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9/20 14:26:48
Name Leeka
File #1 c47b2075d27c6925f45fffd2f26ef1d0.png (30.8 KB), Download : 11
Subject [LOL] 롤드컵 패치가 PBE에 적용되었습니다



특별한 이슈가 없다면,  9/27일에 해당 내용까지 적용된 버전이 롤드컵 버전이 됩니다.





- 9/27 (롤드컵 버전 최종 적용)
- 9/29 (아시안게임 결승전)

-10/9 (롤파크 멸망전)

-10/10 (플레이인 개막전)


-10/19 (본선 시작 - 한중은 전부 여기서 시작)


의 흐름이 되며
순서상 롤드컵 최종 버전 기준으로는 아겜 참가 멤버들도 연습시간이 크게 차이나진 않는 정도가 되었습니다.
(그 전 버전들로 연습하는 시간하면 차이가 꽤 나지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주인없는사냥개
23/09/20 14:32
수정 아이콘
롤드컵 기간되면 기대되는게 안 보이던 챔프들 나와서 메타챔 되는거인데...
예전에 판테온 필밴이고 제드고 뭐고 하도 많이 데여서 이젠 없겠죠?
Valorant
23/09/20 14:33
수정 아이콘
어느덧 아시안게임도 코앞이고 월즈도 다가왔네요.. 시간 참 빠르네
Betelgeuse
23/09/20 14:33
수정 아이콘
아지르는 롤드컵때 너프 스프링 조정 섬머 버프 이 사이클 계속 가는 느낌이…;
다레니안
23/09/20 14:34
수정 아이콘
아니 뭐야... 아지르 지금이 황금밸런스라면서 너프 안한다면서요....
심지어 E도 아닌 Q쿨을 2초나 너프해버리면 라인전은 대체 어떻게 하라는거죠...? 와... 이렇게 통수를 치네 크크
하긴 아트도 너프안한다 해놓고 바로 너프조질 때 싸하긴 했지만요. 아지르 이제 좀 손에 익었는데 바로 버리게 되네요. 크크
주인없는사냥개
23/09/20 14:36
수정 아이콘
비둘기 사기단들의 손을 너프하지 않으면 아지르는 영고챔이죠
23/09/20 15:45
수정 아이콘
또 찾아낼지도...크크 q 2~3개 찍고 w선마라던지...
타르튀프
23/09/20 14: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리신 리산 버프는 꽤 의미가 있을 것 같고 갈리오는 필살기 픽으로만 쓸 것 같습니다(갈리오-킨드, 갈리오-카밀 조합 짤때). 궁쿨만 줄여줬지 라인전 능력이 개선이 안 되서 여전히 버틸 능력이 없을 듯.

아지르 너프도 꽤 의미 있는게 지금 아지르는 w선마라 1렙 q쿨이 14초면 정말 더럽게 길긴 하겠네요 크크. 한국 프로들이 손으로 극복할 수 있는 레벨이 아닌 것 같은데 아지르 잘 쓰는 페이커 비디디 쵸비가 어떻게 볼지 궁금합니다.

진은 궁극기 딜 버픈데 애초에 진을 궁딜 보고 쓰지는 않아서... 별로 영향 없을 것 같고 제리 이속 너프는 라인전에서 상대 스킬 회피를 어렵게 해서 빡셀 것 같기는 한데 프로레벨에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지 궁금하긴 합니다. 제리는 2티어로 내려갈듯 하고 1티어는 자야 카이사, 1.5가 아펠 시비르?일 것 같은 느낌이네요.
Bronx Bombers
23/09/20 14:50
수정 아이콘
자야 카이사면 이건 완전 LPL 버프 패치인데......아지르 너프 리산드라 버프도 그렇구요
웸반야마
23/09/20 15:07
수정 아이콘
자야 카이사를 잘쓰는데, 제리만 못다루는 선수가 있어야 그쪽리그 버프 패치인데,
위 조건에 부합하는 선수는 갈라와 구마유시 둘밖에 없는거 같은데요
Bronx Bombers
23/09/20 15:09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 카이사는 별로고.....LPL 선수들은 기본적으로 카이사는 누구나 잡으면 캐리하는 거의 1티어급으로 잘 해서요
웸반야마
23/09/20 18:04
수정 아이콘
lck 원딜들도 카이사 잡으면 캐리하는 1티어급 입니다

갈라와 구마유시가 카이사 자야 의존도가 높을뿐이지
Bronx Bombers
23/09/20 18:21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가 카이사 의존도가 높은 선수가 절대 아닌데요......올 서머때만 좀 썼지
승률도 가장 낮은 축이예요.(페이커 없을때만 따져도 승보다 패가 더 많습니다)

애초에 카이사는 구마유시의 약점 중 하나인 픽인데.....

그리고 아지르는 명백히 LCK 선수들이 잘 쓰는 픽이구요
웸반야마
23/09/20 19:47
수정 아이콘
아뇨 카이사 = 갈라, 자야 = 굼시 란 뜻이었어요
제리 너프인데 제리는 저 둘 빼고는 모두가 잘하는 픽입니다
타르튀프
23/09/20 15:09
수정 아이콘
특별히 어느 리그를 의식했다고는 생각은 안 합니다만 미드 신드라 버프는 징동 나이트에게 호재일 순 있겠네요.
구성주의
23/09/20 20:14
수정 아이콘
케틀이 풀려있으면 티어 높아지게 될 것 같고 없으면 다양하게 나올것같아요
란두인때문에 방관바루스도 힘이 나올것같은 느낌?

카이사는 스태틱 죽고 힘이 쫙 빠졌고 제리도 마찬가지 입니다.

애쉬도 카이사 제리 카운터 가능하다고 봅니다.

루시안도 가능성있고 자야는 카이사 제리 상대로 케틀없을때 카운터?

왠지 라인전 빨리이기고 포텐보는 조합?
내가왜좋아?
23/09/20 15:12
수정 아이콘
미드는 오리아나가 일쨩 먹겠네요.
23/09/20 16:2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최근엔 과거에 비해 월즈와 서머 메타 차이가 그리 크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타르튀프
23/09/20 17:57
수정 아이콘
2017 향로 메타나 2021 MSI 럼블모르가나 메타 정도 제외하면 국제전 앞두고 메타가 격변할 만한 패치는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향로는 월즈 앞두고 패치한건 아닙니다만 아무튼 월즈에 급부상했으니.. 럼블모르가나는 실패한 메타인지라 금방 패치로 삭제됐죠.
피죤투
23/09/20 16:34
수정 아이콘
자야 필밴일듯
phenomena
23/09/20 16:49
수정 아이콘
월즈 직전 아지르너프는 연례행사군요
이른취침
23/09/20 17:20
수정 아이콘
lck(특히 페이커)를 절대 우승시켜주지 않겠다는 의지...
PARANDAL
23/09/20 17:17
수정 아이콘
아지르 놔두면 한국팀이 너무 강해서 어쩔수 없는듯해요
이른취침
23/09/20 17:20
수정 아이콘
그럼 카이사라도 같이 너프 먹여줘야...
다리기
23/09/20 17:21
수정 아이콘
아지르는 매번 이 타이밍에 너프하는 느낌인데
아지르의 리그 황CK를 견제하는거야?

는 이번에야말로 쵸비 맛 좀 봐라 이것들아!
이웃집개발자
23/09/20 17:31
수정 아이콘
아지르는 솔랭에서 누가 꿀통이라도 빨고있는건가... 좀 뜬금없게 느껴지는데
다람쥐룰루
23/09/20 17:57
수정 아이콘
와 트위치 엄청나네요 저 버프를 해줄줄이야
트위치유저로서 환영 * 100 입니다
23/09/20 18: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지르가 숙련도 쌓이면 사각이 없는 챔프라 그런가 유독 라이엇이 싫어하는 느낌
케틀 루시안 뭐 해줄거같더니 없네요

크게 뭐 바뀔 정도는 아니라 아겜선수들한텐 호재인 듯
23/09/20 19:12
수정 아이콘
아지르 2초 너프 뭔데
취급주의
23/09/20 19:34
수정 아이콘
징동 우승;
구성주의
23/09/20 20: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딜은 카이사 제리가 스태틱 너프와 기능너프로 많이 죽었습니다.
카이사는 그검으로 해보는것 같은데 실제론 2코부터 썩습니다. 스태틱은 답답해졌고요
제리도 비슷했는데 이속 너프로 더 나락일것같습니다.
자야는 살아있는것 같고요

그전에는 대처하는 원딜이 너프를 먹어서 카이사 제리 자야가 좋았는데 19까지 버프를 보면 케틀 루시안 바루스(방관) 애쉬가 심상치 않습니다.

야그야금 버프를 먹은 상태라 라인전부터 더 쎄게 굴리는게 쉬워지고 파워도 올랐습니다.

미드 메이지도 버프라 팔짧은 챔들도 많이위험하고요
육식정글도 많이 강해졌고

초반에는 이리저리 돌고돌다가 결국엔 바텀 라인전이 중요한 메타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탱폿이 있어서 비슷할것같지만 돌고돌아 서폿은 원딜따라 가는거라
서리버
23/09/21 16:56
수정 아이콘
그런데 천상계 원딜은 제리 카이사만 쓰던데 왜그런건가요? 이즈리얼 애쉬가 통계사이트에선 상위 티어던데 챌린저 경기엔 그 둘에 자야만 보이더라구요
구성주의
23/09/21 19:45
수정 아이콘
천상계들은 대회용 챔이나 손에 익숙한 원딜을 많이 쓰니까요
이즈는 진심 솔랭용...
23/09/20 23:22
수정 아이콘
오리아나가 메타 핵심일듯
터드프
23/09/21 00:55
수정 아이콘
요즘 패치내용이 별로 파격적인 부분도 없고 많이 바뀌는 느낌도 아니라서 게임을 안 하게 되는데, 심지어 대규모 패치는 1월이라니.. 조금 아쉽습니다. 1월까지는 게임을 안 하게 될 것 같네요.
코우사카 호노카
23/09/21 01:22
수정 아이콘
아지르 빼면 좀 무난무난하네요
버프된 애들도 버프될만해서 되는것 같고..
23/09/21 09:39
수정 아이콘
국내팀 중에서는 T1한테 호재인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190 [LOL] 캐드럴이 뽑은 파워랭킹 TOP 25 [57] 코우사카 호노카13677 23/10/08 13677 0
78188 [LOL] 월드 챔피언쉽 명장면 월드컵 [22] 껌정10179 23/10/07 10179 1
78185 [LOL] 월즈 참가 4개 구단의 롤드컵 자켓 일정이 나왔습니다 [31] Leeka12109 23/10/06 12109 0
78176 [LOL] 중국, 월즈 개막 카운트 타운 D-8 / D-7 / D-6 [10] Leeka10530 23/10/05 10530 0
78174 [LOL] 롤드컵 결승 무대. 에이티즈&엑소 떡밥 [62] Leeka11202 23/10/05 11202 0
78172 [LOL] 역대 롤드컵 주제곡의 법칙 [5] Leeka11257 23/10/04 11257 0
78169 [LOL] 롤드컵 중계 가능한 팀 스트리머 명단 유출(?) [19] Leeka12792 23/10/04 12792 1
78166 [LOL] 롤드컵 뮤직비디오 - GODS 최초 공개 [179] Leeka15590 23/10/04 15590 6
78151 [LOL] 2023 아시안게임 국가대표의 3년전 모습 [23] OneCircleEast11301 23/10/01 11301 2
78148 [LOL] 아시안게임을 위해 뭉친 LCK [65] 아몬17821 23/09/30 17821 4
78144 [LOL] 롤드컵 중계진이 공개되었습니다 [24] Leeka12974 23/09/30 12974 0
78142 [LOL] 롤 국대 선정도 병역 여부를 고려해야 될수도 있겠네요 [88] 청운지몽13340 23/09/30 13340 1
78136 [LOL] 2023 롤드컵 공식 3분 30초 시네마틱 트레일러 [2] Leeka10452 23/09/29 10452 4
78128 [LOL] 룰러 팀과 엘크 팀의 맞대결 [24] 반니스텔루이11503 23/09/28 11503 0
78122 [LOL] 데프트와 함께하는 2023 롤드컵 뮤비 최초 상영회 [15] Leeka9898 23/09/27 9898 1
78120 [LOL] 2023 롤드컵 주제곡 스토리가 공개되었습니다 [18] Leeka9467 23/09/27 9467 2
78119 [LOL] 롤드컵 주제곡 - GODS / 10월 4일 2시 공개 확정 [55] Leeka9982 23/09/27 9982 3
78118 [LOL] 월드 챔피언십 13.19 패치 버전 공개 [15] 반니스텔루이8995 23/09/27 8995 0
78113 [LOL] [항저우AG] "인터넷 중독 우려에 e스포츠 중계 일부 중단" [37] Leeka12842 23/09/26 12842 0
78106 [PC] [펌]카멘 레이드 퍼스트 클리어를 축하드립니다. [93] Valorant15427 23/09/24 15427 6
78102 [LOL] KIA TV) e스포츠 국가대표에게 처음으로 묻다(국대 인터뷰) [6] 본좌11316 23/09/23 11316 2
78083 [LOL] 롤드컵 패치가 PBE에 적용되었습니다 [36] Leeka11767 23/09/20 11767 0
78078 [LOL] 사이공 버팔로, VCS 시드를 매물로 내놓아... [24] manymaster13090 23/09/19 130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