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3/29 09:34:49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3_03_29_오전_9.38.01.png (165.6 KB), Download : 735
File #2 스크린샷_2023_03_29_오전_9.38.06.png (136.9 KB), Download : 732
Subject [LOL] LPL 10주년 기념 10대 선수 선정 완료 (수정됨)




총 유효 표수는 270표가 되었다고 합니다. (총 표는 더 많았으나 일부 무효 처리됨)


* 커리어의 경우 LPL 기준의 커리어
- 월즈, MSI, LPL만 포함.  타 리그나 이벤트는 제외..
- 개인 커리어는 MVP / 연간 어워드 / 퍼스트팀만.   이유는 그 이하 포함하면 이 수준의 선수들은 너무 많음


------

포지션

탑  : TheShy
정글 : Clearlove
미드 : Rookie > Doinb > Xiahou < Scout
원딜 : Uzi > JackeyLove
서폿 : Meiko > Ming

의 10명이 선정되었습니다.



팀으로 따지면

16 EDG (LPL 유일 전승우승팀) - Clearlove / Scout / Meiko
18 RNG (LPL 유일 그랜드슬램 도전팀) - Xiahou / Uzi / Ming
18 IG (LPL 최초 롤드컵 우승팀) - TheShy / Rookie / JackeyLove

그리고 나머지 한자리에 Doinb

이렇게 선정되었다고 봐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3/29 09:37
수정 아이콘
단체샷이 너무 웃기던데요 크크크
김연아
23/03/29 09:38
수정 아이콘
강력한 후보로 거론되는 선수 중에선 티안이 빠졌군요.
몽키매직
23/03/29 09:40
수정 아이콘
루키 도인비 스카웃 다 들어갔네요?
LPL 팀으로 월즈 우승 메인 옵션이었던 게 크게 작용했나 봅니다.
23/03/29 09:40
수정 아이콘
스카웃이 아슬아슬하게 막차를 타면서... 셋이 모두 들어갔습니다.
김연아
23/03/29 09:42
수정 아이콘
사실 안 들어가면 이상한 거;;;;

황족 미드에, 월즈 우승 맹활약에, 리그에서도 꾸준히 잘 해줬죠.
몽키매직
23/03/29 09:57
수정 아이콘
저도 들어가도 된다고 생각하는데 (월즈 우승이 중요하고 다들 최소한 1/2 옵션이었어서)
LPL 올타임이면 자국 선수 및 LPL 우승 커리어를 더 치지 않을까 생각했었습니다.
다 넣으면 미드가 다른 포지션에 비해서 많기도 하고요.
킹이바
23/03/29 10:14
수정 아이콘
단순 우승 커리어도 커리어지만 선수들의 개인 커리어는 물론
이 선수들이 리그에 끼친 영향력(루키, 도인비)도 상당부분 평가에 반영되었겠죠
김연아
23/03/29 11:13
수정 아이콘
LPL 리그를 반영하면, EDG랑 RNG 포지션이 무지하게 큰데요.

EDG 초창기는 클리어러브가 후반기는 스카웃이 각각 뽑혔고, 전 세대를 아우르는 선수로 메이코가 뽑혔죠.
RNG는 우지, 샤오후, 밍 뽑혔죠.
EDG, RNG에서 굳이 더 뽑을 만한 선수도 없긴 해요.
폰/데프트/바이퍼는 경력이 짧고, 렛미도 여기 끼긴 아쉽죠.
암튼 이 2팀에서 6명

그 담에는 2회 우승팀이 JDG가 유일해요.
나머지팀은 다 1회씩 우승.
재키러브가 팀 바꿔가며 리그 2회 우승에, 월즈까지 있죠.
더샤이, 도인비, 루키는 각각 1회 우승에 월즈까지 있고, 아이콘이거나 원장롤에 화려한 수상 경력 등, LPL 경력도 대단하죠.
카나비가 2회 우승 에이스이고 LPL 커리어도 괜찮은데, 데뷔한지가 좀 늦어서....
그나마 재키러브 정도랑은 비벼볼만하긴 합니다.
아니면 플랑드레 정도인데, 플랑드레는 우승할 때 폼이 떨어져 있던게...

어쨌거나 사실 LPL 경력 자체가 충분히 고려된 수상이죠.
João de Deus
23/03/29 11:12
수정 아이콘
그 셋은 월즈 우승도 우승이지만 리그에서 보여준 퍼포먼스가 워낙 꾸준하고 좋았죠
김연아
23/03/29 09:40
수정 아이콘
스카웃 시엠없이 파엠만 3번인 거 개욱기네요.

역시 워워 도현, 원조 빅게임 헌터!!!!!
더치커피
23/03/29 09:42
수정 아이콘
이번에 시엠 먹을지도?
김연아
23/03/29 09:44
수정 아이콘
이번에 유력하긴 하죠. 근데 LPL 시상은 워낙 예측불허여서요 크크크.
더치커피
23/03/29 09:45
수정 아이콘
지에지에랑 룰러도 있어서 시엠 못먹을 수도 있겠네요
김연아
23/03/29 09:49
수정 아이콘
LPL이 워낙에 새로 온 한국인을 좋아해서 룰러가 탈 수도 있을 것 같아요 크크크.
지에지에도 강력한 후보인데, EDG가 설사 2위였더라도 얘네들이 또 LPL 리그 시상할 땐 중국인을 잘 안 챙겨주는 이상한 습성이 있어서...
암튼, 전 이예찬 정배로 보긴 합니다.
23/03/29 10:10
수정 아이콘
박도현 선생님은 안 껴주나요? 외국 리그 뛰고 있으면 빼는 건가...
노련한곰탱이
23/03/29 10:14
수정 아이콘
아무리 잘했다지만 2년 뛰고 한국 돌아간 선수를 주기는…
킹이바
23/03/29 10:15
수정 아이콘
겨우 2시즌 뛰었는데 애초에 대상이 아니죠..
다시마두장
23/03/29 10:51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로컬 자격이 있거나 그에 준하는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것 같습니다.
핫포비진
23/03/29 11:05
수정 아이콘
10주년 기념으로 10명을 뽑는건데 바이퍼가 들어가기엔 벽이 너무 높은..
아 이 유
23/03/29 11: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
23/03/29 11:29
수정 아이콘
데프트도 사실 이제는 lck기간이 압도적으로 긴 느낌이라..
아지매
23/03/29 12:20
수정 아이콘
데프트도 LPL에서 2년밖에 안있었습니다.
55만루홈런
23/03/29 14:48
수정 아이콘
데프트도 별로 안뛰었어요 이년임 크크
그리고 lpl에서 바이퍼가 데프트보다 위라고 보고있구요 결국 롤드컵 우승으로 증명했으니...

같은 edg인데 바이퍼는 롤드컵을 들고 왔음...
이거쓰려고가입
23/03/29 20:14
수정 아이콘
LPL시절 데프트가 정말 잘했던 건 100번 동의하겠지만 위상이 우지랑 동급이라는 건 너무 현실성 없는 얘기죠. 호사가들 사이에서 우지 별명이 '신'입니다. 더샤이가 상단의 신이라고 불릴 때 우지는 그냥 신이라고만 불려요. 우지 복귀 떡밥에 대형 포털 인기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하고 게임분야가 아닌 전체 분야에서 중국 내 최고 인기스타로 뽑히는 게 우지였습니다.
João de Deus
23/03/30 00:06
수정 아이콘
위상 면에서 우지랑 동급인 선수는 클리어러브 더샤이 뿐입니다

데프트는 못 껴요
천혜향
23/03/30 07:57
수정 아이콘
똑같이 2년 뛰었는데요
ryush321
23/03/30 16:20
수정 아이콘
위상 전혀 안비슷합니다
Rorschach
23/03/29 10:20
수정 아이콘
위에 댓글에 언급 된 티안 말고, 들어갈만한데 아쉽게 못 들어간 선수 누가 있을까요? 왜이리 선수들이 기억이 안나죠 크크
스톤에이지
23/03/29 10:32
수정 아이콘
플랑드레는 들어갈만한데 아쉽죠
김연아
23/03/29 10:43
수정 아이콘
도인비가 스위프트에 투표했데요 세상에 크크.
VinHaDaddy
23/03/29 11:56
수정 아이콘
이 무슨 노페가 스피릿 뽑는 소리인가요 크크크크
이거쓰려고가입
23/03/29 20:15
수정 아이콘
MLXG나 닝도 있겠네요. 아니면 진짜 옛날까지 더듬어서 PDD...?
감전주의
23/03/29 10:33
수정 아이콘
lpl 롤드컵 들고 싶으면 한국인 미드 써라
더치커피
23/03/29 10:54
수정 아이콘
fpx : 그래서 고리 데려왔었는데...
소년명수
23/03/29 10:45
수정 아이콘
믿고 쓰는 한국산 미드
23/03/29 11:57
수정 아이콘
LPL 대표 10인에 한국인 4인... 이게 되네요

하긴 더루도스는 LPL을 대표하는 느낌이 있긴 하죠

근데 더루도는 확실히 삶의 터전을 중국으로 옮긴 느낌이 있는데
스카웃은 LCK(특히 KT)와 염문설을 뿌려대서 정통성이 좀 애매하지 않나 싶었는데...
이게 되네요
23/03/29 16:44
수정 아이콘
스카웃은 LPL 우승횟수가 3회나 되서..
루도는 이름값에 비해 LPL 우승이 1회밖에 없죠.
곱절로 달려라
23/03/29 12:06
수정 아이콘
EDG 우승당시랑 작년에 플랑드레가 잘 못해서 그런가요

사실 그 전까지 모든 중국 탑솔러중 탑에 가까운 선수고 롱런도 하고 여러 활약상이 있는데

전성기랑 우승 시점이 다른게 치명적이군요
Yi_JiHwan
23/03/29 12:45
수정 아이콘
뭐 이정도면 적당히 잘 뽑혔네요
23/03/29 13:04
수정 아이콘
저는 밍 말고 티안이 들어가지 않을까 싶었는데 밍도 선정될만한 선수라고 생각해서 무난히 뽑혔다고 보네요
Santi Cazorla
23/03/29 13:21
수정 아이콘
결국 루도스샤 다 넣었네요
23/03/29 13:23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했던 정배 그대로 나왔네요.
이직신
23/03/29 13:49
수정 아이콘
샤오후가 중국인 미드중에는 대단하긴하네요
Easyname
23/03/29 14:03
수정 아이콘
마 플랑드레 티안 황족미드가 아닌걸 탓해라
안철수
23/03/29 15:19
수정 아이콘
우지가 대단하긴 해요.
꼴랑 1코어 가지고 탑미드 잡아먹고 캐리하는 유일무이 원딜
23/03/29 16:03
수정 아이콘
우지에게 18년 롤드컵이란...
저것만 먹었으면 정말 전설이 될 뻔 했는데.... ㅠ
소년명수
23/03/29 17:36
수정 아이콘
대황G2의 위엄
이른취침
23/03/29 23:52
수정 아이콘
북산엔딩까지 완벽했...
23/03/29 18:36
수정 아이콘
14년 MVP 우지
15년 MVP 클리어러브
17년 MVP 샤오후
18년 MVP 루키
19년 MVP 도인비
21년 MVP 스카웃

한해를 석권했던 선수들이 엄청 많네요
16년 MVP는 데프트였을거같고
20년은 누구였을라나 나이트나 카나비같은 선수였을려나...
더치커피
23/03/29 19:12
수정 아이콘
놀랍게도 소프엠이었습니다..
제라그
23/03/29 19:24
수정 아이콘
LCK 10대 선수 뽑으면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 리그제 전환이 언제였더라…
23/03/29 20:18
수정 아이콘
페이커, 칸, 프레이, 벵기, 뱅, 울프, 피넛, 데프트 정도가 유력하고 나머지는 사람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23/03/29 20:43
수정 아이콘
울프보단 마타가 더 유력할 걸로 보입니다. 울프가 원옵션적이 있었나..
제라그
23/03/29 20:49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패뱅울을 빼기도 뭣 하죠.
근데 LCK가 LPL보다 더 빡쎈 느낌이긴 합니다. 마타, 룰러, 캐니언, 쇼메이커, 베릴… 여기에 리그제 이전까지 치면 매드라이프나 엠비션도 가산점이 있고… LPL도 관점에 따라 쳐낸 선수들이 없지 않지만 LCK가 정점이었던 시절이 더 긴만큼 임팩트도르든 커리어도르든 선정이 더 쉽지 않은듯.
소년명수
23/03/30 05:06
수정 아이콘
페이커가 있는데 그자리는 누가와도 원옵션 얘기못들어요
23/03/29 21:27
수정 아이콘
막 떠오르는대로 추가해보면 마타 큐베 넣어야할거같고
남는자리에 메라 프레이 스멥은 좀 띠져봐야할것같고..
LCK 시청만 10년
23/03/29 21:29
수정 아이콘
임팩트, 롱런 등을 봤을때 앰비션, 베릴, 룰러 쪽도 유력해보입니다
월즈를 들었던 LCK 선수들도 워낙 많아서 프레이, 칸, 피넛은 월즈 경력 이야기가 나오면 밀릴수밖에 없구요
뭐 그래도 10대 선수에 프레이, 칸이 안뽑히긴 어렵다는 생각이 드네요
23/03/29 21:42
수정 아이콘
Lck 10대 선수인데 T1 제외 최다 우승자들이 롤드컵 없다고 제외되는 건 문제 있다고 봅니다
김하성MLB20홈런
23/03/29 22:42
수정 아이콘
카사는 임팩트가 없어서 힘들었나요.. LPL 비한국인 선수 중에선 우지 다음으로 무서웠던 선순데.
소년명수
23/03/30 05:02
수정 아이콘
우지는 참 lpl우승 조차 몇개 되지도 않는데 롤드컵 우승자 이상의 대우라는게 신기
약간 관우같은 느낌
Fabio Vieira
23/03/30 09:47
수정 아이콘
샤오후 MSI 3회 우승은 진짜 크크 봄의 황제 답네요..
키모이맨
23/03/30 09:57
수정 아이콘
2포지션 석권을 한 이상한사람이 한명있네요 크크
더높은곳으로
23/03/30 11:47
수정 아이콘
2018 내 마음속 세체팀 R N G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622 [LOL] LCK 주전 선수들이 '가장 많이 한 챔피언들' [16] Leeka9677 23/07/26 9677 0
77562 [모바일] [우마무스메] 응 난 백댄서 안함! 피스케스배 결승 후기 [25] 환상회랑6967 23/07/16 6967 2
77503 [LOL] T1 소통방송 정리 [63] 본좌15250 23/07/05 15250 1
77494 [오버워치] 옵드컵 예선 결과 [15] Riina8078 23/07/04 8078 6
77467 [LOL] 클리드는 어느 정도의 죄인가? [92] 류지나18571 23/06/29 18571 40
77425 [기타] (장문주의)엘가시아 후기. (진)로스트 아크의 여정을 마무리하며 [17] 랜슬롯7350 23/06/24 7350 4
77394 [LOL] lpl 서머 전반기 주요팀 감상평 [10] gardhi7476 23/06/19 7476 3
77336 [LOL] 우지 복귀기념 과거 우지에 대한 선수들의 평가 [49] 스톤에이지11618 23/06/09 11618 3
77315 [기타] 히오스는 왜 실패하였고, 근본적인 해결방향은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데이터주의) [53] 리포블리13291 23/06/01 13291 17
77290 [LOL] 월요일 LPL 서머 시작 - 팀별 로스터 변화, 롤드컵 유력팀, 1주차 빅매치 [18] Ensis10027 23/05/29 10027 4
77253 [LOL] 1년간 결승 전패 티원, 무엇이 문제일까 뻘글 써보기 [224] Taima16274 23/05/22 16274 1
77249 [LOL] Rules와 룰러 [46] 지구 최후의 밤10425 23/05/22 10425 1
77211 [LOL] 티원 징동 후기 [28] 작은형11056 23/05/19 11056 5
77166 [LOL] 심각한 루머가 나오는 RNG [16] 라면15276 23/05/10 15276 0
77161 [PC] 정치적 올바름과 스카이림 [40] 이선화10326 23/05/09 10326 14
77148 [PC] [노스포] 화이트데이2 에피소드2: 화태식이가 돌아왔습니다 [3] 김유라6010 23/05/07 6010 3
77147 [기타] 연휴간 또 즐긴 게임 리뷰 5종 [5] 모찌피치모찌피치8761 23/05/07 8761 9
77136 [LOL] LCK 정상 오른 쵸비 “치열하게 노력중 이제 태극마크 꿈꾼다 [91]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5304 23/05/04 15304 7
77121 [뉴스] 프나틱의 레클레스가 서포터로 포지션을 변경합니다 [10] OneCircleEast9536 23/04/29 9536 0
77119 [오버워치] [OWL] 2023 오버워치 리그 프리뷰 - 동부 파워랭킹 Riina6122 23/04/29 6122 0
77073 [뉴스] 항저우 아시안게임 e스포츠 국가대표 예비엔트리 공개 [362] OneCircleEast19565 23/04/21 19565 3
77064 [LOL] 롤도사에게 롤을 묻다 [4]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399 23/04/19 9399 8
77038 [LOL] 역대 LCK 올프로 (2020~2023) [49] Dango9104 23/04/14 910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