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5/18 09:48:18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캡처_(1).jpg (95.9 KB), Download : 478
File #2 bffcb7e7a69b572707fa43c6ea4f3ced_vert.jpg (324.8 KB), Download : 479
Subject [LOL] 브리온 OK저축은행과 네이밍 스폰서 체결등 자잘한 소식




http://www.econ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7658


> 저축은행 업계 최초로 e스포츠 팀의 네이밍 스폰서

> 향후 3년간 ‘OK저축은행 브리온’으로 명칭을 변경하게 됨

> OK저축은행은 MZ세대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을 기획하고, 자체 캐릭터인 ‘읏맨’을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을 펼칠 예정

> 서머시즌 팀 유니폼은 위 사진과 같이 초록색과 주황색의 두가지





# LPL / LCS / LEC 서머시즌 개막일 (한국시간 기준)

> LPL 서머 스플릿 5월 27일 개막 (루머)
> LCS 서머 스플릿 6월 1일 ~ 7월 21일 / 챔피언쉽 7월 27일 ~ 8월 20일 (오피셜)
> LEC 서머 스플릿 6월 17일 ~ 7월 30일 / 시즌 파이널 8월 19일 ~ 9월 10일 (오피셜)

LEC는 개막일이 너무 늦는것도 그런데 중간 텀이 너무 기네요. 20일을 쉼..





# LCS 플퀘, EG, 팀리퀴드빼고 나머지는 2군 전부 해체

> C9 구단주 잭 에티엔이 밝히는 이번 2군 해체 이유 요약.txt

- 챌린저스 팀 유지비(급여,숙소,식사비 등)에 연간 88만 달러가 들어감

- 챌린저스 팀 관련 부서 유지비 및 마케팅 비용에 연간 25만 달러 추가로 들어감

- 최근 몇년간 바이아웃을 없앤 채로 최대한 1군으로 보내보려고 노력했는데 진입을 아예 못하고 있음, 심지어 2군 리그 우승 여러번 했는데도

- 현재의 2부 리그 환경으로는 1군 프로 선수가 되는 발판 역할을 아예 못한다는 판단을 내림

- 2부에 손 떼고 앞으로 대학 리그에 좀 더 투자해서 1군과의 연결고리가 생기도록 환경 조성해보겠다.


https://cloud9.gg/latest/regarding-cloud9s-participation-in-the-nacl/


북미는 의외로 대학리그가 흥하고 있다고 듣긴 했는데 이쪽에 투자하려나 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5/18 10:21
수정 아이콘
북미의 변화가 심상치 않네요. C9 이번에 롤드컵에서 꼭 흥했으면 좋겠어요. 부흥 분위기라도 타게.
뜨거운눈물
23/05/18 10:40
수정 아이콘
스폰서는 늘 환영이죠
현대가 젠지 후원하는건 어떻게 됫죠?
네이밍은 안바뀌나요?
23/05/18 10:54
수정 아이콘
Lcs 챔피언쉽이 플옵인가요? 플옵을 한달동안 하는건가요?
오타니
23/05/18 11:08
수정 아이콘
상위8개팀이 참여하는 선발전을 겸하는 것으로만 나와있는데..
23/05/18 11:20
수정 아이콘
선발전이자 서머 결승입니다.
OneCircleEast
23/05/18 11:36
수정 아이콘
대학리그라니 상상도 못해봤네요..... 미국답네...
이경규
23/05/18 11:50
수정 아이콘
박정석이 단장이었넹
OneCircleEast
23/05/18 14:06
수정 아이콘
박정석 단장에 최우범 감독이라 소드 영입때 역시 스타 카르텔이 그럴 줄 알았다고 맹공을 퍼붓는 사람들이 꽤 있었던.....
우리는 하나의 빛
23/05/18 12:04
수정 아이콘
읏?!
국내 챌린서스도 2군 팀에서 바로 올라오는 선수는 소수이긴 하죠.. 농심도 성공이라고 보기엔 아쉽고요.
북미나 유럽의 팀과 계약하는 선수들도 현지 대회에서는 몰라도 국제대회에서의 모습은 좋지않은 데다가, 북미나 유럽의 파이가 줄어들면 그마저도 진출하는 선수가 줄어들테고요.
오히려 아카데미쪽에서 콜업된 선수가 1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가 조금은 더 많지않나 하는 생각도 들고 말이지요.
lck에도 분명히 영향이 있을거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23/05/18 12:41
수정 아이콘
그래도 LCK 챌린저스는 셀링리그 역할을 굉장히 충실히 해 주고 있어서 그것만으로도 존재 가치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253 [LOL] 1년간 결승 전패 티원, 무엇이 문제일까 뻘글 써보기 [224] Taima17015 23/05/22 17015 1
77252 [LOL] 데프트가 22 월즈를 우승하고 받은 것들 [26] Leeka10645 23/05/22 10645 8
77250 [LOL] MSI 2023 동시시청률 + 평균시청자수 신기록 달성 [18] 만찐두빵9028 23/05/22 9028 0
77249 [LOL] Rules와 룰러 [46] 지구 최후의 밤11115 23/05/22 11115 1
77248 [LOL] 이번 MSI를 보면서 느낀점. 제가 느낀 소위 국제전의 적응력 싸움에 대한 이야기 [67] 랜슬롯14150 23/05/22 14150 13
77247 [LOL] 룰러 데프트 뱅의 데뷔 후 커리어 정리표 [89] qwerasdfzxcv13563 23/05/22 13563 0
77246 [LOL] 새로운 리그, 같은 지배자. 룰러의 해 [35] Leeka10420 23/05/22 10420 5
77245 [LOL] 서머가 더 무서워질 LPL [31] 라면10781 23/05/21 10781 1
77244 [LOL] 결성직후 바로 국제대회를 먹은 슈퍼팀 JDG [223] Leeka16375 23/05/21 16375 6
77242 [LOL] 국제대회 결승전 3회 이상 출전자 [10] ELESIS8132 23/05/21 8132 3
77241 [LOL] DRX 2023 Summer Split 로스터 발표 [40] BitSae9021 23/05/21 9021 0
77239 [LOL] JDG vs BLG 프리뷰 & MSI TOP4 팀들의 지표그래프 [24] 전설의용사9341 23/05/21 9341 4
77238 [LOL] TSM LCS 철수, 다른 메이저로 이전 [20] Be Quiet n Drive11796 23/05/21 11796 0
77237 [LOL] 정신 차려줘서 고맙다(티원 응원글, msi후기)(부제 : 티원,젠지 그대들은 자랑스러운 lck팀입니다) [14] 소년명수10429 23/05/21 10429 4
77236 [LOL] LPL의 영광은 우리 세대가 수호할 것이다 [49] Leeka11664 23/05/21 11664 0
77235 [LOL] [MSI] 고개 숙인 배성웅 감독, "다전제 티어 정리가 승패 갈랐다" [128] 리니어17194 23/05/21 17194 0
77234 [LOL] 구마유시 "이제 팬들에게 더 어떻게 좋게 말하고 다음을 기약해야 할지 기약한다 해도 부응을 할수 있을지 모르겠다" [85] 리니어14893 23/05/21 14893 4
77233 [LOL] 진짜 이해가 안되는 lck팀들의 메타파악 [121] 작은형14187 23/05/21 14187 1
77232 [LOL] 아시안게임 국대는 누가?? [304] NewJeans14216 23/05/20 14216 0
77231 [LOL] 징동 대 비리비리. 두 팀의 올해 상대전적 [36] Leeka8718 23/05/20 8718 0
77230 [LOL] 이번 MSI 결승전은 결국 중중전으로 확정 [230] 니시노 나나세12876 23/05/20 12876 3
77229 [LOL] T1 vs BLG MSI 지금까지의 사용 챔피언 차이 정리 및 개인적 감상 [24] qwerasdfzxcv10148 23/05/20 10148 3
77227 [LOL] 이번 MSI 징크스 아펠 구도.jpg [76] 가변11791 23/05/20 1179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