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2/02 14:18:52
Name 비공개당당
File #1 1.png (114.4 KB), Download : 2
Link #1 https://www.fmkorea.com/4305823525
Subject [LOL] LCK 미드 선수들이 먹은 블루 갯수






페이커가 블루나 기타 cs 양보하는건 유명한데

쵸비도 의외로 블루 거의 안먹었다는게 놀랍네요

블루 안먹어서 마나 관리도 불리하고 블루 막타 자체 cs 4개를 빼도

라인전 항상 이긴다는게 신기합니다

이번시즌은 코르키를 워낙 많이 했고 갈리오도 해서 지난 시즌 만큼의 지표는 아니지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올해는다르다
22/02/02 14:23
수정 아이콘
페이커는 18년에 블루 먹으러 가다가 블랭크한테 뺏기는거 여러번 당한 이후로 그냥 정글한테 주는거 아닐까요 크크

정글이 블루 먹냐 안먹냐가 6렙-첫 전령 타이밍에 엄청나게 큰데
블루 안먹고 늘 캐리하는 캐니언도 대단하네요.
대법관
22/02/02 14:23
수정 아이콘
1. 블루를 안 먹고도 라인전을 세게 가져가는 페쵸 두 사람의 위엄
2. 블루를 남들보다 훨씬 많이 주는데도 게임을 캐리하는 캐니언의 위엄
마포구보안관
22/02/02 14:27
수정 아이콘
이 얘기 하려했는데 댓글에 있었네요 크크
절대불멸마수
22/02/02 15:00
수정 아이콘
블루... 독인건가
22/02/02 14:27
수정 아이콘
2번째 블루 안먹는 사람이 훨 많네요
블루는… 정글것이다….
22/02/02 14:28
수정 아이콘
캐니언 그는 신이야
마포구보안관
22/02/02 14:29
수정 아이콘
Cs+는 무슨 지표인가요?
절대불멸마수
22/02/02 15:01
수정 아이콘
15분시점에 상대라이너보다 CS 더 많은 갯수 (raw) 인것 같습니다.
이걸 게임수로 나눈게 가장 오른쪽열 게임당 15분시점 cs우위 인것같고요
마포구보안관
22/02/02 15:15
수정 아이콘
음 그렇군요 전원이 플러스일수가 있나싶었는데 뭔가 이유가 있나보네요
절대불멸마수
22/02/02 15:28
수정 아이콘
어, 그생각은 못했는데 그건 많이이상하네요
제가 오해했나봅니다 (데이터가 수식오류가있거나요)
마루하
22/02/02 15:51
수정 아이콘
cs+(15) = [15분 이후 블루 개수(blue(15)) + 전령막타] * 4
이렇게 계산되네요.
블루와 전령 막타로 이득본 cs 개수라 보면 될 듯 합니다.
절대불멸마수
22/02/02 15:5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전령 / 블루는 뻥튀기cs (가짜cs) 라고 생각하시고
순수라인몹 cs를 보고싶으셨나보네요

전체 cs - cs+(15)지표 도 같이보면
페이커와 쵸비의 위엄이 드러나겠네요.
니시무라 호노카
22/02/02 14:29
수정 아이콘
상전벽해네요
시즌3,4에는 꿈도 못 꿨던 세상
22/02/02 14:36
수정 아이콘
아이템의 영향이 큰듯 전설템 양피지땜에..
저도 솔랭에서 극후반아니면 걍 정글줘버리는
코우사카 호노카
22/02/02 14:30
수정 아이콘
이것이 블랭크 수련법인가
지오인더스트리
22/02/02 14:32
수정 아이콘
페이커가 다시 또 부활하는 시즌이 오다니

감격스럽습니다.
22/02/02 14:32
수정 아이콘
페이커는 블루 안먹는거 알고있었는데 쵸비는 의외네요????
League of Legend
22/02/02 14:42
수정 아이콘
선수들마다 블루 해석이 크게 차이가 나네요
응~아니야
22/02/02 15:00
수정 아이콘
예~~~~~전에 아테나의 부정한 성배가 마나 극효율일때 블루 정글주는 경우 아주가끔 있긴 했는데
양피지는 말도안되는 성능인가 보네요 정글이 블루 몰아먹는다니
AppleDog
22/02/02 15:01
수정 아이콘
예전에 빛돌님이 쵸비 라인전 분석을 했었는데... 그 분석으로 쵸비는 cs를 놓치지 않고 다 먹어서 그렇게 된다는 게 증명이 됐습니다.
쎌라비
22/02/02 15:21
수정 아이콘
오 저도 따라해봐야겠군요
이른취침
22/02/02 18:39
수정 아이콘
?? : 참 쉽죠?
AppleDog
22/02/02 15:04
수정 아이콘
카리스 페이커를 동경한다더니... 두번째 블루는 똑같이 잘 안먹네요... 이후 블루는 비디디 스타일이고
마포구보안관
22/02/02 15:17
수정 아이콘
마나도 마나인데 경험치도 클텐데 미드가 안 먹는다는건 미드 라인전 치중하기보다는 정글 성장 시켜서 갱을 돌든 오브젝트 관리를 한다고 생각이 드네요
22/02/02 15:18
수정 아이콘
페이커가 블루 안 먹는 편이라는 건 알고는 있었는데 미드 중 꼴찌 수준으로 안 먹고 있었군요. 쵸비도 젠지 가서 안 먹는 편이었고요. 하긴 피넛이면 줄 만도.. 캐니언이랑 표식은 둘 다 상대적으로 블루 덜 먹으면서 하고 있고요. 지표 재밌네요.
다레니안
22/02/02 15:18
수정 아이콘
지금 대회에 나오는 챔프 중에 반드시 2번째 블루 먹어야하는 챔프는 트페뿐입니다.
그럼에도 두번째 블루를 눈에 띄게 많이 받은 선수들이 꽤 있네요.
prohibit
22/02/02 15:19
수정 아이콘
페이커 쵸비도 대단한데 캐니언도 엄청나네요
크림샴푸
22/02/02 15:23
수정 아이콘
캐니언은 정글링을 하도 잘해서 항상 상대 블루를 먹고 있는거 아닐까요!!!
취급주의
22/02/02 15:26
수정 아이콘
비스켓, 침착, 양피지 등등 예전에 비해 마나 수급하기에 많이 좋아졌죠.
묵리이장
22/02/02 15:33
수정 아이콘
캐니언의 놀라움이라고 밖에.. 아니면 적 블루를 먹고 우리꺼를 주는건가 ?
종합적으로 보고 싶긴하네요.
22/02/02 16:29
수정 아이콘
원글 작성자 말로는 15분 전에 적블루를 미드가 먹은 사례가 1회 뿐이라고 합니다. 보통 정글 카정 혹은 탑이 들어가서 턴다고.
트레비
22/02/02 15:38
수정 아이콘
페이트는... 하... 할말하않
22/02/02 15:41
수정 아이콘
아군정글:페,쵸도 안먹는 블루를 솔랭미드에 불과한 너가 먹겠다고?
22/02/02 20:11
수정 아이콘
아군 미드: 캐니언도 양보하는 블루를 솔랭 정글에 불과한 너가 먹겠다고?
무한 반복
22/02/02 15:46
수정 아이콘
캐니언은 진짜 롤의 신이 맞는듯...
22/02/02 15:46
수정 아이콘
올해도 블루 잘 안먹는다고 생각은 했었는데, 그래도 작년처럼 정말 최소화된 자원만 먹는건 아니니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작년이 정말 하드코어였는데... 작년 서머 때 오너의 폭발적인 성장에는 페이커의 희생이 있었죠. 블루 주는건 물론이고 초반 시야를 거의 페이커가 길잡이 역할 하듯이 해주는 게임이 많았으니... 아니 사실 오너뿐만 아니라 단기간에 사실상 처음 맞춰보는 조합이 서머 결승-월즈 4강까지 이를 수 있었던 미라클 런에는 무지성 돌림판으로 인해 파편화+오염된 경험치만 쌓았던 재능있는 신인들을 잘 이끌어준 페이커의 역할이 컸습니다. 작년에 해설가들을 비롯해 여러 전문가들도 이점을 꽤 어필을 했었는데 일반적인 여론에선 그닥 부각은 안되더라구요. 워낙에 이런저런 프레임이 페이커를 작년까지 옭아맨 까닭이 커서 그런지는 몰라도.
절대불멸마수
22/02/02 16:23
수정 아이콘
페이커 시야플레이 공헌은 너무많이들어서 지겨울정도네요.. (극찬입니다)
꾸르륵
22/02/02 17:26
수정 아이콘
미드가 블루도 안먹고 cs 잘먹고 상대 미드보다 먼저 움직여주고 시야까지 먹어주는데 이상한 프레임 진짜 많죠.
은때까치
22/02/02 15:49
수정 아이콘
이것도 지표에 엄청난 영향을 주는거였군요. 미드 15분 cs 지표는 점점 더 의미가 없어져만 가는........
근데 선수별로 이정도로 차이날줄은 몰랐네요.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
22/02/02 17:27
수정 아이콘
캐니언은 뭐지 크크크
아이폰텐
22/02/02 17:44
수정 아이콘
캐니언을 위한 지표네요 크크
22/02/02 18:24
수정 아이콘
아겜을 페이커랑 캐니언이 가면 블루를 누가 먹게 되나요?
취급주의
22/02/02 18:42
수정 아이콘
유미를 고른 피터파커, 유미를 고른 리헨즈, 유미를 고른 베릴, 유미를 고른 케리아...
이른취침
22/02/02 18:43
수정 아이콘
그냥 케리아 주고 캐리하라고 하는 것도?
이부키
22/02/02 18:48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크크
알카즈네
22/02/02 20:44
수정 아이콘
서로 알아서 먹겠지 양보해서 적 정글이 먹습니다.
아지매
22/02/02 18:42
수정 아이콘
블루 1개 먹으면 cs 4개이니, 15분 cs 차에서 먹고 안먹고 차이가 크게 나겠네요.
보라도리
22/02/02 19:27
수정 아이콘
쵸비도 1년 전에는 ??:지훈아 나 지금 말려서 6랩 찍을 려면 블루 먹어야 함

보다가

피넛:블루?
하면 제발 님이 먹어 소리가 절로 크크
22/02/02 19:36
수정 아이콘
정글 성장력이 어느정도 올라오고 존버 타는 미드가 대세인 지금은 더욱 더 블루 먹을 필요가 없죠.

신드라 같이 견제에 목숨 거는 유형이 아닌 이상 3 블루까지는 정글 주는게 정답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버거킹맘터
22/02/02 20:38
수정 아이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가끔 라인전 지표말고 축구 히트맵처럼 각 라이너들의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는 자료가 있으면 좋겠네요.
점점 15분 라인전 지표만으로 선수들의 경기력을 평가하기가 힘들어지는 것 같아요.
Two Cities
22/02/02 21:13
수정 아이콘
미드 별로 와드 꽂은 위치나 로밍 히트맵 본 기억이 있긴 한데
당근케익
22/02/02 20:48
수정 아이콘
캐니언은 미친놈이다
페이트는 가성비 최악이다
소믈리에
22/02/03 00:50
수정 아이콘
아 블루를 안먹어야 정글 잘할수 있는거군요?
22/02/03 05:54
수정 아이콘
약간 챔피언 풀도 봐야 하는 것 같은데요.
코르키 많이 한 미드가 블루 좀 적게 먹은 느낌인데...
22/02/03 09:12
수정 아이콘
캐니언 크크크크크
페이커랑 쵸비도 대단하군요
도라지
22/02/03 09:29
수정 아이콘
요즘 쵸비의 캐리력이 떨어진 이유와도 연관이 있을 수 있겠네요.
티모대위
22/02/03 11:00
수정 아이콘
쵸비몰빵을 안 해도 이기니까 쵸비를 그냥 자생시키는 것 같긴 합니다.
22/02/03 15:03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미드라이너 이 분야 갑이 페이커랑 쿠로였는데.... 크크 페이커는 여전하군요 정말
22/02/04 14:13
수정 아이콘
자료 퍼가도 될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110 [LOL] 페이커를 뭐라고 정의할 수 있을까요 [158] 작은형12254 22/04/07 12254 13
74070 [LOL] 2022 LCK 스프링 팀별 EGR/MLR 지표 (+플옵) [26] 아이코어7398 22/04/04 7398 0
74069 [LOL] 변화량 지표 [15] 로크6053 22/04/04 6053 0
73952 [LOL] 2022 LPL 스프링 탑 라이너 지표 [23] 비공개당당9115 22/03/21 9115 0
73886 [LOL] LCK spring 미드라이너 챔피언 보정 지표 (3/13) [39] 은때까치11147 22/03/13 11147 41
73885 [LOL] LCK spring 탑라이너 챔피언 보정 지표 (3/13) [77] 은때까치14603 22/03/13 14603 38
73841 [LOL] LPL 정규시즌 막판 순위, 감상 및 올프로/아겜 예상 [49] Ensis10149 22/03/07 10149 12
73838 [LOL] 샌드박스의 육성은 옳은 길로 가고 있는가? [39] 대법관10411 22/03/07 10411 2
73810 [TFT] TFT 증강체 선택에 관한 공략 [20] 카트만두에서만두10120 22/03/03 10120 2
73727 [LOL] LCK 현재까지의 각 팀별 라이너들의 딜 비중(DMG%) 지표 [10] Leeka6747 22/02/21 6747 0
73719 [LOL] 캐니언의 역대급 정규시즌 POG 페이스 [43] Leeka8817 22/02/20 8817 1
73710 [LOL] LCK 스프링 1R가 끝난 시점에서의 팀별 EGR/MLR 지표 [15] Leeka8645 22/02/19 8645 1
73708 [LOL] LCK SPRING 1라운드 종료 시점 기준 팀별 지표 [8] EpicSide6506 22/02/19 6506 0
73696 [LOL] 쇼메이커를 이겨낸 게임메이커 원딜. [36] 펠릭스12238 22/02/18 12238 7
73648 [LOL] 금인줄 알았는데 양갱이였네? - 레넥톤 [20] telracScarlet9332 22/02/10 9332 1
73643 [LOL] ??? : 그 녀석은 우리 중 최약체지 [26] 비오는풍경10974 22/02/10 10974 3
73609 [LOL] 로그가 LEC 1라가 끝난 지금, 어나더레벨에 등극했습니다 [31] Leeka10181 22/02/06 10181 1
73594 [LOL] LCK 미드 선수들이 먹은 블루 갯수 [59] 비공개당당12388 22/02/02 12388 2
73584 [LOL] 현 시점 롤챔스 선수들에 대한 대략적인 감상 [117] 피카츄볼트태클12349 22/02/01 12349 10
73583 [LOL] POG 포인트로 보는 선수 랭킹? [16] 비공개당당9328 22/01/31 9328 0
73582 [LOL] 2022 LCK 스프링 지표보기 [103] 찌단18090 22/01/31 18090 16
73543 [LOL] LCK 정규 시즌별 EGR / MLR 1위 팀은? [13] Leeka8401 22/01/26 8401 0
73541 [LOL] LCK 팀별 EGR / MLR 지표 정리 [32] Leeka10148 22/01/26 1014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