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8/08 20:58:33
Name Leeka
File #1 70b01e3e5c1c119b6984583658b30f73.jpeg (117.1 KB), Download : 4
Subject [LOL] 이스포츠 매니저 SSR 선수 총 정리 완성본



* 요약 설명

: 숙련도 챔피언 -> 해당 챔피언 숙련도가 10레벨 이상일 경우 '고유 스킬을 사용할 수 있음'
ex) 일반 선수의 신드라는 궁만 넣고 끝이라 딜링 스킬이지만
나이트의 신드라는 숙련도 10이상이 되면 Q->궁->적군 와해 스턴.. 이 들어가는 더 강한 딜링기+광역 스턴기로 업그레이드 됨. 

: 고유 스킬 -> 해당 선수만 가진 고유 스킬.  일부 선수를 제외하고 자동 발동 됨
(일부 선수는 발동 시 쓸건지 확인 여부를 물어봄.. 티안 같은 경우에 해당..)

숙련도 챔피언 + 고유 스킬이 실질적으로 각 선수를 차별화 하는 핵심 요소가 됨


: 스킬 성능은 최고레벨 기준.. 이기 때문에..  풀강 안했을 경우에는 수치는 아래 가이드보다 낮습니다




- TOP

overall 94~95 (숙련도 챔피언 3개 + 고유 스킬 2개)

21 월즈 Flandre (95) - (루시안 / 제이스 / 케넨)
- 스플릿 푸시 후 복귀 전투에서 데미지 감소 24.5% & 데미지 증가 16%
- 타워 미는 속도 43.5% 증가

overall 89~90 (숙련도 챔피언 3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Bin (90) - (그레이브즈 / 나르 / 그라가스) - 바론 전투에서 스킬 데미지 61% 증가
22 스프링 Bin (90) - (케일 / 제이스 / 이렐리아) - 전투 중, 첫 공격의 데미지가 132.5% 피해
20 서머 TheShy (89) - (아트록스 / 케넨 / 케일) - 공격로 단계에서 1:1 결투 시 데미지 보너스 19% 증가 & 승리 시 영구적으로 치명타율 17% 증가

overall 87~88 (숙련도 챔피언 2개 + 고유 스킬 1개)

18 서머 Zoom (88) - (아트록스 / 레넥톤) - 스플릿 푸시 후 복귀 전투에서 데미지 감소 20% & 이후 타워 미는 속도 27.5% 증가
22 서머 Wayward (87) - (그레이브즈 / 나르) - 바텀 갱킹 시 74% 확률로 바텀에 텔을 사용해서 지원하며. 이때 데미지 보너스 18% 증가
22 서머 Rich (87) - (그레이브즈 / 제이스) - 공격로 단계에서 1:1 결투 시 데미지 보너스 19% 증가 & 경기 내에서 피해 감소량 10.5% 증가
21 서머 Xiahou (87) - (루시안 / 리신) - 바텀 갱킹 시 100% 확률로 바텀에 텔을 사용해서 지원하며, 이때 피해 감소 20% 증가

overall 85~86 (숙련도 챔피언 1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369 (86) - (케넨) - 게임 시작 시 주사위를 굴려서 3/6/9 중 하나가 나오며 그에 따라 보너스&페널티 부여 (높은 주사위가 나와야 됨. 상대에게도 보임)
22 서머 TheShy (86) - (그레이브즈) - 적을 죽일 때 마다 데미지 보너스 11.5% 영구 증가 (최대 4중첩, 46%까지 증가 가능)
20 서머 bin (86) - (레넥톤) - 상대가 바텀 갱킹 시 100% 확률로 바텀에 지원을 가며, 바텀의 데미지 보너스 25.5% 증가
20 스프링 GimGoon (86) - (나르) - 바론 전투에서 적을 물리칠 때 마다 피해 감소량 24.5% 증가 (최대 3중첩, 바론 전투때만 효과 발동)
22 서머 Flandre (85) - (제이스) - 바론 교전에서 치명타율 52% 증가
22 서머 Cube (85) - (제이스) - 적을 죽일 때 마다 180 골드 추가 획득 (최대 6중첩, 1080 골드)
19 서머 Langx (85) - (아트록스) - 공격로 단계에서 1:1 결투 시 데미지 보너스 19% 증가 & 경기 내에서 피해 감소량 15% 증가





- 정글

overall 94~95 (숙련도 챔피언 3개 + 고유 스킬 2개)

-> 21 월즈 Jiejie 금주 업데이트 예정 

overall 89~90 (숙련도 챔피언 3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Kanavi (89) - (리신 / 그레이브즈 / 자르반) - 전령을 먹을 수 있다면, 자동으로 전령을 먹고 모든 아군의 피해 감소 8.5% 증가

overall 87~88 (숙련도 챔피언 2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Tian (88) - (자르반 / 리신) - 갱킹 성공 시 70% 확률로 매복 후 연속 갱킹을 진행. 73.3% 데미지 보너스 증가
19 서머 Karsa (88) - (자르반 / 그라가스) - 전령을 먹을 수 있다면, 자동으로 전령을 먹고 탑과 미드의 데미지 보너스를 18% 증가
22 서머 Wei (87) - (리신 / 자르반) - 갱킹 교전 시, 모든 적의 방어력 18% 감소 (다음 이벤트까지 지속)
20 서머 SofM (87) - (리신 / 그레이브즈) - 라인전때 카정을 가며, 카정시 피해 감소량 19% 증가 & 카정 성공 시 방어력 17% 영구 증가
18 서머 Clearlove (87) - (그레이브즈 / 그라가스) - 인베 이벤트가 없다면, 아래 정글에서 2레벨을 달성한 후 80% 확률로 바텀갱. 이때 피해 감소 64.1% 증가


overall 85~86 (숙련도 챔피언 1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Jiejie (86) - (리신) - 바론 교전에서 상대 스킬 데미지 61% 감소
21 스프링 Tian (86) - (그레이브즈) - 라인전때 카정을 가며, 카정시 데미지 보너스 19% 증가 & 카정 성공 시 치명타율 17% 영구 증가
22 서머 Tarzan (85) - (자르반) - 드래곤을 먹을 수 있다면, 자동으로 드래곤을 먹고 미드&바텀의 공격력 18% 증가
22 서머 Karsa (85) - (리신) - 드래곤 교전에서 61.5% 확률로 스틸, 스틸 성공 시 아군 전체 데미지 보너스 6% 증가 (게임당 1회 발동)
19 서머 Ning (85) - (자르반) - 드래곤 교전에서 61.5% 확률로 스틸, 스틸 성공 시 아군 전체 데미지 감소 6% 증가 (게임당 1회 발동)




- 미드

overall 94~95 (숙련도 챔피언 3개 + 고유 스킬 2개)

-> 21 월즈 Scout 이번주 업데이트 예정

overall 89~90 (숙련도 챔피언 3개 + 고유 스킬 1개)

21 스프링 Doinb (89) - (코르키 / 판테온 / 레넥톤) - 용 전투에서 공격력 30.5% 증가
22 서머 Xiaohu (89) - (코르키 / 라이즈 / 루시안) - 탑이 갱킹을 당했을 때, 100% 확률로 지원을 가며 탑+미드의 공격력이 16% 증가함

overall 87~88 (숙련도 챔피언 2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Rookie (88) - (라이즈 / 코르키) - 바론 교전에서 흡혈량 21.5% 증가
20 서머 Rookie (88) - (신드라 / 코르키) - 공격로 단계에서 결투 신청 시 데미지 보너스 19% 증가 / 경기 내에서 방어력 17% 증가
22 서머 Knight (87) - (라이즈 / 신드라) - 공격로 단계에서 결투 신청 시 데미지 보너스 19% 증가 + 승리시 데미지 보너스 영구적으로 15% 증가
20 서머 Yagao (87) - (판테온 / 루시안) - 공격로 단계에서 결투 신청 시 데미지 보너스 17% 증가 / 경기 내에서 치명타 17% 증가

overall 85~86 (숙련도 챔피언 1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Scout (86) - (코르키) - 탑 또는 바텀이 갱킹을 당했을 때, 지원을 가며 자신의 공격력 20% 증가
22 서머 Doinb (86) - (레넥톤) - 다른 라인 갱킹 시도 시 74% 확률로 지원을 가며, 자신의 데미지 보너스가 18% 증가
20 서머 Angel (86) - (신드라) - 용 전투시 치명타율 52% 증가
22 서머 Angel (85) - (코르키) - 적을 죽일 때 마다 180 골드 획득 (최대 6중첩, 1080 골드)
21 서머 icon (85) - (라이즈) - 용 전투에서 스킬 데미지 61% 증가
18 서머 xiye (85) - (이렐리아) - 바텀이 상대에게 갱킹을 당할 경우, 100% 확률로 바텀에 텔을 타고 지원하며. 성공 시 바텀의 데미지 보너스 25.5% 증가
18 서머 icon (85) - (라이즈) - 공격로 단계에서 결투 신청 시 데미지 보너스 19% 증가 / 경기 내에서 공격력 17% 증가







- 원딜

overall 94~95 (숙련도 챔피언 3개 + 고유 스킬 2개)

13 서머 WeiXiao (95) - (이즈리얼 / 베인 / 애쉬)
- 공격로 단계에서 결투 신청 시 데미지 보너스 20.8% 증가 & 결투 승리 시 275 골드 추가 획득
- 바론 전투에서 흡혈량 21.4% 증가

-> 21 월즈 Viper 이번주 업데이트 예정

overall 89~90 (숙련도 챔피언 3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Viper (89) - (아펠리오스 / 이즈리얼 / 징크스) - 적을 죽일 때마다 공속 8.5% 영구 증가 (최대 4중첩, 34% 증가)

overall 87~88 (숙련도 챔피언 2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GALA (88) - (아펠리오스 / 징크스) - 바론 전투에서 공속 30.5% 증가
18 서머 Smlz (88) - (루시안 / 베인) - 바론 전투에서 공격력 30.5% 증가
22 서머 JackeyLove (87) - (아펠리오스 / 징크스) - 용 전투에서 공속 30.5% 증가
19 서머 JackeyLove (87) - (카이사 / 자야) - 용 전투에서 흡혈량 21.5% 증가
20 서머 LokeN (87) - (애쉬 / 이즈리얼) - 바론 전투에서 적을 죽일 때 마다 데미지 보너스 24.5% 증가 (최대 3중첩, 바론 전투에만 적용)

overall 85~86 (숙련도 챔피언 1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Light (86) - (자야) - 적을 죽일 때 마다 255 골드 획득 (최대 4회, 1020 골드)
22 서머 Photic (86) - (아펠리오스) - 전투 이벤트 카드 사용 후, 해당 이벤트로 교전 발생 시 스킬 데미지 44.5% 증가
20 서머 huanfeng (86) - (애쉬) - 용 전투에서 적을 죽일 때 마다 데미지 보너스 24.5% 증가 (최대 3중첩, 용 전투에만 적용)
19 서머 iBoy (86) - (애쉬) - 용 전투에서 상대 스킬 데미지를 61% 덜 받음
22 스프링 Uzi (85) - (카이사) - 용 교전에서 적을 죽일 때 마다 데미지가 19.5% 증가 (최대 3중첩, 용 전투에만 적용)
22 서머 Lwx (85) - (징크스) - 공격로 단계에서 결투 신청 시 데미지 보너스 19% 증가 & 결투 승리시 데미지 보너스 10.5% 영구 증가




- 서포터

overall 94~95 (숙련도 챔피언 3개 + 고유 스킬 2개)

13 서머 Fzzf (94) - (쓰레쉬 / 레오나 / 노틸러스)
- 바론 전투에서 아군 전체의 데미지 보너스 12.3% 증가
- 갱킹 이벤트 카드 사용 후 전투 시 미드/원딜의 공격력 13.1% 증가

21 월즈 Meiko (94) - (라칸 / 레오나 / 노틸러스)
- 용 전투에 참가한 모든 전투원에게 최대 HP의 5.1%에 해당하는 보호막 적용
- 게임 내에서 팀이 킬을 획득할 때 마다 아군 전체의 방어력 3.4% 증가 (최대 4중첩 13.6%) 

overall 89~90 (숙련도 챔피언 3개 + 고유 스킬 1개)

- 현재 없음

overall 87~88 (숙련도 챔피언 2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Ming (88) - (노틸러스 / 쓰레쉬) - 적을 죽일 때 마다, 모든 아군의 공격력이 4.7% 증가 (최대 4중첩 18.8%)
20 서머 LvMao (88) - (레오나 / 쓰레쉬) - 미드와 원딜의 공격 속도가 10% 증가함
22 서머 Meiko (87) - (레오나 / 라칸) - 용 싸움에서 미드와 바텀이 25.5% 데미지를 덜 받음
22 서머 Crisp (87) - (레오나 / 노틸러스) - 바론 전투에서 미드와 바텀이 25.5% 데미지를 더 입힘


overall 85~86 (숙련도 챔피언 1개 + 고유 스킬 1개)

22 서머 Mark (86) - (노틸러스) - 바론 전투에서 적 전체의 피해 감소량을 12.5% 감소시킴
21 스프링 Crisp (86) - (라칸) - 적을 죽일 때 마다, 모든 아군의 방어력이 4.7% 증가 / 최대 4중첩, 18.8%)
20 서머 Baolan (86) - (라칸) - 바텀에서 라인 갱킹 이벤트 발생 시, 바텀 공격력 61% 증가(다음 이벤트까지)
20 서머 yuyanjia (86) - (럭스) - 바텀에서 라인 갱킹 이벤트 발생 시, 바텀 방어력 61% 증가(다음 이벤트까지)
22 서머 Missing (85) - (노틸러스) - 갱킹 방어 시, 상대의 공격력 18% 감소
20 서머 SwordArt (85) - (럭스) - 바론 전투 시 미드와 바텀의 피해 감소량이 25.5% 증가






대부분은 직접 써본 선수들이지만.. 못써본 선수들은 번역기를 돌렸기 때문에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PvP 할때 밴/픽과 스킬이 필요한 만큼 위 내용 보시고 참고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8/08 21:13
수정 아이콘
웨이샤오랑 fzzf가 있는게 놀랍네요. we는 당시 위상이 얼마나 높았던 건지
라멜로
22/08/08 21: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월즈 말고도 오버롤이 94 95 되는 선수가 있길래 뭔가 했더니 13 시즌이였군요
근데 기억을 되짚어보면 12 월드엘리트는 당대 최강팀이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13 시즌에도 잘 했었나
22/08/09 00:54
수정 아이콘
한국의 경우는 12년부터 LCK 였지만

LPL, LEC, LCS는 모두 13년부터 시작해서..
12년 카드는 나오기 애매한것도 있습니다..
22/08/08 21:29
수정 아이콘
우지는 과연 어떻게 나올련지...

그리고 우지뿐만 아니라 나름 굵직한 성과를 냈던 lpl 레전드들은 어떨려나요....
22/08/08 21:51
수정 아이콘
제발 갓글화
22/08/08 21:53
수정 아이콘
제발 갓글화(2)
프야매 생각나서 해보고 싶은...
lck버전이면 더 재밌을것 같기도하고...
18 ig가 어떻게 나올지...드드..
더치커피
22/08/08 22:06
수정 아이콘
미사야 트페도 숙련도 챔피언으로 나오겠죠? 크크
그럴거면서폿왜함
22/08/08 22:51
수정 아이콘
벌써 오버롤 95가 나오는 걸 보면 최대 오버롤이 100이 아니거나 시즌 리셋을 할 것 같네요
22/08/08 22:55
수정 아이콘
18 월즈 ig가 진짜 궁금하긴 한데
베트남맛연유커피
22/08/08 23:13
수정 아이콘
정리감사합니다
及時雨
22/08/09 00:44
수정 아이콘
마이스타리그랑 GamerZ는 새삼 전설이다
주인없는사냥개
22/08/09 01:29
수정 아이콘
13 we가 ipl5 우승 시즌이었나요?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12 시즌이였던 것 같기도 하고...
그 때 어린 레클레스가 정말 환상적인 활약을 보여줬던게 기억나네요
황제의마린
22/08/09 12:15
수정 아이콘
LCK 버전은 안 나오나...

17 칸
16 스코어
16 페이커(13은 제 능력으로 못 구할거같음)
15 뱅
15 울프

이렇게 한번 짜보고싶음..
카트만두에서만두
22/08/09 13:17
수정 아이콘
12 웨이샤오가 95면 납득이 가는데(이때 사실상 ipl5가 롤드컵보다 더 실력 대회로 인정받았으니..) 13때는 사실상 힘이 많이 빠진 상태여서... 진짜 12년도 카드를 구현화하기 애매해서 13으로 퉁친건가 싶네요.
그건 그렇고 12 웨이샤오라고 치고 12웨이샤오가 95면 13페이커는 진짜 100 넘길거 같은데
22/08/09 13:38
수정 아이콘
LPL이 13년에 출범해서 12년은 나오기 애매하다보니 고려되서 13으로 나온거 같긴합니다
대패삼겹두루치기
22/08/10 06:25
수정 아이콘
18 월즈 루키는 당시 대퍼팀 팬이었어서 정말 충격적일 정도로 잘했고 19 월즈 도인비는 독특한 챔프폭과 특유의 플레이 스타일이 굉장히 인상 깊었는데 올려주신 목록에 없어서 의외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781 [LOL] 이번패치에 챔피언 가격이 변동됩니다. [30] 오타니13928 23/03/07 13928 0
75868 [LOL] 롤 FM, 월즈 결승 선수 10명의 모스트 챔피언 정리 [36] Leeka14907 22/11/03 14907 1
75403 [LOL] 역대 롤드컵 본선 밴픽률 100%를 달성한 챔피언들 [29] Leeka13643 22/09/19 13643 0
75396 [LOL] (스압) 담원 간담회 받아쓰기 내용이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43] EpicSide18874 22/09/17 18874 4
75249 [LOL] 카나비 LPL 2회 우승 달성!! 재키러브가 재키러브한 LPL 결승 [43] Leeka12379 22/09/01 12379 1
75156 [LOL] 우디르는 2022 월즈에서 볼 수 없습니다 [18] Leeka10447 22/08/26 10447 0
75129 [LOL] 이스포츠매니저 SSR 선수 리스트 총 정리(8/26 업데이트) [2] Leeka7835 22/08/24 7835 0
74936 [LOL] 이스포츠 매니저 SSR 선수 총 정리 완성본 [16] Leeka8170 22/08/08 8170 2
74923 [LOL] 이스포츠매니저 SSR 선수 총 정리 - #3 미드 [2] Leeka5980 22/08/07 5980 3
74092 [LOL] 12.7 패치 프리뷰 번역 [65] MiracleKid9046 22/04/06 9046 0
73977 [LOL] 상대가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카드를 밴한다 VS OP를 밴한다 여러분의 선택은? [42] 랜슬롯7276 22/03/25 7276 0
73736 [LOL] 현역 LCK 주전들의 10전 이상 70% 이상 승률 챔피언들 [82] Hestia12984 22/02/21 12984 10
73248 [LOL] 닌자(忍者) [13] 쎌라비8613 21/12/09 8613 26
72904 [LOL] 역대 롤드컵의 대회 전체 기록들 총 정리 [6] Leeka9301 21/11/11 9301 0
72743 [LOL] 2019 롤드컵이 전설로 남을수밖에 없는 이유 [52] Leeka16682 21/10/28 16682 2
72664 [LOL] 업커머 롤드컵 설문조사 코멘트 번역 및 추가질문 [43] Dango14686 21/10/20 14686 2
72345 [LOL] 롤드컵 패치 프리뷰가 공개되었습니다. [44] Leeka13252 21/09/14 13252 0
71936 [LOL] 슈퍼자르반 빌드(서폿) [영상추가] [39] Cookinie15235 21/07/31 15235 13
71634 [LOL] 기억나는대로 쓰는 좋아하는 프로들의 인상적인 플레이 [45] 아보카도피자14188 21/06/19 14188 3
71346 [LOL] 데이터를 활용한 RNG 분석 (스압) [12] Spaas17200 21/04/28 17200 19
71190 [LOL] 2021 스프링 LCK팀들 개인적인 생각 [33] 키모이맨15676 21/04/03 15676 16
71187 [LOL] 첫 플레티넘 승급에 성공했습니다. [8] 라라 안티포바10463 21/04/03 10463 10
71146 [LOL] 2020 LCK 서머 T1에 대한 글 [139] rnsr16869 21/03/29 16869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