있었던 11월9일 일요일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온게임넷은 10대와 20대 남성 사이에서 지상파보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10대 남성에서 2.4%의 시청률(점유율 13.0%)을 기록해, 같은 시간대의 KBS2(2.0%, 점유율 10.8%), MBC(1.7%, 점유율 9.0%), KBS1(1.4%, 점유율 7.6%)의 시청률을 모두 앞질렀다. 20대 남성에서도 온게임넷은 시청률 2.2%(점유율 12.4%)로 같은 시간대의 KBS2(1.9%, 점유율 10.82%)와 MBC(1.4%, 점유율 8.0%)를 앞질렀다. “이 날뿐 아니라 평소에도 10∼20대 남성 시청자 점유율은 늘 지상파를 누르고 있다”는 게 온게임넷 관계자의 설명이다." -    출처: 이코노미21 2003년 12월21일자

위의 기사에서도 보이듯이 2003년도에 이미 지상파 방송의 점유율을 상회하는 시점에서도 광고비의 많은 차이가 나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본다면, OGN이 대기업 PR에 더욱 적극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업의 마케팅의 가장 주요한 목적은 기업의 상품에 대하여 알리고, 판매하여, 이익을 얻는 것이다. 또한 광고는 이러한 마케팅의 궁극적 목적에 다가가기 위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내가 가진 매체가 그 목적의 달성에 얼마만큼 기여를 할 수 있는지, 내가 가진 수단이 그 목적에 다가가기 위한 효율적 수단인지를 알리는 것이 대 기업PR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즉, OGN의 시간을 사서, 광고, 홍보하는 것이 얼마만큼의 효과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한 VISION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금까지 OGN이 만들어낸 효과에 대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PR활동이 있어야 한다. 약 3개월간의 리그에 4억원정도의 스폰서 비용으로 챙길 수 있는 막대한 마케팅 효과를 기업이 알게 해야 하며, 프로그램 광고의 효과가 주는 영향력을 기업이 알게 해야 한다.

지난 3년간 시사 잡지에 실린 OGN의 기사는 단 7건, 경제지에 실린 OGN/OSL의 경우에는 경제효과에 대해 실린 것이 2004년에는 2월 3일에 머니투데이에 실린 기사 1건 밖에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대 언론 PR 또한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다른 형태의 광고보다는 대 언론 PR이 가지는 3배 이상의 PR효과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나간 자료들을 살펴 보았을 때에도 이미 OGN/OSL 은 충분히 기업의 마케팅 활용에 효과를 줄 수 있는 훌륭한 컨텐츠임이 증명되었다. 계속되는 리그와 시청인구의 증가 또한 이 컨텐츠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시청자에 대한 서비스와 훌륭한 컨텐츠를 만드는 노력은 더욱 계속되어야겠다. 이와 함께 그 컨텐츠가 가지는 영향력을 기업에게 PR하는 것이 동반해서 이루어 져야 하겠다.
기업들은 OGN을 알고 있다. 이제는 OGN이 주는 효과로 알게 해야겠다.

--------------------------------------------------------------------------------
개인적으로 느끼는 방송 컨텐츠의 집중도는 (저의 편향된 성향을 감안하더라도) 여타 방송에 비하여 (게임방송이) 월등히 높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위의 광고비 비교에서도 보시다시피 차이는 현격합니다. 물론 전체적이 시청율이나, 지명도가 '소비를 할 수 있는' 소비자에게 떨어지는것이 사실이지만, 저 정도까지 차이가 난다는것은 무엇인가가 미흡하다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단견이라 생각합니다만, '스포츠 같은'이 아닌 이미 '스포츠'로서 게임시장이 더욱 커지기 위한 실제적인 행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P.S. 1. 길고 재미없는 이글을 몇분이나 읽으실지...(저 같으면...휠이 두바뀌 돌아가는
           순간 백스페이스에 손이 옮겨갈지도...--;)
       2. 첫 글입니다만, 첫글은 WRITE 버튼의 무게감이 아니라 무서움이군요...
       3. 워3의 스폰서가 결정되지 않아서인지, ARS형 시청자 스폰 방안이 온게임넷 워3 게시판
           에 보이더군요... 스타도 워3도 모두 같이 발전했으면 합니다.
       4. 표를 어떻게 구현할지 몰라서.... 약간 지저분한점 죄송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信主NISSI
04/09/28 03:35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인걸요? ^^ 게다가 PGR은 좌우로 긴편이라서 다른 곳에서만큼 같은 글도 길어보이지 않습니다. ^^

오랜만에... PGR다운 글을 봤습니다.
04/09/28 04:15
수정 아이콘
와.. 멋지네요
홍승식
04/09/28 04:25
수정 아이콘
흥미로운 글이네요. 방송 광고에 대해 잘 몰라서 몇가지 궁금한게 있는데요.
케이블 티비 광고비에서 SSA, SA, A, B, C 는 어떻게 나뉘는 것인가요? SSA는 모두 없다고 나오는데 SSA에 속하는 광고는 어떤 것이 있나요? 온게임넷 같은 경우에는 SSA, B, C가 없는 걸로 나오는데 그럼 모든 광고가 SA와 A인 건가요? 아니면 B, C는 광고비를 받지 않고 틀어주는 건가요?
04/09/28 04:51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글이에요.추천버튼 꾸욱-_-v

공감가는게 정말 10대중후반부터 20대초반 까지의 파급력은(남녀포함)
정말이지 최고일텐데요.질레트배처럼 방송 통신 미디어 계통의 스폰서외에서도 좀 관심을 가지는게 기업쪽으로도 좋은텐데......
04/09/28 06:16
수정 아이콘
홍승식님// 방송광고에서 SA,A,B,C 이런식으로 나누는것은 먼저 시청 시간대와 시청률에 기인합니다. 예를 들어 토요일 저녁 5시에서 9시까지는 많은 시청자들이 TV를 보기 때문에 SA급으로 분류되구요, 마찬가지로 평일 저녁 10시에서 11정도까지(드라마 시간이죠), 일요일은 저녁 7시 정도가 SA급으로 분류된다 할 수 있습니다.라디오는 밤 10부터 12시 정도 까지 되겠네요. 그에 반해서 B,C 급은 평일 낮이나, 시청율이 저조할때를 나타냅니다. 물론 시청율이 아주 좋은 프로그램은 다른 급수를 받게 되지요. SSA라 함은 예를 들자면, 대장금이나, 요즘 34%로 최고의 시청율을 달리는 "애정의 조건"(본적은 없습니다만..) 같은 높은 시청율의 프로그램에 붙는 프리미엄급 광고비를 이야기 합니다. 자세한것은 한국 방송광고 공사(http://www.kobaco.co.kr/kor/broadcasting/guide/guide_type.asp 여기서 광고 시급란을 클릭하면 보실수 있습니다.) 에서 보시면 되겠네요.
확실한것은 아니지만, 온게임넷에서는 B와 C 급의 광고비를 편성 범주에 넣지 않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책적으로 홈쇼핑류의 광고(대표적으로 잭필드가 있죠ㅡ.ㅡ;)는 시청자의 채널을 다른곳으로 완전히 돌리고, 방송사 자체의 이미지 손상이 가기 떄문에 지양하는 추세구요, 여타 케이블 방송에서도 이런 바람이 만연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Loser님// 개인적으로 저도 질레트배가 게임 방송 스폰싱의 새 전기를 마련한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0대에서 20대 까지 필요한것이 오직 게임과 핸드폰, 통신만은 아니지 않습니까. 그 파급력과 인구에 회자됨은 현재까지 나와있는 컨텐츠중 가격대비 최고가 아닐까 싶습니다. (위에 있듯이 스폰싱 비용이 광고나, 여타 마케팅 비용을 고려해 볼때 그렇게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내 생애 첫 면도는 질레트와 함께!" 전용준씨가 수없이 외쳣던 이 카피가 인지도 면에서 크게 기여했다고 생각합니다. 모르긴 몰라도, 그 회사가 스폰한다고 했을때 그 제품을 써봐야 겠다고 하는 글을 본건 스타리그가 처음이었던것 같습니다. (당시에 면도기 바꾸신다고 하신 분들이 많아서 말이죠...^^)
SeeingWise
04/09/28 06:47
수정 아이콘
전 광고에 대해 잘 모르지만, ㅠ_ㅠ 베스트 게임 무비처럼 똑같은 광고는 그만 좀 봤으면 좋겠네요.
낭만드랍쉽
04/09/28 07:44
수정 아이콘
게임방송에서 게임 광고도 해줘야 겠죠. SeeingWise 님.
여하튼, 온겜이 더욱발전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발업질럿의인
04/09/28 09:27
수정 아이콘
굿굿굿굿!!! 구웃! 이런 글들이 많이 올라왔으면...
세상만사
04/09/28 09:55
수정 아이콘
정말 멋진 글이네요^^ 추게 어딨습니까?('' )( '')
제발 지겨울 지경인 '블러드캐슬'만 없애줬으면ㅡㅡ;;
Reminiscence
04/09/28 10:13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04/09/28 10:26
수정 아이콘
블러드 캐슬 정말 오래됐죠.... 다른 퀘스트 안나오나.. -ㅁ-;;
EyeInTheSky
04/09/28 11:08
수정 아이콘
Anic☆님 댓글보고 순간 피식햇네여 ^^;; 저도 OGN의 대기업 홍보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MBCgame 처럼 광고에 투싼 (비록 스폰서였기는 하지만) 이나 아무튼 공중파에 나오는 광고가 나오지 말라는 법은 업지 않습니까.. 맨날 온종일 게임플러스나 하고 있고 -_-;; 스타리그 결승이나 스타리그 시간에는.. 광고료를 SSA 급으로 줘도 무방할듯..^^;; 아 그리고 덧붙여서 온게임넷이.. 세계적으로 성장하는 방송이 됬어면 좋겟네요 ^^;;
Milky_way[K]
04/09/28 11:26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이런 글은 스크롤의 압박따위를 무색하게 하죠.

지난 3년간 시사 잡지에 실린 OGN의 기사가 단 7건 이라니, 깜짝놀랐
습니다.

온게임넷은 '케이블방송에만' 이라는 시점을 더 넓게 볼 필요가 있는거
같습니다.

물론 ON미디어가 케이블방송이라는 것은 잘알지만....
케이블내에서만의 광고나 기업마케팅으로는 확실히 한계가 있습니다.
아무리 케이블에서 많은 광고를 해도 공중파에서의 광고효과와 비교를
할 수 없을것입니다. 예를 들어 OSL결승전에 대한 광고를 공중파로 한번
이라도 내보낸다면 그에 대한 관심과 그로 인한 마케팅적인 효과는 정말
커지게 될 것입니다. 그것은 스타크래프트나 게임시장에 대한 사람들의
시각에도 많은 변화를 주게 될것입니다.
이번 스카이프로리그 1라운드 결승... 10만이라는 인파가 몰리는 대결전
이었죠. 그런데 .. 왜 그에 관한 이야기를 다른 곳에서는 그렇게 보기 힘
들던지.. OGN에서 더 적극적인 대기업들의 투자나 게임시장의 확대를
위해서라면, 확실히 더 넓은 마케팅을 해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게임을
보려고 10만이라는 인파가 몰렸다는 것을... 또 그 게임하나에 얼마나 많
은 사람들이 열광하는 지를 더넓은 분야의 사람들에게 확실히 설명하고
보여주어야 합니다.
처음 게임리그가 열리고 프로게이머가 생기던 시절보다는 많이 변했어도
아직은 젊은 층만이 인정하는 e-sports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이나 게임은 젊은 사람들만 하고 바둑이나 장기,
낚시 같은 사람들의 고상?한 취미생활이 될 수 없다는 사람들에게 '게임
도 취미생활이 된다'는 생각의 변화를 주어야 하며, '프로게이머 해봤자
머 얼마나 벌겠어.', '공부하기 싫으니 게임하려는 거겠지..' 하는 분들에
게 프로게이머란 직업도 대단히 괜찮은 직업이다.라는 걸 알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왜 연봉이 2억이 넘는 이윤열선수에 대한 기사가 그렇
게 안보이는지... 그리고 OGN은 자신들의 게임사업이 얼마나 젊은층에
광고효과나 기타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에대한 점을 알리려 노력해야 합
니다. 축구를 보면서 술을 마셨지만 요즘은 게임리그를 보면서도 술은
마시는 젊은이들이 늘어난다는것을 정확히 분석된 자료를 통해 사회여
러 방면에 알릴 필요가 있습니다.
요즘은 마케팅이 가장 중요한 시대입니다. OGN은 자신들이 가진 힘을...
대외에 많이 알리기 위해 노력해야 할것입니다.

(아! 한가지 생각나는게 또 있는데, 외국의 스타크래프트에 관심있는
많은 유저들이 OGN을 찾고 있더군요. 그들을 위해 사이트 영어화나
게임리그 VOD의 해설 영어자막등을 생각해 보는것도 대단히 좋을것
같네요. 이렇게 되면 세계의 모든 게임유저들이 온게임넷에 한번쯤은
들리게 되지 않을까요? )

이상으로 오랜만에 PGR을 찾은 밀키의 주저리주저리 잡담이었습니다.

아..
레몬트리
04/09/28 11:42
수정 아이콘
전 게임방송을 비롯 거의 케이블만 보는데요.. 온게임넷 같은 온미디어와 같은 계열에 케이블 방송을 보면서 생각한것이
상호 피알은 전혀 안하는 것 같다는 것입니다. 만화채널이나 영화채널에서 스타리그 결승전이나 뭐 게임채널 자체의 광고 홍보만해도
꽤 효과가 있을것 같은데.. 투니버스나 ocn 이런 채널 사람들 많이보거든요..
어쨌든 홍보가 부족하다는 의견 공감합니다.. 글고 엠겜은 더하죠..
04/09/28 15:27
수정 아이콘
Milky_way[K]님// 고상한 취미?라고 하신 말씀에 동감합니다. 언젠가 저희가 자녀를 키울때쯤에는 스타가 고상한 취미가 되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또한 국가대표 축구경기가 아닌한 일반적인 상황 및 자리에서는 스타 대회에 대한 이야기가 화제로 떠오를때가 많죠(제 주변에 국한한다면 말이죠..).
온게임넷의 외국인 전용 사이트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스타크래프트 열풍이 조금 남다른감도 있습니다만, 언리얼이나, 워3등 해외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게임의 방송화가 더욱 활성화 된다면, 만들어야 된다고 봅니다. 제가 글을 쓴 이유도 이러한 시대 변화에 기인한것이지요. 좋은댓글 감사합니다.
다른분들의 댓글도 감사드립니다. 블러드 캐슬이나 베스트 게임뮤비의 분노가 모두들 대단하시군요..^^; 이런 의견이 쌓이고, 시장이 더 커지면, 언젠가, 선수 경기 한번 보려고, 광고를 10개씩 보게 되는 날도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갑자기 시장이 더 커져야 하나라는 생각과 오한이...ㅡ.ㅡ;)
레몬트리님// 젊은 세대간에 공중파보다 케이블에 더 친숙한 사람이 늘어간다는 리포트를 본적이 있습니다. 그것만 있기에 어쩔수 없이 보는 공중파보다 내가 보고 싶은것만 취사 선택하여 볼 수 있는 케이블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인터넷 또한 잘 살펴보면 가는곳만 가게 되는 경향이 있지 않습니까.
또 지주회사로써 온 미디어가 각 채널간의 연동을 하게 되면 시너지 효과도 클것 같다는 말씀도 공감합니다. 가진것 활용해야죠. 내부적인 문제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엠게임도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광고와 PR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써, 엠게임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 보고 싶습니다만, 아무래도 후발주자라서 인지, 자료 자체가 거의 없다시피 하군요. 기회가 되고, 자료가 있다면, 실제적인 MPR의 구현 방향에 대해 온겜, 엠겜 분류하는 형태로 글을 쓰고 싶습니다.(그 언젠가..ㅡ.ㅡ;)
04/09/28 17:49
수정 아이콘
음 제가 다시 확인해 보니, 광고 단가가 많이 바뀌었군요. 표-1의 자료가 최신자료가 아닌관계로(2004 광고 업계 총람) 업데이트 하지 못한점 사과드립니다. 온게임넷 광고 단가가 달라 졌습니다.
중간광고 프로그램광고 자막광고
SSA 1,500 1,200 120
SA 1,200 1,000 100
A 1,000 800 80
B 800 600 60
04/09/28 17:50
수정 아이콘
아~ 단위는 천원 입니다. 그러니까 SSA 중간광고는 150만원이군요...
표를 구현하지 못하니 조금 답답하군요...
기쁨의순간
04/09/28 19:26
수정 아이콘
근데 제 생각엔.. 온게임넷.. PGR도 별로 상관 안하는거 같던데요... -_-;;; 물론 온게임넷 홈페이지보단 낫겠지만요~
04/09/28 21:16
수정 아이콘
이런 글이 더 많아 졌으면 합니다,,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슷하하는 유진
04/09/28 22:15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글을 봤구나 라는 기분이 드는걸요.
저는 레포트 쓰는걸 고문처럼 생각하는 사람이라-_-
이런 글을 쓰신 분이 정말 존경스럽게 느껴집니다.
추게로 갔으면 좋겠습니다. 정말 E-sports는 매력적인 문화현상입니다.
그 후원자인 우리모두가 발전을 위해 한번씩 고민 더하고 한번씩 더 다른사람들에게 PR했으면 좋겠습니다! (갑자기 왠 캠페인이 되는듯..;; )
v행복나라v
04/09/28 23:48
수정 아이콘
우와 좋은 글이군요~~
레몬트리님// 투니버스에서 스타리그 결승전 같은 PR 하고 있습니다. 결승전 가까워 오면 투니버스에서도 결승전 PR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같은 온미디어 소속이라서 그렇겠지요.. 음 엠비씨드라마 채널에서도 엠겜 결승전 광고 나가는거 봤구요..단 엠비씨 드라마 같은 경우는 자막 몇줄 이었지만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603 펌] Zergology 0편과 1편 [6] 펠쨩~(염통)6140 08/04/24 6140 2
33848 과연 누가 양산형 게이머일까? [10] Yes4695 08/02/04 4695 0
33842 옮긴 글) "조용호 대 마재윤 - tide was high" [32] Judas Pain9757 08/02/04 9757 45
32188 프로리그 5세트 속 숫자의 법칙(?) (06후기리그~07전기리그) [7] 이선홍3742 07/10/01 3742 0
31852 뜬금없는 '테란에 대항하는 우리 저그들의 자세' [9] Honestly4279 07/08/22 4279 0
30786 다들 스타2에 대해서 이야기할때 스타1을 너무 의식하십니다. [27] KnightBaran.K4146 07/05/21 4146 0
23430 815라는맵만봤을때 후반 이 유닛은 꼭 필요하다!! [11] 나둥나둥3480 06/05/24 3480 0
22186 간옹의 삼국지 [10] D.TASADAR4043 06/04/02 4043 0
20369 프로리그 결승전 1경기 재조명 [8] 김치원3271 06/01/22 3271 0
20333 송병구 선수는 몇 안되는 전략가였습니다. [19] 김치원3506 06/01/21 3506 0
18110 지금 밖에는 추적추적 새벽비가 내리네요 [10] 풍류랑3654 05/11/06 3654 0
17949 의혹투성이 동의대사건 화인밝혀야(이해를 돕기 위해서) [261] 최혜경6340 05/11/02 6340 0
15978 비타넷에서의 피지알'토성'공격-이후 신뢰파vs불신파간의 내전 등 토성 이중인격 사건 총정리. [53] legend9790 05/08/28 9790 0
12955 전두환vs장태완 그리고 충격의 12.12 [26] Ace of Base6767 05/05/15 6767 0
10738 쾌걸춘향, 해신, 봄날 콤보 [14] Timeless3336 05/02/03 3336 0
10450 40년전 밤, 무슨일이 있었나. [3] Ace of Base3587 05/01/19 3587 0
9896 크리스마스를 무사히 넘기고 [19] 공룡3944 04/12/27 3944 0
8733 영화이야기. [7] Ace of Base3585 04/11/03 3585 0
8117 홍명보선수의 축구선수 은퇴선언!! [19] 산적3756 04/10/08 3756 0
7874 ONGAMENET 적극적 PR활동이 더욱 필요하다. [21] 니어4284 04/09/28 4284 0
7646 맵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 [9] 信主NISSI3377 04/09/17 3377 0
7025 [체조] 체조 이주형 코치, "판정문제 없다"... [23] ⓣⓘⓝⓖ4691 04/08/19 4691 0
6377 질레트배 8대 이슈. [21] 거룩한황제5083 04/07/26 50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