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1/10 18:10:46
Name 스위치 메이커
File #1 Screenshot_2023_01_10_at_18_11_58_2023_Season_Kickoff_Event___LCK___YouTube.png (537.2 KB), Download : 233
Subject [LOL] 롤드컵, MSI 조별리그 진행방식 개편 (수정됨)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280587&site=lol

일단 2023 월즈는 한국에서 하는 걸로 확정났는데 조별리그가 스위스 라운드로 바뀌는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난해한 방식이라고 생각해서 불호인데... 8강 이후에는 별다른 변화는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MSI는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고 13개팀으로 현행 11개팀보다 2개팀 늘어나며 플레이인과 8강 모두 더블엘리미네이션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1/10 18:15
수정 아이콘
스위스 이거 1.2위는 2겜만하는건가요?
스위치 메이커
23/01/10 18:16
수정 아이콘
아니요 총 3게임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경기는 Bo3라네요
23/01/10 18:16
수정 아이콘
아 1.2위 결정전인가보군요.

1위가 상대팀 고르나
타르튀프
23/01/10 18:15
수정 아이콘
지금 발표된 월즈 방식과는 조금 다르지만 스위스 시스템의 직관적 이해를 돕기위해:
https://namu.wiki/w/%EC%8A%A4%EC%9C%84%EC%8A%A4%20%EC%8B%9C%EC%8A%A4%ED%85%9C

기본 컨셉은 매 라운드마다 이긴 팀과 진 팀이 발생하면 다시 그룹을 나누어 성적이 동률인 팀들끼리 우열을 가리는 방식이고, 이러한 라운드를 5번 거치고 나면 상위 8개팀이 결정되는 방식인 것 같습니다. 상당히 복잡한 것 같기는 한데, 이 방식으로 하면 다양한 강팀들이 서로 붙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볼거리는 상당히 풍성해질 것 같고 경기수도 조금 늘어나는 것 같네요.
Davi4ever
23/01/10 18:15
수정 아이콘
3승을 하면 진출, 3패를 하면 탈락이군요. '조별' 리그 대신 다른 용어로 불러야 할 듯?
스위치 메이커
23/01/10 18:17
수정 아이콘
Bo3가 섞여 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3패하고도 진출할 수 있습니다.
Davi4ever
23/01/10 18:18
수정 아이콘
아 세번의 '매치'를 의미한 거였습니다.
Equalright
23/01/10 18:17
수정 아이콘
진짜배기 강팀 가리는 방식이라서 좋아하긴하는데, 더블엘리도 어려워서 잘 안쓰는 마당에 스위스라운드를요?
스위치 메이커
23/01/10 18:2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벌써 모르겠습니다(...)
OneCircleEast
23/01/10 18:29
수정 아이콘
스위스 라운드는 그냥 승패 같은 애들끼리 '니들은 성적을 보니 실력이 비슷한가보구나' 하고 붙여놓는거죠....
첨에 한판씩 하고나면 1승팀 1패팀으로 절반 나뉘는데 걔들끼리 나눠서 조편성하고
1승팀 조에서 승리한 애들은 2승팀 조, 패배한 애들은 1승1패 조로 또 절반 나눠서 조편성하고
2승팀 조에서 승리한 애들은 3승이니까 너희는 통과, 패배한 애들은 2승1패 조로 보내고
1승1패조에서 승리한 애들은 2승1패가 되니까 얘들도 2승1패 조로 보내서 여기서 이긴 애들은 또 3승 채웠으니까 통과, 진 애들은 2승2패조로....
여튼 그 와중에 3승 채우면 통과, 3패 채우면 탈락...
Davi4ever
23/01/10 18:17
수정 아이콘
8강 팀을 뽑는 트리플 엘리미네이션 이렇게 생각해도 될 것 같네요.
아 그리고 이 방식 도입되면 타이브레이크는 자동적으로 없어지는...
리니어
23/01/10 18:18
수정 아이콘
이제 서머에서 스프링 1,2위가 같이 꼬라박힌다~~~~~
Lazymind
23/01/10 18:21
수정 아이콘
22번째 팀은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시리즈를 통해 결정된다. 이 선발전에서는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리그인 LEC와 북미 리그인 LCS의 4번 시드가 5전 3선승제 대결을 펼쳐 승리한 팀이 롤드컵 막차를 타게 된다.

LEC 4번 vs LCS 4번 월즈 단두대

이게 메인이벤트지
스위치 메이커
23/01/10 18:23
수정 아이콘
솔직히 LCS 4번시드면 마이너 1시드한테 따여도 크게 이상하지는 않을 것 같긴 합니다
반니스텔루이
23/01/10 18:21
수정 아이콘
저도 스위스 방식 불호인데 크크
이걸 롤드컵에서 보게 될줄이야
알빠노
23/01/10 18:23
수정 아이콘
스위스 라운드가 이변이나 플루크의 가능성을 줄이고 최대한 실력을 반영하는 방식이긴 합니다. 하스스톤 같이 운이 많이 작용하는 게임은 그래서 시간이 허용된다면 스위스 라운드를 우선으로 합니다. 물론 보는 입장에서는 토너먼트가 더 직관적이고 흥행에도 도움이 되긴 합니다만...
스위치 메이커
23/01/10 18:24
수정 아이콘
그건 조별리그에는 해당 안 되는 얘기 아닌가요? 8강 토너먼트는 그대로 진행한다고 합니다.
묻고 더블로 가!
23/01/10 18:23
수정 아이콘
MSI는 이제 준우승팀도 참가하는 군요 훨씬 재밌어지겠네요
타르튀프
23/01/10 18:25
수정 아이콘
근데 스위스 매치 도입하면 상대적으로 언더독의 업셋이 일어날 확률은 줄어들 것 같기는 합니다. 결국 게임 수를 늘려서 진정한 강자를 가리는 방식이라 낭만보다는 냉정한 현실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아서.
스위치 메이커
23/01/10 18:28
수정 아이콘
확실히 메이저 3~4시드에게 (특히 한/중) 유리한 룰이라고 생각되긴 합니다. 실력만 있다면 운빨로 떨어지는 일이 확연히 줄어들 것 같아요
티아라멘츠
23/01/10 18:58
수정 아이콘
운빨겜도 스뚫은 실력입죠
ioi(아이오아이)
23/01/10 18:27
수정 아이콘
더블 엘리미도 어렵다고 하는 판국에 스위스 매치? 유희왕 하스스톤에서나 써먹던 방법을 쓰네요
Davi4ever
23/01/10 18:28
수정 아이콘
조금 생각을 해봤는데, 더욱 다양한 매치업과 이야깃거리가 나왔으면 하는 의견을 16강 쪽에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8강 토너먼트 단계의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이 보기 때문에 더블 엘리와 같이 이해가 어려운 방식을 도입하는 것을 피했고,
대신 토너먼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니아 시청층 비율이 높을 16강은 좀더 복잡한 방식을 선택하더라도
어차피 볼 사람들의 숫자 변화가 그렇게까지 드라마틱하게 변하지 않을 것이라 판단한 것 같네요.
승률대폭상승!
23/01/10 18:32
수정 아이콘
더블엘리 어렵다고 안된다고 하는건 진짜 핑계라는걸 보여주는...
23/01/10 18:49
수정 아이콘
차라리 더블엘리가 나아보입니다 그리고 라이엇은 방식을 더 복잡하게 하는건지 이해 안가네요 월드컵 처럼 이해하기 쉽게 가야지 이건 아닌것 같네요.
피아노고양이
23/01/10 18:53
수정 아이콘
더블엘리 신봉자지만 조별에선 쓰기 애매하다고 생각했는데, 개인적으론 스위스 라운드로 변화준거 굉장히 맘에드네요
변화를준다면 이 방식이 가장 좋아보임
23/01/10 18:54
수정 아이콘
지금도 그런데 이렇게 변경되면 서구권 팀 중에 8강까지 살아남는 팀 정말 적어지겠네요.
티아라멘츠
23/01/10 18:56
수정 아이콘
딱지맨 입장에서 스위스는 익숙한 물건이긴 한데, 진짜 이걸 하나?
23/01/10 19:05
수정 아이콘
이왕 복잡하게 할거, 롤드컵 8강도 더블엘리미 하지...

ps. 3-0 2팀 / 3-1 3팀 / 3-2 3팀 나오는데, 8강 브라켓은 어떻게 짜는 걸까요? 2/3/3이라 딱 떨어지지도 않는데.
Davi4ever
23/01/10 19:08
수정 아이콘
토너먼트 단계는 더 많은 시청자들이 보니까 복잡한 방식은 안된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16강을 바꾼 것 같고요.
다른 스포츠들도 상위 단계로 갈수록 심플해지는 경우가 많기도 하고...
23/01/10 23:32
수정 아이콘
그렇다기엔 msi 8강도 더블엘리로 바꿔서요....
Davi4ever
23/01/10 23:57
수정 아이콘
MSI도 큰 대회지만 롤드컵의 무게감이나 시청층은 MSI와 또 다르니까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오타니
23/01/10 20:18
수정 아이콘
우선 3승2팀은 양쪽으로 나눈 후,
6팀을 섞을것 같네요
23/01/11 03:05
수정 아이콘
lolesports에 영어로 작성된 게시물을 보면 더블 엘리미네이션의 단점에 대해서 나와 있죠. 그 단점 때문에 무게감이 큰 월즈에서는 쓰기 애매하다고 판단한거 같습니다.
23/01/10 19:13
수정 아이콘
그리고 MSI 2팀 출전으로 결승전 보다 전 날 진행되는 결승진출전이 메인이 되네요 물론 우승하면 서킷 포인트와 상금 차이는 있지만 말입니다.
Primavera
23/01/10 19:36
수정 아이콘
더블엘리는 결승전에서 브라켓 리셋을 해도 문제고 안하고 세트1승 덤으로 주는것도 이상하고 그래서 라이엇이 곤란해 하는거 아닐까 싶습니다.
23/01/10 23:33
수정 아이콘
msi 8강도 더블엘리고, 같은 회사 게임인 발로란트를 포함해서 많은 이스포츠 종목들이 더블엘리를 채택하고 있어서 더욱 아쉽습니다.
23/01/11 03:05
수정 아이콘
lolesports에 영어로 작성된 게시물을 보면 더블 엘리미네이션의 단점에 대해서 나와 있죠. 그 단점 때문에 무게감이 큰 월즈에서는 쓰기 애매하다고 판단한거 같습니다.
소년명수
23/01/10 19:55
수정 아이콘
어차피 롤드컵 예선전도 안되는 msi...
수뱍봐
23/01/10 20:16
수정 아이콘
근데 msi는 13개 팀인데 플레이인 8팀은 어떻게 구성하죠?? 메이저 우승팀을 올려도 1팀이 남는데??
오타니
23/01/10 20:19
수정 아이콘
4대리그1위팀 + 한국2위팀 직행 : 5팀
나머지 플레이인 : 8팀
천사루티
23/01/11 06:45
수정 아이콘
4대 메이저 2팀 나머지 5팀인것 같아요
아지매
23/01/11 11:54
수정 아이콘
3번 이기면 진출, 3번 지면 탈락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139 [LOL] 금2/동1, 메달 3개로 앞서가는 대한민국 E스포츠 대표팀! [68] 스위치 메이커12625 23/09/29 12625 0
76545 [LOL] 롤드컵, MSI 조별리그 진행방식 개편 [43] 스위치 메이커10143 23/01/10 10143 0
76427 [LOL] 드디어 롤과 연계된 XBOX 게임패스 [13] 스위치 메이커15359 22/12/13 15359 1
75840 [LOL] 렐 리워크 [28] 스위치 메이커13667 22/11/01 13667 0
75688 [LOL] 2022년 스킨 종결자 창공 시리즈 [16] 스위치 메이커13352 22/10/19 13352 0
75660 [LOL] GAM의 10% 역전은 버그 때문? [47] 스위치 메이커13625 22/10/17 13625 1
75650 [LOL] 8강 승부의 신 열렸습니다 (경기 날짜는 미확정) [12] 스위치 메이커10614 22/10/17 10614 0
75645 [LOL] 내전을 피한 LPL, 담원 vs 젠지 확정! [134] 스위치 메이커13731 22/10/17 13731 1
75390 [LOL] 제발 돌아와!!! [112] 스위치 메이커17456 22/09/16 17456 66
75371 [스위치] 야숨2 부제, 파이어엠블렘 인게이지, 피크민4 공개 [52] 스위치 메이커10481 22/09/13 10481 1
75178 [LOL] 결승전 사운드이슈... 경기 지연 중 [68] 스위치 메이커11891 22/08/28 11891 0
74688 [LOL] LCK 서머 결승전 강릉에서 진행 [45] 스위치 메이커7597 22/07/06 7597 0
74607 [LOL] 작정하고 봇듀오 보내는 스킬셋, 신챔프 닐라 [34] 스위치 메이커10828 22/06/23 10828 0
74326 [LOL] MSI에 버그가 빠지면 섭섭하죠 [27] 스위치 메이커9774 22/05/10 9774 1
74018 [스위치] 야숨2 발매 연기 결정 [52] 스위치 메이커8304 22/03/29 8304 0
73579 [스위치] 포켓몬 레전드 아르세우스 플레이 후기 [36] 스위치 메이커13222 22/01/31 13222 7
73034 [LOL] 아케인 시즌 2 확정, 벌써 제작 중 [29] 스위치 메이커14567 21/11/21 14567 1
73027 [포켓몬]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분노의 후기 (사지마!!) [45] 스위치 메이커12114 21/11/20 12114 6
72818 [LOL] 탱커를 '자판기'로 만들어보겠습니다 [39] 스위치 메이커12171 21/11/05 12171 0
72734 [LOL] 라이엇 재그 드디어 밸패팀에서 쫓겨나... [59] 스위치 메이커17848 21/10/27 17848 2
72616 [스위치] 동물의 숲 2.0 + DLC [11] 스위치 메이커14464 21/10/16 14464 5
72581 [LOL] 11.21패치,전체 채팅 삭제 및 패치 내용 [44] 스위치 메이커10716 21/10/13 10716 0
72537 [LOL] 2022 프리시즌 패치 초안이 나왔습니다 [39] 스위치 메이커14124 21/10/08 141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