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11/06 15:31:48
Name Leeka
Subject [LOL] 1년에 4번 모두 결승간 팀들의 기록

15 SKT - 스프링 우승 / 므시 준우승 / 서머 우승 / 월즈 우승

17 SKT - 스프링 우승 / 므시 우승 / 서머 준우승 / 월즈 준우승

19 G2 - 스프링 우승 / 므시 우승 / 서머 우승 / 월즈 준우승

21 담원기아 - 스프링 우승 / 므시 준우승 / 서머 우승 / 월즈 준우승

22 T1 - 스프링 우승 / 므시 준우승 / 서머 준우승 / 월즈 준우승



역대 5번 나왔으며
15 SKT를 제외하곤 월즈 우승팀은 없었다는 특징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라 안티포바
22/11/06 15:32
수정 아이콘
메타가 급변하고 운도 많이 타는편이라
내내 1등하기가 쉽지않죠..
햇여리
22/11/06 15:33
수정 아이콘
그래도 올해 가장 꾸준했던 팀이었죠 티원이.
22/11/06 15:33
수정 아이콘
당시 롤을 안봐서 잘 모르는데 도대체 15 SKT 는 어느정도의 강팀인가요;
스위치 메이커
22/11/06 15:34
수정 아이콘
월즈 결승전 3경기까지 2차타워 안깨짐
22/11/06 15:38
수정 아이콘
4강 1경기에서 깨졌을겁니다.
스위치 메이커
22/11/06 15:38
수정 아이콘
아 그래요?
22/11/06 15:42
수정 아이콘
2차 타워가 안깨졌다는 얘기 나왔을 때가 4강 시작할 때에요. 1경기 때 마린이 상대 노림수에 2연데스하면서 탑 2차 깨졌던걸로 기억합니다.
22/11/06 15:34
수정 아이콘
이지훈이 식스맨인 팀 (더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충 반박시 페독 짤)
Liberalist
22/11/06 15:37
수정 아이콘
CJ랑 다전제 혈전 벌이기 전까지는 솔직히 적당히 강한 상위권 팀 정도였는데, 거기서 혈 뚫리고, MSI에서 개고생 끝에 준우승하고 나면서부터는 갑자기 메가진화를 해버렸죠.
알빠노
22/11/06 15:39
수정 아이콘
지금도 기억나는데 그때 마린의 미드 상륙작전은 본인과 SKT라는 팀의 운명을 반전시킨 명장면이었습니다
OneCircleEast
22/11/06 15:40
수정 아이콘
skt팬들을 제외한 많은 한국팬들이 월즈에서 skt를 상대하는 외국팀들을 진심으로 응원했습니다...
라멜로
22/11/06 15:42
수정 아이콘
대부분 롤드컵 우승팀의 모든 라인이 세체인 건 아닌데
15 SKT는 모든 라인이 세체였죠 심지어 식스맨 이지훈도 페이커 없었으면 세체미였을 수도 있고
우주소녀 보나
22/11/06 15:33
수정 아이콘
전부 그 해에 해온게 있으니 기세좋다가 언더독한테 다 졌네요 흑
강동원
22/11/06 15:34
수정 아이콘
19G2는 진짜 뭐 하나 했어야 했는데... 하...
이른취침
22/11/06 15:50
수정 아이콘
월즈빼곤 다하긴 했죠. 그랜드슬램에 가장 근접했던 팀.
강동원
22/11/06 15:52
수정 아이콘
아 마지막 그걸 말 한 거긴 합니다.
19년도는 진짜 G2의 해였는데 마지막 단 하나를 놓쳐서...
Liberalist
22/11/06 15:35
수정 아이콘
15SKT 없었으면 전 대회 결승 진출은 걍 저주 그 자체였겠는데요.
라멜로
22/11/06 15:37
수정 아이콘
롤이 갈수록 어려워지는게
요 2~3년 들어서 패치버전이 바뀌고 메타가 변함에 따라 선수들의 폼도 확연히 갈리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아무리 유연한 선수라도 모든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는 쉽지 않거든요
1년을 꾸준히 잘한다는 건 정말 어려운 거에요

T1도 1년을 꾸준히 잘해온 점에서 선수 개인의 폼은 오락가락해도 팀적인 힘이 계속 강했다는 게 대단하죠
천혜향
22/11/06 15:37
수정 아이콘
결승을 자주간팀이라 체력적으로 부족할수도 있겠네요. 계속 연습하고 대회해야하니까 지칠만 합니다.
사탕바구니
22/11/06 15:39
수정 아이콘
올해 티원 바쁘기도 바빴는데 이 와중에 아겜 합숙에 35핑에 성희롱 논란까지 잡음까지 많아 마음도 번잡했을 것 같네요. 선수들 너무 수고했고 잘 추스리고 개인 내면을 잘 돌보고 채우면 좋겠습니다!!
개념은?
22/11/06 15:40
수정 아이콘
t1 msi 는 우승이라고 봐야죠. (반박시 RNG)
라라 안티포바
22/11/06 15:43
수정 아이콘
스프링때 원기옥 터지면서 갈드컵 감정여파 + 인터뷰로 실점한 요소가 있어서 그렇지
티원이 많이 억울한 대회가 맞죠.
Janzisuka
22/11/06 15:46
수정 아이콘
에이 솔직히 msi는 티원에게 유리한 환경이었죠
핑크노이즈 버프에 완벽복장에 신발 신고 35핑까지
이 모든 버프를 받았는데요..는 개뿔
Liberalist
22/11/06 15:47
수정 아이콘
저도 심정적으로는 사실 그리 생각합니다. 21, 22년 RNG의 MSI는 사실상 주작, 약물 제외하면 스포츠판에서 받아먹을 수 있는 최악의 편파 혜택을 받아먹었다고 생각해서, 걍 기록 말살형에 처해야 합니다.
Baphomet G
22/11/06 15:44
수정 아이콘
티원이 20년, 21년, 22년까지 내부 잡음에 억까적 상황이 너무 많아서 그게 참 속상한데 내년부터는 그 불운들이 모두 좋은 기운으로 바뀌어서 돌려받았으면 좋겠습니다.
wersdfhr
22/11/06 15:44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그냥 15 skt가 논외고 그냥 정규시즌은 롤드컵 갈정도로만 하고 롤드컵에 쏟아 붓는게 맞는건가 싶네요

뭐 그런다고 우승할 수 있는대회는 당연히 아니긴 한데 1년 내내 끝까지 달리면서 소모되는게 너무 많기는 한듯 합니다
우주소녀 보나
22/11/06 15:46
수정 아이콘
모의고사론이 틀린게 아닌것같긴하죠 최상위권 팀들은 스프링부터 빡겜하는게 손해같기도
wersdfhr
22/11/06 15:49
수정 아이콘
다만 이렇게 되버리면 스프링-msi 기간이 너무 집중도가 낮아지게 될텐데

그건 라이엇에서도 이번에 개편을 한다고 하니까 봐야겠네요
Liberalist
22/11/06 15:50
수정 아이콘
스프링 정규, MSI에 혜택을 좀 과감하게 더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팀 차원의 혜택이 없으면 스프링은 팀 빌딩 기간으로 여기는게 훨씬 이득이죠.
레드불
22/11/06 15:55
수정 아이콘
msi권위가 애매한 것도 문제라고 봅니다
한없는바람
22/11/06 15:52
수정 아이콘
스프링과 MSI에 기세가 올라도 롤드컵 못먹으면 말짱 도루묵인 상황인지라 이쪽에 더 무게를 실어줄 필요가 있을것 같아요
키모이맨
22/11/06 15: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스프링에 팀빌딩한다는게 말이그렇지 역대 우승팀보면 DRX가 걍 굉장히이상한 초특이케이스지
그냥 스프링 우승을 못할수도 있는거지 보통 잘하던팀이 더 잘할확률이 높죠
보통은 올해 담원처럼 되죠...스프링은 모의고사 수능은 롤드컵 하다가 마지막까지 별거없던

그리고 스프링에 팀빌딩 해봤자 롤드컵 메타 바뀌면 그냥 말짱 도루묵이라
제 생각엔 그런것보다 걍 롤드컵메타빨게임에 더 가깝습니다 신이 롤드컵 메타를 점지해주는게 제일 중요함
담원 이번 서머초반 내구도패치되기전에 담원 미쳤다 스크림 경기력 개좋다 서머 우승후보다
이러다가 내구도패치되고 바로 망하고 쇼메이커도 인터뷰로 서머시작전 게임 진짜잘됐는데 패치되고나서
아예 다 뜯어고쳤다 이러고

역대 서머-롤드컵 메타가 비슷했던 것처럼 이번 롤드컵에도 제리가 너프 안된채로 진행됐었다면?
22/11/06 15:57
수정 아이콘
킹치만 그러기엔 제리는 너무 역거운 챔이라 누가봐도 손봐야 하는 챔이였던걸요..
물론 말씀에는 동의합니다 크크
EurobeatMIX
22/11/06 16:12
수정 아이콘
메타는 손을 안댔고 챔피언 밸런스 조절만 조금 했는데 와장창 바뀌는
사기챔 진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앨마봄미뽕와
22/11/06 15:56
수정 아이콘
그냥 1년 내내 솔리드하던 제우스 이번 결승때 부진 했던거 보고 1년 내내 잘하는게 얼마나 어려운 건지 또 깨달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031 [기타] 역사가 반복되는 시프트업의 니케, 버그 그리고 핵의 강림 [53] Nerion11456 22/11/14 11456 5
76030 [기타] 아무도 안써서 써보는 배틀그라운드 세계대회 [19] 1029165 22/11/14 9165 4
76029 [LOL]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 선수단 및 일정 공개 [12] 비오는풍경9984 22/11/14 9984 1
76028 [LOL] DRX 롤드컵 우승 기념 야구점퍼 판매 시작 [33] Leeka11776 22/11/14 11776 0
76025 [LOL] 큰거왔다 T1 폴트 작별 [51] Valorant15257 22/11/14 15257 1
76024 [기타] [격겜] 대류.. 어린게 최고다 2 [9] 인간흑인대머리남캐9419 22/11/14 9419 1
76021 [LOL] 윤민섭기자 : 많은 팀들이 지갑을 닫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138] Lazymind19432 22/11/13 19432 1
76020 [LOL] 이적시장 찌라시~ 롤마노의 시간이 왔습니다. [60] 본좌17697 22/11/13 17697 2
76019 [LOL] 클템의 LCS토론이 레딧을 불태우고있습니다. [115] 문문문무21808 22/11/13 21808 0
76018 [LOL] 롱주-킹존 구단주 폭로 [46] 이정재18926 22/11/13 18926 6
76017 [LOL] DFM이 에비를 응원하고 서포트합니다 [6] Leeka9956 22/11/13 9956 5
76016 [LOL] 한상용 전감독이 말했던 연봉 피셜 [32] Leeka17355 22/11/13 17355 1
76015 [기타]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기지만, 니케는 엉덩이를 남깁니다. [26] 겨울삼각형13884 22/11/13 13884 6
76014 [LOL] 신연재 : 작년 기준 A급이상 선수의 연봉은 15억부터 [137] Leeka18872 22/11/13 18872 0
76013 [LOL] 한국인들의 국제대회 우승/준우승 커리어 [21] Leeka9589 22/11/12 9589 0
76012 [LOL] LPL 샐러리캡 루머 [11] 이거쓰려고가입13659 22/11/12 13659 0
76011 [LOL] 리브샌박 CEO 트위터 [23] Leeka13555 22/11/12 13555 0
76010 [LOL] 2022년 11월 11일 도인비썰 정리 [20] Leeka10866 22/11/12 10866 0
76009 [LOL] 신연재 기자 트윗: 리브샌드박스 계약 기간이 남은 선수 일부를 이적시장에 내놓았습니다. [41] 리니어14071 22/11/12 14071 0
76008 [LOL] 신연재 기자 "젠지는 룰러에게 다음시즌 동포지션 최상위 연봉을 보장했다" [100] OneCircleEast15143 22/11/12 15143 1
76006 [LOL] 역대 월즈 우승팀의 주전 로스터 변화 [31] Leeka13899 22/11/12 13899 1
76005 [LOL] DFM 에비 해외진출 [36] 미원14317 22/11/11 14317 7
76004 [LOL] DRX 우승의 순간 [73] 꿀이꿀16072 22/11/11 16072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