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8/20 18:48:44
Name 임의드랍쉽
Subject [LOL] 꺾이지 않았던 쵸비. 정지훈 (수정됨)
쵸비 선수 파엠 및 3회 연속 우승 정말 축하합니다.

먼저 쵸비에 대해 이야기 하기전.. 저는 12년부터 롤을 봐오면서..언제부턴가 제 2의 페이커를 찾고 있었습니다.

페이커는 현재까지도 최상위권에서 뛰고 있으며, 아직도 나야! 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요.

우리 모두가 아는 페이커의 전성기 시절, '고전파' 시절의 압도적인 무력과 미드의 미친 캐리력의 향수를 그리워 할때,
그에 가장 근접한 것은 쵸비라고 생각했습니다.

미친 피지컬과 압도적인 캐리력을 바탕으로 승리를 집도해내는 모습은 가히 전성기 고전파의 향수를 불러 일으킬만 했죠.



다만 쵸비는 노련함과는 거리가 먼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습니다.

데뷔 초 결승 무대에서의 아쉬움으로 인해 국내무대에서는 그리핀에서 고배를 마셨고,

국제대회에서도 아쉬운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동시대 경쟁자인 쇼메이커에게 커리어면으로 크게 뒤쳐졌습니다.


2020 DRX, 2021 한화를 거치며 미친 원장롤을 보여줬지만.. 그에게는 늘

'쵸비는 플레이가 경직되어있다.'
'자원을 너무 많이 먹는다'
'로밍을 다니지 않는 지박령이다.' 등등

세트,트페,갈리오 등의 메이킹 챔피언도 잘했지만 결국 커리어가 뒷받침되지않으니 소위 억까를 꽤 당하며 꾸준히 폄하되었죠.

전 쵸비 정지훈은 언제든 슬럼프를 겪으며 폼이 하락할 수도 있다고 봤습니다.

정말 우여곡절이 많았거든요.

그러나 그는 매 년 최정상급의 미드라이너임을 증명해내었고,

젠지 이적 후, 좋은 팀원들과 함께 커리어를 차곡차곡 쌓아나가고 있습니다.


지금의 쵸비는 정말 완성형에 가까운 미드로 거듭났다고 생각합니다.

전성기 고전파의 그 무력과 함께 노련함을 모두 갖춘.. 유연함과 다재다능함이 돋보이는, LCK를 넘어 전 세계 최정상급의 미드라이너라 생각하며,

앞으로도 쵸비 정지훈 선수는 오래오래 해먹을 확률이 높다고 봅니다. 마치 페이커 이상혁 선수처럼요.

아직 국제대회 우승이 없긴 하지만, 데뷔 이후로 항상 '쵸비라면 다를 것이다.'  '쵸비는 무언가 보여줄 것이다.'라는 기대감을 갖게 만드네요.

이번 아시안게임과 롤드컵 모두 쵸비의 퍼포먼스가 또 기대됩니다.


젠지 선수단 및 프론트 모두 축하합니다.

T1도 아쉽지만 미라클런의 과정 중 정말 멋진 모습 보여주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aybreak
23/08/20 18:51
수정 아이콘
결국엔 롤드컵을 들어올릴것만 같은 선수에요.
만찐두빵
23/08/20 18:51
수정 아이콘
전 억지로 쵸비의 플레이를 폄하했을뿐 20drx 부터 이미 완성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임의드랍쉽
23/08/20 18:54
수정 아이콘
저도 그리핀에서 2020DRX로 오면서 확실한 S급으로 성장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미등록된닉네임
23/08/20 18:54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물론 그때보다 늘었겠지만 그건 롤도 발전해서 그런 거고, 이미 20drx 때 모든 면에서 동시대 기준 완성형 선수였다고 생각해요
조미운
23/08/20 19:06
수정 아이콘
그렇게 생각하는 분도 있었지만, 20DRX 쵸비와 23 GEN 쵸비는 급이 다른 선수라고 봅니다.
라인전은 그때도 세계 최고를 다퉜지만, 종합적으로 보면 지금이 훨씬 훨씬 롤을 잘합니다.
찬공기
23/08/20 19:28
수정 아이콘
근데 미드의 제일 중요한 친구인 정글이 바뀐 것도 워낙 큰 영향인 듯 싶어서..
쵸비 본인의 변화라고 해야 할지 피넛이 있음으로 해서 플레이 폭이 넓어진 건지 구분하기 쉽지는 않죠...
(물론 퓨시기 좋습니다만... 피넛의 클라쓰가...)
23/08/20 19:50
수정 아이콘
반대로 쵸비가 지금 상태 그대로 과거로 돌아간다해도 과연 얼마나 더 잘 해낼 수 있었을까를 상상하면 억울한 면도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조미운
23/08/20 20:09
수정 아이콘
크크. 그 시절 한화 시절 퍼포먼스도 엄청났죠. 원맨캐리의 극한을 보여주던 시절이라... 하지만 그런 퍼포먼스를 보여주던 쵸비도 월즈 레벨에서 경쟁하기엔 원맨캐리 플랜의 한계는 뚜렷하게 보였다고 생각합니다.

세계 최강팀의 일원이 되기엔 지금 쵸비가 여러 방면에서 훨씬 완성형이라고 보고, 그런 면에서 올해 월즈 젠지는 기대가 많이 됩니다.
23/08/20 18:5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다른건 다 그려려니 해도
자원을 많이 먹는다고 cs도르로 까일때는 좀 진짜 아니다 싶었습니다.
손롤을 해본 사람이라면 cs가 저정도로 앞선다는게 뭔지 모를수가 없는데...

여튼 긴 도전끝에 이렇게 파엠으로 주인공이 되서 정말 보기 좋습니다.
앞으로도 꽃길만 걸어요 쵸비
만찐두빵
23/08/20 18:53
수정 아이콘
애초에 천상계 최고 플레이어들이 쵸비를 항상 극찬한 이유가 있죠.
레드빠돌이
23/08/20 18:53
수정 아이콘
솔직히 롤드컵 우승보다 한화 8강이 더 대단한 업적이라 생각해서... 진짜 쵸비의 적은 컨디션관리라는 말이 틀린게 아닌것같아요
만찐두빵
23/08/20 18:54
수정 아이콘
모두윌요뷔 데리고 롤드컵은 진짜 그 누구도 하지 못한다고 봅니다.
라라 안티포바
23/08/20 18:58
수정 아이콘
그때 우스갯소리로
월즈 우승할만한 미드는 다수지만, 그때의 한화를 데리고 월즈8강을 갈 수 있는 미드는 쵸비밖에 없다는 얘기가 있었죠.
밤수서폿세주
23/08/20 18:59
수정 아이콘
전 진지하게 쵸비 말고는 못한다고 봅니다.
임의드랍쉽
23/08/20 18:58
수정 아이콘
한화 그 스쿼드로 롤드컵 진출 후 8강은.. 두고두고 회자 될 만한 캐리력이었죠.
뜨거운눈물
23/08/20 18:5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롤드컵 선발전부터
월즈 8강까지 미친캐리력이죠
반니스텔루이
23/08/20 19:06
수정 아이콘
비슷한 의미로 베이 데리고 플옵간 농심 피넛도..
Meridian
23/08/20 19:27
수정 아이콘
정규 1위까지 찍었었죠 크크크
Meridian
23/08/20 19:27
수정 아이콘
그 둘이 만났으니 크크크
23/08/20 19:07
수정 아이콘
그건 진짜 업적 이죠 크크
아이폰12PRO
23/08/20 19:11
수정 아이콘
그 어떤 미드도 그 시절 한화 8강 못데려가죠
23/08/20 19:01
수정 아이콘
쵸비 항상 잘해왔지만 올해가 제일인거 같습니다.
23/08/20 19:0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지금 티원에 페이커가 빠지고 쵸비가 들어간다면 티원이 더 약해질거라 생각하지만
티원을 제외하면 성적을 생각했을때 대부분의 팀에선 쵸비를 더 원할거 같습니다.
23/08/20 19:12
수정 아이콘
쵸비가 본격적 스타덤에 오른 20년도부터 수 많은 억까가 있었죠 미드 AP를 못한다 메이지를 못한다 메이킹을 못한다 CS만 먹는다 큰 경기를 못한다 결승을 못한다. 그 수많은 프레임질에 정말 고통스러웠을 텐데도 버티고 버텨서 프레임 다 부숴버린 쵸비 선수 정말 대단합니다
raindraw
23/08/20 19:43
수정 아이콘
아지르 못한다는 이야기도 있었죠. 지금은 아지르 원픽.
이미등록된닉네임
23/08/20 23:00
수정 아이콘
아지르는 20년도에 꺼낼 때부터 든든했는데 이전부터 잘했던 두 명이 확고해서 숙련도는 둘에 밀리지 않는데 인정을 못 받아왔죠
상상마이너스
23/08/20 19:13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합니다.

탈리야 로밍챔으로 한번 터트리고

사일러스 하드캐리챔으로 쓸어버리고

크산테로 완벽한 메이킹까지

롤에서 할 수 있는 모든걸 다 보여줬습니다.

그냥 롤의 신이 아닐까합니다
23/08/20 19:17
수정 아이콘
데뷔 5년차인데 계속 우상향 쭉 고점의 폼을 유지하는 게 정말 대단합니다
Santi Cazorla
23/08/20 19:20
수정 아이콘
다재다능
요네 밴? 사일, 크산테까지 간다!
대단하다대단해
23/08/20 19:22
수정 아이콘
전체 드래프트 한다고 치면 100이면 99는 1픽아닐까 싶습니다.
가끔 원장롤 한번 다시 보고싶긴해요 크크
티아라멘츠
23/08/20 20:00
수정 아이콘
쵸비 진짜 오늘 너무너무 잘했어요 매판 하드캐리를 하던데
JimmyEatWorld
23/08/20 20:35
수정 아이콘
쵸비의 진짜 강점은 멘탈이죠
우승 못한다고 엄청나게 까이고 안티도 많았는데 그냥 실력 하나로 다 극복해버리네요...
1등급 저지방 우유
23/08/20 21:24
수정 아이콘
2020 DRX, 2021 한화를 거치며 미친 원장롤을 보여줬지만.. 그에게는 늘

'쵸비는 플레이가 경직되어있다.'
'자원을 너무 많이 먹는다'
'로밍을 다니지 않는 지박령이다.' 등등


..진짜 많이 듣던 얘기고 저도 한 때 그리 생각했었는데,
오늘 경기를 보면 또 하나의 계단을 올라간 느낌이었습니다
고오스
23/08/20 21:41
수정 아이콘
쵸비를 처음부터 눈여겨 본건 아니지만 계속 꾸준히 잘했는데 계속 우승과 거리가 먼 모습을 오랫동안 보면서 뭔가 안타까웠습니다

개인적으로 쵸비가 부족한 부분이 뇌지컬이라고 봤는데 현 LCK 롤 지능으로는 최고봉 중 한명인 피넛과 만나면서 서로가 서로의 최고의 파트너가 되어서 무관력을 완전히 지운 지금의 쵸비가 등장한거 같습니다

전성기 페이커는 피지컬 + 뇌지컬 둘 다 정점에 오른 괴물 오브 괴물이었다면

쵸비는 피지컬에서는 거의 안밀리거나 약간 높은데, 뇌지컬에서는 좀 아쉬운 모습이 있었지만 피넛과 만난 이후론 그런말이 아예 쏙 들어갔죠

이렇게 좋은 팀원간 만나는 건 복이고, 서로가 시너지 효과를 잘 발휘하는건 실력이라고 봐서 쵸피넛의 젠지가 참 잘나가는거 같습니다 :)
23/08/20 22:25
수정 아이콘
올프로 개근한 유일한 선수죠. 롤 역사상 저점이 제일 높은 선수. 흔들리지만 꺾이거나 무너지지 않는 선수. 베풀줄 알며 인간적으로도 모범이 되는 선수. 사... 사.. 좋아합니다 쵸비선수
Valorant
23/08/20 22:37
수정 아이콘
작년 월즈에서 이상한 점멸이었나? 그런 장면을 보고 불판에서 조롱하는 식의 댓글을 많이 봤었는데 안타깝더군요.
당시에 내년이 되면 더 강해져서 돌아올거라는 댓글을 남겼는데 워낙 잘하는 선수라 언젠가는 이런 날이 올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당근케익
23/08/20 23:48
수정 아이콘
전에 다른 글에도 썼던거 같은데
좋은 시기에 젠지 들어가서 피넛 만났어요
원장1년 더하다가는 진짜 망가지고 꺾였을지도
23/08/21 00:08
수정 아이콘
팀빨 못받았다는 이유로 세계 최고의 실력을 갖고도 온갖 억까에 시달렸었죠. 메이저 팀 들어가니까 역시 보여줍니다.
여행가요
23/08/21 11:32
수정 아이콘
쵸비는 언제가 됐든 월즈를 우승할 선수죠.
커리어내에 우승 못한다면 그게 오히려 이상할 정도
이른취침
23/08/21 16:18
수정 아이콘
이젠 쵸비의 시대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885 [LOL] 비디디와 커즈가 6년만에 롤드컵으로 함께 갑니다 [54] 카린10421 23/08/24 10421 5
77883 [LOL] KT가 마지막 경기에 2군을 낸걸 본 라스칼의 솔직한 심정 [41] Leeka15051 23/08/23 15051 19
77879 [LOL] 롤드컵 선발전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45] TAEYEON8481 23/08/23 8481 0
77863 [LOL] 클템의 찍어 성심당 / T1 VS KT / 젠지 VS T1 + 노페의 결승전 리뷰 [80] TAEYEON13858 23/08/22 13858 2
77859 [LOL] '두 명 있는 쪽이 이기는게 낫지 않겠냐' [284] 종말메이커19332 23/08/21 19332 8
77847 [LOL] 플옵2라 + 결승전 후기 [101] TAEYEON13860 23/08/20 13860 5
77846 [LOL] 2023 롤드컵 선발전은 어떻게 될까요? [74] 라면11588 23/08/20 11588 0
77845 [LOL] PGR 뷰잉파티가 안 열려서 아쉽지만 그래서 다행인점 [13] SAS Tony Parker 8034 23/08/20 8034 3
77843 [LOL] 꺾이지 않았던 쵸비. 정지훈 [40] 임의드랍쉽10274 23/08/20 10274 14
77842 [LOL] 감독 스코어의 커리어 [37] 니시노 나나세9190 23/08/20 9190 7
77841 [LOL] 섬머 너무 고생했습니다 티원! [96] 헤븐리12809 23/08/20 12809 29
77839 [LOL] 롤드컵 파이널이 궁금한 사나이 쵸비 [60] 카린10949 23/08/20 10949 4
77837 [LOL] LCK팀들의 롤드컵선발전 성적 정리 [8] Leeka10212 23/08/20 10212 0
77834 [LOL] LCK 선발전 대진표 [62] 반니스텔루이11581 23/08/20 11581 0
77830 [LOL] 올해 롤 남은 일정 [35] HAVE A GOOD DAY12087 23/08/19 12087 6
77822 [LOL] 신 없는 싸움의 끝 [70] roqur11545 23/08/19 11545 0
77816 [LOL] 롤 월드 챔피언쉽 MV 모음 + 가수들 [33] 만찐두빵9639 23/08/18 9639 0
77815 [썰풀기] 아니 그래서 왜 에이티즈? 에 대한 변명? 혹은 비판. [233] Taima11134 23/08/18 11134 5
77805 [LOL] 이번 결승전에서 탄생 가능한 8개의 기록들 [12] Leeka10475 23/08/16 10475 0
77798 [LOL] KT.. 드디어 티원과 젠지 상대로 복수를 할 수 있을것인가? [67] Leeka12614 23/08/16 12614 2
77788 [LOL] 전세계 롤드컵 진출팀 8.5팀 확정 [7] Leeka10820 23/08/14 10820 0
77784 [LOL] LCS에서 팀리퀴드와 골든가디언즈가 6세트에 돌입했습니다 [6] Leeka9002 23/08/14 9002 0
77783 [LOL] LCK 롤드컵 현황 & 남은 일정 정리 [19] Leeka10335 23/08/14 10335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