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8/10 13:22:56
Name 삭제됨
Subject [LOL] 제멋대로 매겨보는 LCK, LPL, LEC 팀들의 오버롤 능력치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항아저씨
21/08/10 13:28
수정 아이콘
고생하셨습니다. 최고점은 LPL쪽 비중이 높네요 특히 FPX
국제대회에서 맞붙는걸 빨리 보고싶습니다
랜슬롯
21/08/10 13:32
수정 아이콘
솔직히 LPL 게임 안봐서 모르겠지만, 저는 롤은 미드게임이라고 생각하거든요. 미드가 진짜 말도 안되게 잘해버리면, 다른 라인은 무너지지 않기만해도 왠만하면 진짜 우승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년도 도인비 경기력이 18년도 루키같이, 진짜 4밴, 5 저격밴을 당할정도로 진짜 말도 안되는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면 저는 개인적으로 FPX 우승 가능성이 제일 높지 않나 싶습니다. 현재 LCK는 솔직히 저는 춘추전국시대라고 할 수 있을정도로 경기력들이 다 비등하다고 보거든요.
21/08/10 13:4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저도 FPX & RNG가 조금 앞서 있는 정도고, 나머지 각 리그 상위권팀들, 각 리그 중상위권 팀들끼리는 정말 춘추전국 소리를 붙여도 괜찮을 정도의 시즌인 것 같습니다. 더더욱 국제대회가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도인비의 이번 시즌은 (정규시즌 한정으로 볼 떄) 특정 선수의 롤력치가 가장 만점에 가까운 선수의 탄생이 아닐까 싶은 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4~5년 이전으로 건너뛰면 또 찾을 수 있다고 보지만, 지금처럼 어느정도 상향평준화가 이뤄진 시대에 이런 퍼포먼스는 정말 놀랍습니다)
티모대위
21/08/10 13:32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한 피쟐에서 주요 4대리그를 가장 철저하고 진지하게 챙겨보시는 분의 평가라 신뢰가 가네요.
농심이 플레이어 점수와 팀점수가 그리 큰 차이가 안나는것은 좀 신기하긴 하네요. 하긴 탑미드의 교전/한타력도 개인기량이니까
21/08/10 13: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저 잉여롤붕이 1일뿐인데 과분한 말씀이십니다.
농심의 경우는 팀점수에서도 라인전페이즈에선 점수가 낮고 한타력이나 운영쪽은 점수가 좋아서, 합산해볼 때 두 분야 다 중상위의 좋은 점수가 매겨지게 된 게 아닐까 합니다
HuntCook
21/08/10 13:35
수정 아이콘
10점받은 선수가 없는 탑정글원딜서폿은 역대 어느 시즌 어느 선수 정도가 10점이라고 보세요?
21/08/10 13:41
수정 아이콘
글쓴이는 아니지만 저라면
탑: 전성기 마린, 2020 너구리
정글: 전성기 뱅기
원딜: 전성기 룰러, 뱅
서폿: 전성기 마타
정도가 생각나네요.
더치커피
21/08/10 13:44
수정 아이콘
정글원딜은 좀 애매하고 탑은 15마린, 서폿은 14마타 정도?
근데 미드가 타포지션 대비 영향력이 더 높으니 미드만 10점이 있는게 합리적으로 보이네요
21/08/10 13:45
수정 아이콘
가급적 최근 시즌들을 예로 들어보자면, 10점을 매길만한 선수들은 전성기의 더샤이(넉넉하게...), 19년 절정시기의 얀코스와 클리드?, 바텀은 18년의 우지밍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 외에도 9~10점 사이를 두고 고민할만한 선수들이 찾아보면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21/08/10 13:37
수정 아이콘
이런거 만드는거 고생스러운데 해놓고 나면 거기서 거기같고 누가 시비걸면 피곤한 일인데 참 크크 고생하셨습니다.
롤드컵에서 보여줄 모습이랑 비교해보면 재밌겠네요.
21/08/10 13:4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사실 쫄려서 각 항목별 점수는 감췄습니다...(?!) 사실 요런 거 혼자 만들어보는거에 재미를 느끼는 부류(?)는 내용에 대한 이견이나 이런걸 주셔도 오히려 진지하게 봐주시는구나 해서 감사한 생각이 듭니다.... 가장 두려운건 이런거 누가본다고 만들었냐 요런 반응들이랄까....크크ㅠㅠ
21/08/10 13:54
수정 아이콘
저도 재밌게 잘봤습니다~! 세부점수가 궁금하긴한데, 가리는게 훨씬 나은 선택인 것 같습니다!
아웅이
21/08/10 13:37
수정 아이콘
1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점은 적네요
21/08/10 13:48
수정 아이콘
사실 만점에 비해 1점을 가차없이 매길 수 있던(?) 데에는 이번시즌 V5 & 샬케 & DRX 3형제의 도움이 컸습니다.....
티모대위
21/08/10 15:51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메타상 각 라인의 선수들이 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링의 차이도 있다고 봅니다.
서폿이 아무리 개잘핵이어도, 미드 도인비만큼의 영향력은 없다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네요.
감전주의
21/08/10 13:39
수정 아이콘
fpx만 본다면 탑의 너구리가 서머들어서 좀 들쭉날쭉한 경기력으로 폼을 올려야 할 필요가 있네요
원딜 lwx는 스프링 결승에서 거하게 던진 이후로 하향세 였는데 근래는 폼 회복을 한 듯 보이구요.
도인비는 최고존엄미드 맞습니다. fpx는 도인비만으로도 롤드컵 우승 1순위라고 생각됩니다.
더치커피
21/08/10 13: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글갓님 푸딩님 닉넴 커엽네요 크크
샌박이 올해는 롤드컵 갔음 좋겠네요
21/08/10 13:41
수정 아이콘
한두팀이나 플옵권팀도 아니고 다 하시다니 정성에 추천드립니다
21/08/10 14:0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만약 섬머 플옵이 다 끝나면 롤드컵 갈 팀들만 업뎃하려구요....크크
Dena harten
21/08/10 13:47
수정 아이콘
티원 왜이리 높아 크크크크
아이지 망했다길래 얼마나 망했겠어 했는데 한화랑 같은점수인거보니 확 느낌이 오네요.
공항아저씨
21/08/10 13:54
수정 아이콘
근래 도인비는 칭찬일색이고 흠 잡는 댓글을 본적이 없네요..
21/08/10 14:03
수정 아이콘
그만큼 이번시즌 도인비 퍼포먼스는 예술적이었습니다. 이런 폼으로 남은 플옵과 롤드컵까지 혹시 이어가서 좋은 결과를 낸다면 역대급 반열에 들만한 폼이라고 보는데, 결국 결과가 어떻게 나느냐가 중요하겠지만요
불래론
21/08/10 13:56
수정 아이콘
이번 시즌 LPL은 하나도 안 봤는데, EDG가 2등?하지 않았나요? 근데 RNG랑 FPX랑 저 정도로 차이나나요? 몰라서 여쭤봅니다. 그리고 잘 봤습니다 쓱 보니 재밌네요
21/08/10 14:01
수정 아이콘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EDG가 시즌 중반까지는 전 라인이 자기몫을 고루 하면서 1황 포스였는데, 시즌 마지막 5경기에서 2승 3패로 저조했고(2승 중 1승은 전패팀 상대 승리) 탑 정글의 폼 하락이 눈에 보였습니다. 반면 RNG는 MSI 이후 자가격리 후유증으로 인해 1승 5패로 시즌을 시작한 이후에, 제 폼을 찾으면서 9승 1패의 엄청난 폼으로 시즌을 마무리했기 때문에(맞대결에서도 RNG가 2:0 승리) FPX 다음가는 팀으로 요즘은 EDG보다는 RNG를 더 꼽는 편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1/08/10 14:09
수정 아이콘
각 포지션별 세부 점수 공개하셨으면 난리가 났을텐데 크크크크크
21/08/10 14:56
수정 아이콘
아니 이 댓글 왤케 아쉬워하시는 것처럼 들리는지 크크크크 악마가 여기있다~~~
어바웃타임
21/08/10 14:19
수정 아이콘
LEC는 진~~~짜 가끔...

LPL도 인기팀, 빅매치 정도만 보는 입장이라

DRX 아래가 있어? 그것도 둘이나? V5는 점수차도 꽤 나는데??? 헐....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크크크크크크
김연아
21/08/10 14:44
수정 아이콘
DRX 한창 못할 때 불판 보면 저 팀은 프로가 아니다 이런 말 나왔었잖아요.

그 때도 팸코 등 LPL 시청자들 서식하는 곳에서 주류의견이 그래도 DRX가 V5는 넉넉하게 이긴다 였습니다.
어바웃타임
21/08/10 14:50
수정 아이콘
도대체 어느정도인지 궁금증이 생겨서 경기가 보고 싶어집니다.
김연아
21/08/10 14:54
수정 아이콘
전패에 세트승이 3개더라구요.

보통 세트패 3패면 완전 리그 씹어먹은 초강팀으로 분류하니까...

대충 18IG나 19FPX보다 더 역으로 못한다고 생각하시면.....
어바웃타임
21/08/10 15:02
수정 아이콘
완전 리그를 씹어먹은 초약팀?
티모대위
21/08/10 15:45
수정 아이콘
씹어먹힌 거죠.
맛집
AaronJudge99
21/08/10 14:44
수정 아이콘
v5는 진짜 레게노군요
전설적이네요 다른 의미로
21/08/10 14:57
수정 아이콘
저도 딱 말씀하신대로의 감상입니다. 전설적인 팀....
닉네임뭐하지
21/08/10 14:46
수정 아이콘
BB원장님 내년엔 좋은곳가서 행복롤하시길...
21/08/10 14:58
수정 아이콘
그저 언럭키 아르무트 ㅠㅠ
21/08/10 14:47
수정 아이콘
현재 도인비는 진짜 롤의 신입니다.
올해는다르다
21/08/10 14:47
수정 아이콘
clg 샬케 drx v5 어둠의 롤드컵도 보고 싶네요
21/08/10 14:59
수정 아이콘
어둠의 롤드컵이면... 순위도 역으로 매기는게 맞겠죠? 그렇다면 북미는 이번에도 우승을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V5 정배...
쿼터파운더치즈
21/08/10 14: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확실히 각종 메이저 리그 챙겨보신다는게 티가 나요 개인주관에 따른 랭킹 포인트 부여인데도 업커머 파워랭킹 이런거보다 순위가 훨씬 납득이 가고 동의하게 되는 부분이 많네요
나열해주신 순위대로가 기본 전력에 대한 평가라고 생각하는데
다만 개인적으론 역대급 춘추전국시대 평준화대회 예상해봅니다 이번 롤드컵
북미팀들은 물론 마이너 상위팀도 충분히 메이저 상위팀 이기는게 납득이 가는 시즌이고, 메타인거 같아요
21/08/10 15:01
수정 아이콘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3대 리그를 제외하면 가장 핫한 팀이 말씀하신 마이너 상위에 속하는 현재 PSG일 텐데, 풀전력 PSG의 롤드컵 활약도 정말 궁금하고 기대가 됩니다. 워낙 지역별로 상위~중상위가 접전인 곳이 많다보니, 롤드컵은 당연하고 섬머 플옵 & 선발전에서도 버릴 경기가 거의 없을 것 같아서 좋습니다 크크
에바 그린
21/08/10 14:55
수정 아이콘
그.. 심심하시면 lec 정규 결산 및 플옵 프리뷰도 한번...
크크크크크

지투 평가가 눈에 띄네요. 역시 2라들어와서는 살아났다고 보시는건가
21/08/10 15:02
수정 아이콘
LEC는.... LEC 프리뷰 & 리뷰 쓰시는 타커뮤 분보다 잘 쓸 자신 없으면 미리 접어야 크크크
플옵 프리뷰까진 언감생심이고, 일단 갠적으로 바이탈리티 역배에 성지 도전 해봅니다 크흠
김연아
21/08/10 15:04
수정 아이콘
저도 LPL 대충 쓰고, 제 반대로 걸겠다는 분들 등장도 하시고 하는데요 뭘. 크크크.

이번에는 LNG 대 SN부터 써볼 생각입니다!!!
21/08/10 15:16
수정 아이콘
??? : LPL 플옵한다던데 한번 봐볼까?? 올시즌 LPL이 수준도 높고 치고받고 재밌게 한다던데.... -> LNG vs SN 두둥.....
니시노 나나세
21/08/10 15:04
수정 아이콘
파워랭킹보다 이 글이 더 신뢰가 가네요.

진짜 잘봤습니다.
21/08/10 15:17
수정 아이콘
ㅠ별말씀을...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이폰텐
21/08/10 15:06
수정 아이콘
이 순위로 왠지 롤드컵 8강 될거같은건 저만의 생각은 아니겠죠? 크크 확실히 3리그를 풀로 챙겨보는 상위 0.1% 롤붕이다운 객관성이 있는 지표로 보이네요
21/08/10 15:19
수정 아이콘
팀들이 딱 저대로 갈 순 없더라도, 롤드컵 8강이면 왠지 LCK LPL 3팀씩에 LEC+PSG 여기서 한 2팀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긴 합니다
이번주말부터 3대리그 풀롤붕 모드 가야하는데 미리 체력 비축을 해둬야 할텐데....크크
김연아
21/08/10 15:06
수정 아이콘
유럽 고평가 하셨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유럽 최강자 G2가 무너지면서 다른 팀들이 올라온 양상이긴 하지만,

그래도 저 정도도 너무 냉정하신게 아닌가 싶을 정도인데...

(다시보니 유럽 3총사가 10위 아래가 아니라 공동9위군요 그런 냉정하셔던 것 까진 아닌 걸로...)
21/08/10 15:21
수정 아이콘
일부러 개별점수 매기면서 총 합산점수는 숨겨놓고 가장 마지막에 봤는데, 갠적으론 LEC 내의 팀들 순위는 제 생각과 어느정도 일치합니다만, LPL LCK 강팀들과 비교해보면 저게 맞나 하는 긴가민가한 생각은 있습니다 크크크 롤드컵때 유럽팀들 선전을 기원합니다 개인적으로...
김연아
21/08/10 15:42
수정 아이콘
저도 개인적으로 서구권의 롤드컵 우승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벌점받는사람바보
21/08/10 15:12
수정 아이콘
롤드컵 시즌인대 맞고 틀리고 떠나서 이런글이 있어야 재밌죠
해외 리그 하이라이트 보면서 감정이입좀 해봐야 겠어요 크크크
21/08/10 15:2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마침 이제 LEC LPL 모두 이번주부터 플레이오프에 돌입하니, 재밌게 볼 만한 경기들도 많이 나올 것 같습니다..!
라프텔
21/08/10 15:25
수정 아이콘
3대 리그 전경기를 다 보셨다니 그 잉여력에 찬사를! 저는 LCK만 겨겨우 다 봤는데, 부럽습니다.
순위도 대부분 공감갑니다. 이번 롤드컵은 LPL우세 속에 LCK의 도전 형국이 될거 같네요.
Nasty breaking B
21/08/10 15:48
수정 아이콘
맞냐 틀리냐를 떠나 이런 걸 시도할 수 있을 정도로 경기들을 다 보시는 게 대단하네요. 세부 평가 항목들도 재미있고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21/08/10 15:50
수정 아이콘
쵸비 몇점 받았는지 궁급합니다 크
21/08/10 16:30
수정 아이콘
개인점수 14점이면 평균 3점은 되는데
7점이면 3명이 1점인건가요... 허미
작은형
21/08/10 16:39
수정 아이콘
제생각에는 티원은 플레이어들 점수가 팀점수보다 높아야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라인전 지표는 되게 좋은 편인데 옵젝쌈이나 이런게 가끔 애매할때가 있으니까요.

1라때도 보면 라인전 지표에서 무리가 있다기보단 운영이 안되는 팀이기도 했구요.
21/08/10 16: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제가 매긴 오버롤에서 T1이 팀점수에서 좀더 잘 나온건, 선수 개개인이 다른 상위권 선수들의 개개인을 압도한다기보다는, 기본적인 라인별 경쟁력을 바탕으로 라인전페이즈 / 시야점수(지표) / 라인컨트롤 / 실링 및 밸런스 등에서 좋은 점수가 나와서라고 봐주시면 될 듯 합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팀 점수 카테고리에서 오브젝트 관련 점수는 다소 낮지만 대체로는 다른 항목에서 LCK 팀들 중에는 나쁘지 않은 점수를 개인적으로는 매겼습니다 (물론 실제 다른 분들의 평가는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작은형
21/08/10 17:05
수정 아이콘
팬심.... 조금 넣어서 제 주관적으로 2라운드 티원의 점수를 매긴다면

- (개인) 탑 : 8점 - (개인) 정글 : 7점 - (개인) 미드 : 9점 - (개인) 원딜 : 7점 - (개인) 서폿 : 7점
- (팀) 라인전 : 5점
- (팀) 한타력 : 3점
- (팀) 챔프폭&밴픽 : 3점
- (팀) 오브젝트컨트롤 : 3점
- (팀) 시야컨트롤 : 3점
- (팀) 라인컨트롤 : 4점
- (팀) 오더/디시전메이킹 : 4점
- (팀) 메타적합도 : 4점
- (팀) 실링 & 플로어 : 4점
- (팀) 밸런스/구멍여부 : 4점

개인적인 평가이긴 하지만, 2라운드 경기력은 손꼽을 정도로 좋은것 같습니다. 다만 변칙적인 한타를 보면 아직 손발을 더 맞춰야할것같구요.
그래서 샌드박스에 진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21/08/10 17:38
수정 아이콘
정글갓이 누구죠?
21/08/10 17:40
수정 아이콘
V5 정글러로 뛴 JugGod 선수입니다
21/08/10 17:41
수정 아이콘
아... 그팀이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077 [LOL] [lpl] (R vs L)NG 프리뷰 및 LNG/TES전 감상 [58] 김연아12508 21/08/19 12508 2
72034 [LOL] [lpl] BLG vs WE 프리뷰 [6] 김연아7684 21/08/15 7684 1
72022 [LOL] [lpl] TES vs LNG 프리뷰 [12] 김연아9180 21/08/14 9180 1
72009 [LOL] lpl 플옵 첫 두 경기 프리뷰 [15] 김연아10765 21/08/12 10765 3
72000 [LOL] lpl 섬머 All-Pro Team 발표 [80] ELESIS12936 21/08/11 12936 2
71991 [LOL] 제멋대로 매겨보는 LCK, lpl, LEC 팀들의 오버롤 능력치 [64] 삭제됨13641 21/08/10 13641 26
71989 [LOL] lpl 플옵권 팀 포지션 별 데이터 지표 [18] FOLDE10064 21/08/10 10064 3
71979 [LOL] lpl 올프로팀 예상 [39] 김연아13426 21/08/09 13426 0
71978 [LOL] lpl 섬머 정규시즌 종료 - 시즌 최종 순위 & 플레이오프 대진 [37] Ensis16332 21/08/09 16332 0
71974 [LOL] 여기도 '킹우의 수' 따진다 - lpl 마지막날 플옵 대진 4가지 시나리오 [11] Ensis11426 21/08/08 11426 2
71951 [LOL] lpl 정규시즌 막판 상황 & 오늘자 빅매치.jpg [46] Ensis16546 21/08/03 16546 2
71917 [LOL] [인터뷰,기사] "LCK 바텀, lpl-LEC 보다 수준 낮다" [102] 공항아저씨20491 21/07/29 20491 0
71892 [LOL] lpl식으로 가는 Neo-T1, 앞으로가 더 중요 [73] 아우어케이팝_Chris19029 21/07/24 19029 13
71887 [LOL] lpl 정규시즌 막바지, 롤드컵을 꿈꾸는 7순위 팀들 주관적인 평가 [17] gardhi12690 21/07/24 12690 3
71853 [LOL] 오늘 열리는 일요일 lpl 또하나의 빅매치 [16] Ensis13648 21/07/18 13648 0
71803 [LOL] lpl 이주의 매치 (RNG vs IG) 결과.... PS도 위태로워 보이는 IG [34] Ensis17861 21/07/11 17861 1
71724 [LOL] lpl 글로벌 중계진이 선정한 lpl Top 15 플레이어 [8] Ensis11163 21/07/01 11163 1
71713 [LOL] lpl 서머 전반기 강팀 중심 주관적인 감상평 [23] gardhi13690 21/06/29 13690 2
71692 [LOL] 현재 lpl에서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는 팀 [38] 이는엠씨투13368 21/06/27 13368 0
71645 [LOL] LCK, lpl, LEC 3대 지역 개막 1~2주차 종료 & 순위 & 감상 [51] Ensis12488 21/06/21 12488 5
71586 [LOL] lpl 서머시즌 라인별 인기투표 근황 [19] Leeka14358 21/06/11 14358 0
71567 [LOL] 서머 시즌 lpl 중위권 이상 팀 로스터 변화 아는대로 요약 [8] gardhi13696 21/06/07 13696 0
71492 [LOL] 원딜의 역할에 대한 LCK와 lpl의 인식차이 [214] Pokemon26059 21/05/24 2605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