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8/29 11:20:19
Name Rorschach
File #1 ShowMamer1000Kill.png (618.3 KB), Download : 49
Subject [LOL] 쇼메이커 선수의 1000킬을 축하합니다. (수정됨)



먼저 담원기아의 LCK 3연패를 축하합니다.
저도 담원기아를 응원하는 입장에서 다른 것에 신경 쓰지도 못하고 집중해서 긴장하며 경기 본 것이 오랜만이었네요.
이 기세로 롤드컵까지 쭉 먹어버렸으면 좋겠습니다 크크

하지만 담원의 우승은 이미 게시판에서도 많은 분들이 축하를 해주셨으니, 쇼메이커가 달성한 17번째 LCK 1000킬에 대한 내용도 하나 쯤은 따로 적으면 좋을 것 같아서 따로 글을 써 봅니다.

쇼메이커는 결승전이 시작되기 전까지 총 989킬을 기록하고 있었고 결승에서 11킬을 할 경우 천 킬을 달성하게 되는 상황이었죠. 미드에게 Bo5 다전제 11킬은 그리 큰 숫자는 아닐 수도 있지만 또 그렇다고 당연히 달성이 되는 것도 아니긴 합니다. 전 담원의 3:0 승리가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봐서 1경기 때 킬을 많이 먹어두지 못하면 천 킬은 내년으로 미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1경기에서 전체 경기 양상과 본인이 넣은 데미지에 비해서 킬 수는 3으로 적은 편이었고, 2경기는 카사딘으로 단 2킬로 마무리가 되어버려서 이 시점에서 '아 천 킬은 이번에는 못 하겠구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3경기에서 지면서, 그리고 그 지는 와중에도 '설마?' 하는 느낌이 들 정도로 따라잡는 과정에서 4킬을 더 하고, 딱 2킬만 남은 상태로 4경기에 돌입합니다.

그리고 4경기 쇼메이커의 르블랑은 초반, 고스트의 결정적 도움을 바탕으로 더블 킬을 기록하며 17번째이자 최단 기간 천 킬을 기록하게 됩니다. 경기 전 용준좌의 설명에 따르면 쇼메이커는 데뷔 955일만에 천킬 달성으로 처음으로 1000일 이내에 천 킬을 채운 선수가 되었습니다. (2위가 1115일의 쵸비) 경기가 매일 있는 게 아니라서 별 의미 있는 내용은 아니지만 데뷔 후에 하루 평균 1킬 이상을 한 선수가 된 거죠 크크

그리고 보신분들은 다 아시다시피 1000번째 킬을 기록 한 이후로 1명의 르블랑은 진짜 말 그대로 미친 활약을 보여주면서 팀에 우승컵을 안깁니다. 마지막에도 화려하게 쿼드라킬을 만들었는데, 다시 보니 진짜로 펜타킬도 할 수 있었겠더라고요.

이 기세로 더 달려나가서 롤드컵 2연패, 더 나아가 4연속 5연속 우승 및 전무후무할 롤드컵 3연패도 보여줬으면 좋겠습니다.




그래도 응원팀이니 다른 팀원들이 이야기도 해 보자면,

본인이 마지막 LCK라고 못박아버린, 그리고 그 마지막 LCK를 6번째 우승으로 장식한 칸은 1년 동안 너구리가 떠난 자리를 정말로 잘 채워줬습니다. 물론 역대급이라 수식해도 부족함이 없었을 20너구리 만큼은 아니었지만 누가 와도 칸 만큼 할 수 있었을까 싶었을 정도였습니다. 늙고 병든... 칸이지만 마지막을 더 화려하게, 첫 국제 대회 우승을 달성하며 은퇴하면 좋겠습니다.

서머 초반에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미드로 나오긴 했지만) 정글 자리를 내어준 적도 있었을 만큼 불안했는데 클라스 어디 안 간다고 결국 돌아와서 도끼 들고 사람을 찢어버린 캐니언. 캐니언이 얼마나 해 주느냐가 담원의 롤드컵 2연패 도전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뭐 그런데 당연히 잘 할 것 같습니다 크크

고스트는 아예 출전을 하지 않았을 정도로 슬럼프가 왔고, 베릴 또한 서버 초반에 좋은 모습은 아니었습니다. 고스트는 여전히 조금은 더 올라와야 하지 않나 싶지만 (챔피언에 따라 경기력 차이가 좀 나죠), 베릴은 확실히 돌아온 것 같습니다. 그래도 고스트도 결승까지 오면서 꾸준히 컨디션이 올라오는 모습이라 롤드컵 땐 100%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누가 봐도 담원이 상체의 팀이긴 하지만 그래도 바텀이 버텨주지 않았으면 지금의 담원은 없었을 겁니다. 그러니 역시 롤드컵 다시 먹어야겠죠.

마지막으로 말랑. 진짜 말랑 아니었으면 담원이 결승전에도 못 올라왔었을 가능성도 제법 컸을 거라고 봅니다. 팀의 위기 상황에서 식스맨 역할을 정말로 잘 해줬어요. 게임 특성상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식스맨이 활약할 여지가 적어서 롤드컵을 가도 출전이 될지는 미지수이긴 합니다만 조별리그를 폭파하면서 말랑도 무대에 나가는 모습을 보고 싶네요.


다시 한 번 모든 선수 및 감독-코치진에게 축하의 말을 전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29 11:35
수정 아이콘
포변 난리통일때 기용된 말랑의 활약이 아니었으면 플옵 우승은 몰라도 정규시즌 1위(이것도 젠지 형님들이 도와줬지만 크크크)는 없었을 겁니다. 정말 고맙고 기특합니다 말랑선수.

쇼메이커 칭찬은 굳이 안해도 될것같네요. 이 선수는 이번 결승과 최단기간 천킬조차도 수많은 중간 여정중 하나로 기억될 만큼 앞으로도 그 이상을 쌓을 선수라고 믿습니다.
엠너스티
21/08/29 11:37
수정 아이콘
마지막 용 앞 3:5는 정말 단 1명의 르블랑이었습니다
점멸 w..
두둥등장
21/08/29 11:54
수정 아이콘
식스맨은 정글이 정석인것같아요 이번 결승도 다 잘하더군요
아라나
21/08/29 11:59
수정 아이콘
축하합니다!
일모도원
21/08/29 12:14
수정 아이콘
결승에서 1000킬 축포라니 너무 축하합니다 쇼~~메이커~!
수퍼카
21/08/29 12:25
수정 아이콘
쇼메이커 선수 1000킬 축하합니다. 본인이 한 말대로 1명의 르블랑이 뭔지 보여준 것도 멋있었습니다.
강동원
21/08/29 12:55
수정 아이콘
999킬이 바텀에서 쏜 애쉬 궁에 맞은 그라가스 잡은 거, 1000킬이 같이 갱 왔던 비에고 잡은 거였죠.
그 때 더블 킬이 아니었으면 르블랑의 성장도, 마지막 미친 점멸 w 플레이도 없었을거라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1000킬 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쿼터파운더치즈
21/08/29 13:08
수정 아이콘
초반 고스트 폼 나락가고 포변하면서 버틴게 정말정말 컸죠
다들 고생해서 그런가 스프링땐 별 미동도 안하던 친구들이 죄다 울컥하더군요
롤드컵에서도 잘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쇼메 1000킬 축하합니다
와신상담
21/08/29 13:10
수정 아이콘
Lck 최고의 미드죠.
toujours..
21/08/29 14:00
수정 아이콘
쇼메는 반박의 여지 없는 세체미 입니다. 이번 월즈까지도 씹어 먹길 기원합니다.
AaronJudge99
21/08/29 14:07
수정 아이콘
진짜 잘합니다....LCK의 왕
Dončić
21/08/29 14:20
수정 아이콘
어제 진짜 무슨 챔을 잡든 클라스 입증해버렸죠
다른 형태의 완성형 미드라고 보는게 맞을 듯 합니다
율리우스카이사르
21/08/29 14:33
수정 아이콘
리그 3회연속 우승중..
롤드컵 2회연속 우승도전중..
앞으로의 커리어를 어떻게 수놓을지
궁금해지네요.
허세왕최예나
21/08/29 14:59
수정 아이콘
페이커 이후 쵸비를 기대했는데 쇼메이커가 왕좌를 가져가네요

닉넴의 중요성이 이런건가??? 크크

올해까지 계약인걸로 아는데 페이커 이후 원팀 레전드가 나올지도 기대됩니다
21/08/29 15:23
수정 아이콘
쇼메이커 레전드입니다.
라프텔
21/08/29 15:25
수정 아이콘
롤드컵에서도 멋진 활약 기대됩니다!
Polkadot
21/08/29 17:20
수정 아이콘
과장 좀 보태서 지금 폼은 도인비와 더불어 세계를 양분하는 미드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482 [LOL] 시즌 초반이니 LCK에 쓸만한 숨겨진 꿀픽 예상 한 번 해볼까요? [90] 마포구보안관9188 22/01/18 9188 0
73395 [모바일] [카운터사이드] EPISODE V : TERRASIDE PART 2 _ 공식 PV [1] 캬옹쉬바나5123 22/01/05 5123 1
73352 [LOL] 주관적인 내년 LPL 우승후보 6팀 예측 [21] gardhi12125 21/12/26 12125 4
73339 [LOL] 루키가 로컬 자격을 취득했습니다. [25] Leeka12696 21/12/23 12696 0
73292 [LOL] 올해의 마지막 패치가 내일 적용됩니다. [17] MiracleKid8424 21/12/15 8424 0
73214 [LOL] 점진적 리빌딩의 우세 [38] gardhi12775 21/12/04 12775 3
73201 [LOL] 역대 롤드컵 우승팀들은 몇명을 영입했나? [28] Leeka10145 21/12/02 10145 5
73140 [LOL] LPL 올스타 2021 근황 (사실상 10명 확정) [6] Leeka8674 21/11/26 8674 0
73137 [LOL] LOL 11.23 PS표 브실골 티어리스트 [28] MiracleKid11289 21/11/26 11289 0
73092 [LOL] 반전이 시작된, 중국 올스타 투표 1~3위 근황 [22] Leeka13214 21/11/23 13214 0
73072 [LOL] 중국 올스타 투표, 라인별 현재 1~3위 [21] Leeka9827 21/11/22 9827 0
73051 [LOL] 소스대로면 LCK 첫 용병이 나오겠네요 [26] Leeka14121 21/11/21 14121 0
72813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안녕하세요. 스튜디오비사이드 대표 류금태입니다. [41] 캬옹쉬바나12293 21/11/04 12293 2
72792 [LOL] 롤드컵 결승전 멤버들의, 월즈 사용 챔피언 풀 정리 [18] Leeka10334 21/11/01 10334 0
72741 [LOL] 오늘자 lpl 루머 [73] 카루오스17440 21/10/28 17440 2
72665 [LOL] 주관적인 롤드컵 8강기준 챔피언 티어리스트 [37] gardhi13368 21/10/20 13368 6
72608 [LOL] A조 2R 시청 소감 / 한국팀 짧은 평 [44] 조미운12907 21/10/16 12907 2
72592 [LOL] 2021 Worlds 그룹스테이지 1R 감상 [33] Hestia14776 21/10/14 14776 16
72445 [LOL] 주관적인 롤드컵 전 챔피언 티어 예측 [26] gardhi10771 21/09/27 10771 5
72186 [LOL] 쇼메이커 선수의 1000킬을 축하합니다. [17] Rorschach13531 21/08/29 13531 16
72047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스압 주의) 8/17(화) 업데이트 점검 및 패치노트 안내 캬옹쉬바나11133 21/08/16 11133 1
72027 [LOL] TES의 월즈 탈락이 확정되었습니다 [76] AdolChristin13873 21/08/14 13873 1
72022 [LOL] [LPL] TES vs LNG 프리뷰 [12] 김연아9158 21/08/14 915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