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3/23 12:39:36
Name Kaestro
File #1 20230323122306_1.jpg (302.7 KB), Download : 227
File #2 하이파이_러쉬.png (836.3 KB), Download : 226
Subject [콘솔] 좀 늦은 hi-fi rush 클리어 후기(스팀 봄 할인 추천)





View post on imgur.com


------------------------------------------------------------------------------------------------------

스팀 봄 맞이 세일을 하길래 뭘 해볼까 고민하다가 올해 초 인기있던 작품인 hi-fi rush가 할인 라인업에 있길래 한번 플레이해봤습니다.

난이도는 매우 어려움으로 게임에 대한 사전 플레이 정보는 리듬 액션 게임이란 것 제외하고는 플레이 영상을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난이도를 놓고 보면 매우 어려움 기준 세키로보다 조금 쉬운 정도라고 생각이 드네요.

제가 액션 게임 중에서는 세키로, 인왕2, 둠 이터널, 스타워즈 제다이: 오더의 몰락 정도를 플레이해 봤는데 이런 류의 게임을 즐겨 플레이한 사람이라면 좋아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음악, 그래픽 등은 취향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전 깔끔하고 무난하단 인상 정도를 받았습니다.

------------------------------------------------------------------------------------------------------

게임에 대해 인상 깊었던 부분 - 1

"레벨 디자인이 굉장히 잘 되어있다."

게임을 플레이할 때 제가 신경 쓰는 부분 중 하나는 레벨 디자인이 잘 되어있단 겁니다.

게임들이 단순하게 이 게임 플레이할때 이런거 할 수 있어요!라며 튜토리얼을 지루하게 구성하는 경우도 많고

그게 아니라면 튜토리얼을 제대로 주지 않고 이 버튼 누르면 이런 기능이 있어요!라고 언급한 다음에 방치해두는 경우도 굉장히 많죠.

이 게임은 요즘 많은 게임들이 그러하듯 튜토리얼을 게임 초반 플레이에 자연스럽게 녹이려는 시도를 하는 디자인을 추구합니다. 그런데 그게 게임 중반까지 이어지면서 유저에게 새로운 조작, 새로운 스킬을 계속해서 제시하는데 그거를 적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면서도 학습이 아니라 게임 플레이에 대한 즐거움으로 이어지도록 만들어왔어요.

사실 저는 이 게임이 진짜 고평가 받을만한 부분은 이것이라 생각합니다. 게임이 아무리 재밌어도 그 재미에 도달하는 숙련단계까지 가는게 괴롭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그것은 재밌는 게임이기 힘들거든요.

그래서 이 게임은 사전 정보를 아무것도 모르더라도 클리어하는데까지 패턴이 짜증나는 보스 스테이지를 제외하고는 자연스럽고 물흐르듯이 진행됩니다.

------------------------------------------------------------------------------------------------------

게임에 대해 인상깊었던 부분 - 2

을 사실 원래는 쓰려했는데, 여기를 쓰는건 좀 글을 억지로 늘리려는거 같네요. 그냥 1이 제가 이 게임에 있어서 가장 인상 깊게 받은 부분이고 나머지는 그냥 준수한 잘 만든 게임이라 생각합니다.

타격감 좋고, 노래 괜찮고, 보스들 패턴이 전반적으로 재미있고 도전하고 싶게 구성돼 있어서 만족스럽게 할 만한 게임이었습니다.

회차 플레이 요소들이 좀 있는 것 같은데 전 원래 회차플레이는 하지 않아서 아마 그만할거 같긴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공법
23/03/23 12:53
수정 아이콘
처음에는 콤보도 외우면서 재밌게 했는데 나중에 여러가지 콤보좀 얻고 하니 뭐 아무거나 눌러도 콤보나감 크크크
23/03/23 12:58
수정 아이콘
사실 그거도 진짜 장점이긴 하죠 크크 진짜 플레이하기 쉽단점
물론 공콤 때릴때 딜이 더 우겨넣기 쉽고 덜 맞아서 공콤 위주로 플레이하게 되긴 했지만요
Lainworks
23/03/23 13:15
수정 아이콘
고양이가 귀여운 게임이죠 크크
허저비
23/03/23 13:22
수정 아이콘
이거랑 와룡 덕분에 올해 게임패스는 본전 건졌다고 생각합니다. 두어달 행복하게 게임생활 즐기고 있네요
와룡은 원래가 기대작이었지만 이거는 갑툭튀에 가까웠는데 생각보다 완성도도 높고 너무 좋았네요
23/03/25 11:26
수정 아이콘
와룡은 최적화 되면 해보려고 생각중입니다...
꽃이나까잡숴
23/03/23 13:28
수정 아이콘
전 좀 하다보니 루즈해서 일단 덮었습니다....
어게인스트 스톰에만 손이가네요
23/03/25 11:25
수정 아이콘
전 오히려 전투를 하도 쉴틈없이 던져대서 피곤해서 끌때도 있었는데 사람마다 감상이 다르네요
-안군-
23/03/23 13:37
수정 아이콘
엔딩은 봤는데, 진엔딩은 막판 도전과제들이 너무 빡세서 포기했던.. ㅠㅠ
23/03/23 14:00
수정 아이콘
사실 진엔딩은 말 그대로 양념격이라서, 그냥 나무위키에서 설명만 봐도 충분하긴 합니다..;
정말 별 내용이 없어요. 보고나서 허무하다고 하는 사람들이 수두룩하고, 저도 허무했습니다.

도전과제는 뭐... 몇번씩 헤딩하다보면 되긴 되더라고요. 저도 도전과제 붙잡을때는 그것만 붙잡고해서 결국 깼네요.
23/03/25 11:25
수정 아이콘
진엔딩이면 뭐 이후 이야기려나요
그래피티로 뭐 떡밥 깔고 못 뚫고 가는 스테이지 나중에 기술로 뚫는거 만들어둬서 다시 돌라는거 같은데
그런거 귀찮아해서 그냥 삭제했습니다 전 크크
23/03/23 13:53
수정 아이콘
말 그대로 갓-겜이죠.
게임에 적응할수록 플레이가 리듬감을 타게됩니다.
스테이지 막바지에서, 차이가 내면의 리듬을 맞춰가는 QTE가 나오는데.. 그 장면이 이 게임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장면이라고 생각합니다.
보스전이 페이즈별로 재도전이 가능한것도 장점이었고요.

다만 사무라이는 진짜 좀 매너.. (....)
사무라이만 유독, 박자 안알려주고 바로 연타로 때리는 기믹이 있어서 좀 어렵더라고요. 적응하는데 한참 걸림...
23/03/25 11:24
수정 아이콘
무슨 사무라이 말하시는지 잘 모르겠네요
딴 따단따 따단따단따단하고 치는 친구 말하시는거려나요
저는 날아다니는 친구가 제일 싫었습니다
징버거
23/03/25 10:43
수정 아이콘
이게 마지막보스까진 괜찮은데, 마지막 보스가 식별이 어려운 엇박레이저를 너무 쏴서 좀 짜증나더라고요.
그 전까진 무난하게 진행하다가 막보에서 한 30트박고 그냥 난이도 내리고 엔딩봤습니다
23/03/25 11:23
수정 아이콘
저도 엇박 레이저 때문에 좀 짜증나긴 했는데 그게 리듬이 고정이라서 한번 패턴이 익숙해지면 다 패링치고 딜탐 잡으면 되긴 하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대부분 보스전보단 덩치들 셋넷씩 한번에 던지는 스테이지들이 더 어려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11203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77263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45018 13
81216 [LOL] 나란히 승리한 현존 LCK 두개의 탑 - 던파를 꺾은 한화와 T1 을 제압한 젠지 [35] 하이퍼나이프4160 25/05/18 4160 5
81215 [랑그릿사 모바일] 빨리 보물을 찾으러 떠나자! - 뉴비용 랑피스 공략 [4] 통피1452 25/05/18 1452 2
81214 [LOL] 중부권 팀들 남은 대진 [21] roqur3100 25/05/18 3100 1
81213 [발로란트] 마스터즈 토론토에 진출하는 12개의 팀 정리. [6] 일렉트4751 25/05/17 4751 1
81212 [LOL] 파죽의 2연승 DK와 도파민 그런거 없다는 젠지 [16] 하이퍼나이프9848 25/05/16 9848 4
81211 [발로란트] T1, 아카데미에서 DH 동호 선수 콜업 [9] 김삼관6210 25/05/16 6210 0
81210 [기타] lck 선수로 뛰어본 썰 [49] 크산테10473 25/05/16 10473 32
81209 [LOL] lck 현재 순위 및 이런저런 잡설 [25] 마술의 결백증명8065 25/05/16 8065 0
81208 [LOL] KT의 화려한 업셋과 T1의 복수 - 통신사들의 승리데이 후기 [39] 하이퍼나이프8779 25/05/15 8779 8
81207 [오버워치] 좀 늦은 OWCS 2025 스테이지 2 1주차 리뷰 [6] Riina2961 25/05/15 2961 0
81206 [기타] 난 뭘 위해서 게임을 하지? [32] 버드맨6250 25/05/15 6250 30
81205 [기타] 캡콤 근황 [19] 인간흑인대머리남캐7424 25/05/14 7424 0
81204 [라스트오리진] 라스트오리진의 가장 최근 미스오르카 소식 [35] 용자마스터5468 25/05/14 5468 12
81202 [LOL] 다시 쓰는 마드리드 로드트립 [17] DENALI6986 25/05/13 6986 0
81200 [발로란트] 내년 퍼시픽리그는 한국 서울을 떠난다? [10] 김삼관6341 25/05/13 6341 3
81199 [콘솔] [게임 클리어 후기:스포있음] 스플릿 픽션 [8] RED6585 25/05/12 6585 0
81198 [LOL] 열광적인 프랑스 로드트립 [19] DENALI9344 25/05/12 9344 0
81197 [발로란트] RRQ가 길고긴 악연을 끝내고 우승을 차지합니다. [10] 말레우스6432 25/05/11 6432 0
81196 [LOL] DNF가 드디어 첫승을 가져갑니다 [48] roqur10569 25/05/11 10569 4
81195 [기타] EVO Japan 2025 철권8, 무릎 우승 [24] 어강됴리6947 25/05/11 6947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