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
2004/01/04 04:03:25 |
Name |
Daviforever |
Subject |
[생각]12개의 팀 모두가 참여하는 프로리그는 꿈일까요? |
As Jonathan님의 댓글에서 무례하게도 땄습니다.
뜻이 맞아서 그런 것이니 양해 바라겠습니다;;;
(미리 말씀드리죠...휴가나왔습니다;;)
그곳은 아무래도 잡생각을 할 여유가 없다보니
한가지에 몰두하기가 쉬웠고
저는 실용화할 수 있는 통합리그에 대해 계속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10월말에 초안을 냈고
오늘 다시 발표합니다...
12개 팀 모두가 참여하는 프로리그는 명분상으로 보나
프로게이머들의 안정적 수익을 위해
예선을 치루는 방식보다 분명 더 '좋습니다.'
지금 어쩔 수 없는 사정상 차선책을 쓰는 것이라 해도
최선책은 분명 12개 팀리그입니다.
뒷받침해줄 어느 정도의 자본과, 단단한 행정적 기반만 갖추어진다면
단 하나의 12개 팀 모두가 참여하는 팀리그는 시작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호서대의 존재를 넣은 가정하에(안에 있다보니 잘 모르는 일이긴 하지만)
아이디어 시작합니다.
사족으로...뭔가 뜬구름 잡는, 아직은 너무 먼 미래 아닌가 하는,
실현성 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계실 겁니다.
저도 지금 당장 이루어질 거라는 생각에서 쓰는건 아닙니다.
하지만 언젠가 이루어져야 할 일이라면
미리미리 누군가는 아이디어를 내놓고 이야기해봐야 한다는 생각에서
시작한 일입니다...
1년의 운용
전기 리그(19주)+휴식(2주)+후기 리그(19주)+컵대회(6주)+휴식(3주)+슈퍼컵(2주)+휴식(1주)
총 52주
참가팀(가나다 순)
1. 삼성칸
2. Soul
3. 슈마G.O
4. AMD 드림팀
5. Korea
6. 케이텍 플러스
7. KTF 매직엔스
8. 투나 SG
9. For Union
10. P.O.S
11. 한빛 Stars
12. 호서대
정규리그(전기리그, 후기리그의 운용)
(1주차 토요일~12주차 수요일: 1차리그- 12개 팀 풀리그)
(12주차 토요일~15주차 토요일: 2차리그- 상위 6개 팀 풀리그)
(16주차 수요일, 토요일: 올스타 위크)
(17주차 수요일, 토요일: 2, 3위 플레이오프)
(18주차 토요일~19주차 일요일: 플레이오프 승자와 1위간의 챔피언쉽)
공식 맵- 개인전 맵 방송사 당 각 2개씩 6개, 팀플 맵 2개
1주간 치루어지는 경기- 총 6경기
화요일 MBCgame 1경기
수요일 온게임넷, 겜티비 2경기
토요일 온게임넷, MBCgame, 겜티비 3경기
*만약 온게임넷이 수요일 팀리그를 진행할 수 없다면
토요일 비는 시간에 녹화방송으로 진행하는 방법도 가능.
1차 리그: 12개 팀의 플리그, 상위 6개 팀이 2차리그 진출.
순위 결정원칙: 승점-득실차-다득점-승자승-팀플 다승-엔트리 페널티
승점: 승 3, 무 1, 패 0
12팀 중 6팀은 A경기로 6경기, DA경기로 5경기를 치루고
나머지 6팀은 A경기로 5경기, DA경기로 6경기를 치룬다.
전기리그에 A경기로 6경기를 치룬 팀은
후기리그에서는 A경기로 5경기를 치룬다.
(A-DA 방식에 대해서는 다음에 쓸 글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2차 리그: 1라운드 상위 6팀의 풀리그(단, 1차 리그의 승점은 그대로 누적)
A-DA 배정은 1차 리그의 역으로 배정한다.
최종 1위는 챔피언쉽 직행, 2, 3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 2, 3위가 A경기로 각각 한 경기씩 치룬다.
어떤 팀이 먼저 A경기를 치룰지는 2위 팀이 결정.
득실차가 중요해질 수 있으므로 승부가 나더라도 경기는 끝까지 진행.
2차전 6경기가 끝난 상황에서 DA경기 다득점까지 같은 상황이라면
"최후의 개인전"으로 승부를 가린다.
*최후의 개인전이란? 2차전 7경기, 즉 연장경기로서 맵은 2위 팀이 사전결정,
플레이오프 시작시 3위 팀에게 알려주고
선수 공개는 2차전 7경기가 시작되는 순간! 공개.
챔피언쉽: 3판 2선승제, 1차전과 3차전은 1위 팀의 A경기,
2차전은 플레이오프 승리 팀의 A경기.
1, 2차전은 승부가 결정되는 대로 종료한다.
1, 2차전 중 한번이라도 무승부가 있었다면 3차전을 치룬다.
3차전 중 또는 종료시 1승 1무 1패, 또는 3무의 상황이라면
"최후의 개인전"으로 승부를 가린다. 방식은 플레이오프의 그것과 동일.
컵 대회: 한 해를 정리하는 대회로, 보통 장기 페넌트레이스에서 조기 탈락한 팀은
남은 경기를 김빠지게 하는 경우가 많다.
(P.O.S에서 장기레이스 전패자가 둘이나 있기 땜시 매우 실감 ㅠ_ㅠ)
그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컵 대회 시드와 정규리그 순위는 연동된다.
기본 방식: 2팀 또는 3팀의 MBCgame방식 팀 배틀(엔트리 비고정)
3팀의 팀배틀은 2주에 걸쳐 진행되며, 첫 주에 5경기까지 진행한다.
1~12위 시드 결정방법: 전-후기 1,2차 리그 승점 합산 순위.
1라운드 와일드카드
후기리그 올스타전 화요일: 10~12위 팀배틀 1주차 (부전승은 10위 팀)
후기리그 플레이오프 화요일: 10~12위 팀배틀 2주차->1위 팀 1라운드 B조배치, 2팀 탈락.
1라운드
후기리그 챔피언쉽 1주차 화요일: A조(5, 8, 9위) 팀배틀 1주차 (부전승은 5위 팀)
후기리그 챔피언쉽 1주차 수요일: B조(6, 7, 10위) 팀배틀 1주차 (부전승은 6위 팀)
후기리그 챔피언쉽 2주차 화요일: A조 팀배틀 2주차-->1위 팀 2라운드 진출.
후기리그 챔피언쉽 2주차 수요일: B조 팀배틀 2주차-->1위 팀 2라운드 진출.
후기리그 챔피언쉽 2주차 토요일: A조 2위 vs B조 3위, B조 2위 vs A조 3위
-->승리한 2팀 2라운드 진출.
2라운드(8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1주차 화요일: 4번 시드 vs A조 1위
1주차 수요일: 3번 시드 vs B조 1위
1주차 토요일: 1번 시드 vs (A2 vs B3 승자)
2주차 화요일: 2번 시드 vs (A3 vs B2 승자)
2주차 수요일: 1화 패자 vs 1토 패자-->패한 팀 탈락
2주차 토요일: 1수 패자 vs 2화 패자-->패한 팀 탈락
3주차 화요일: 1화 승자 vs 1토 승자
3주차 수요일: 1수 승자 vs 2화 승자
3주차 토요일: 2수 승자 vs 3화 패자-->패한 팀 탈락
4주차 화요일: 2토 승자 vs 3수 패자-->패한 팀 탈락
4주차 수요일: 3화 승자 vs 3수 승자
4주차 토요일: 3토 승자 vs 4화 승자-->패한 팀 탈락
5주차 토요일: 4수 패자 vs 4토 승자-->패한 팀 탈락
6주차 주말: 결승
슈퍼컵
전기리그, 후기리그, 컵대회 우승 3개팀의 '고정 엔트리' 5인 팀배틀.
부전승은 컵대회 우승팀의 권리로 한다.
*한 팀이 2개 대회를 우승했을 때는 2개팀의 '고정 엔트리' 7인 팀배틀로 진행.
*한 팀이 3개 대회를 휩쓸었을 때
준우승팀이 1팀일 경우- 2개팀의 고정엔트리 7인 팀배틀.
준우승팀이 2팀일 경우- 3개팀의 고정엔트리 5인 팀배틀.
준우승팀이 3팀일 경우- 3개팀의 비고정 MBCgame식 팀배틀로 한팀 선별 이후
2개팀의 고정엔트리 7인 팀배틀.
계약관련 사항
-모든 계약관계는 구체적으로 모두에게 공개
-1라운드 탈락확정팀이 나온 일시부터 이적, 임대 불가.
계약 자체는 가능하지만, 실제적 이적은 탈락시 가능.
-각 팀은 2명의 고정 선수를 두며, 그 중 최소 1명은 필히 출전해야 함.
(리그가 김이 빠지는 것을 방지)
고정 선수의 교체는 고정 선수 결정 4주 이내에는 불가능하며,
한번에 2명을 모두 바꿀 수 없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