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5/10 21:26:56
Name 스위치 메이커
File #1 july_2020_sales_6_2.png (52.6 KB), Download : 69
Subject [콘솔] 닌텐도 스위치 4년 판매량: 8459만대


2021년 3월 31일 기준으로 닌텐도 스위치의 총 판매량이 8459만대를 달성했습니다. (그래프는 살짝 밝은 빨간 부분은 임의로 제가 그렸습니다...)


이로서 1억대 돌파는 확정이고 플스2의 1.57억대 기록도 넘볼 수 있지 않냐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네요.

PS4 판매량 그래프와 비교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발매 초기에는 엇비슷했던 판매량이 지금은 스위치가 살짝 높은 상황입니다.

보통 콘솔 판매량이 황혼기 접어들면서 줄어드는 것과 달리 스위치는 발매 4년차인데도 판매량이 늘어나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을 것 같긴 하구요

여튼 이제 1억대는 확정, 관심사가 가는 건 플스2의 기록을 깰 수 있을까인데... 저는 어렵다고 생각은 드네요. 아마 총판매량 1.45억대 정도에서 그치지 않을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5/10 21:31
수정 아이콘
부셔버릴 거야
드림캐스트2가 간다-
스위치 메이커
21/05/10 21:37
수정 아이콘
드.. 뭐요?
딱총새우
21/05/10 22:08
수정 아이콘
런칭 타이틀은 소닉으로 ^오^
단비아빠
21/05/10 21:41
수정 아이콘
음.. 스위치는 콘솔기기하고 틀린 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휴대용이라서 발생하는 문제죠.
분실, 도난, 파괴
게다가 무엇보다도 100% 확률로 발생하는 배터리 성능 저하죠.
단순 배터리 성능 저하만으로는 그냥 배터리 교체를 하면 하지 새제품을 구매하진 않겠지만
스위치는 세대를 개선하면서 성능도 성능이지만 배터리 지속 시간이 업글되는터라
충분히 새제품 구매 요인이 되거든요. PS4 pro 보다도 더 강력한 재구매 요인이죠.
이런 것들이 모두 재구매로 이어진다고 생각하면 그 수요도 만만치 않을겁니다.
사실 구입한지 3년 이상 된 스위치라면.. 지금쯤 거의 걸레 수준 아니겠습니까?
스위치 메이커
21/05/10 21:47
수정 아이콘
하지만 가격은 콘솔급읍읍...

그리고 정작 3년 이상 된 스위치의 최대 약점은 배터리가 아니라 조이콘이죠. 조이콘 수요가 폭★발

여튼 저도 배터리 교환이 상당한 재구매 메리트가 있다는 점은 부정하지 않습니다. 근데 그걸 감안해서 봐도 닌텐도DS나 3DS는 이 정도까지 판매량이 오르지 않았거든요. 휴대용으로 한정해서 봐도 신기한 일이긴 합니다.
단비아빠
21/05/10 22:28
수정 아이콘
저는 1년도 안되었는데 조이콘이 나가더군요. 이거 내구성이 황당한 수준이던데요?
조이콘을 새로 살까 하다가 웬지 새로 사도 얼마 못버틸 것 같기에 그냥 프로콘으로 버티는 중입니다.
황금경 엘드리치
21/05/10 23:01
수정 아이콘
이거 조이콘 저는 포켓몬 하면서 한방향 쭉 누르니까 바로 나가더군요. 하다하다 속이 터져서 새로샀는데(기술 잘못나가고 열뻗쳐서;;)
내구성 진짜;;; 말도 안되게 취약하긴 합니다.
엑세리온
21/05/10 23:43
수정 아이콘
프로콘도 좀더 오래 버틸뿐이지 쏠림현상 오더군요.
플스, 엑박 쓰면서 한번도 못겪어본 일인데 이놈의 닌텐도...
다시마두장
21/05/11 03:34
수정 아이콘
하드웨어가 다 소모품이다 소모품이다 하지만 조이콘은 정도가 정말 심하더군요.
정말로 1년쯤 쓰고 버릴 물건으로 인지하고 있어야...
아이폰텐
21/05/10 22:0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는 라이트 하나사서 휴대용으로쓰고 초창기에 산 1세대 스위치는 독용 온니로 씁니다 크크
바카스
21/05/11 11:15
수정 아이콘
동일 게임 세이브 파일은 어떻게 하세요?

그냥 라이트 한번 돌린거는 라이트로, 거치용은 쭉 거치용으로 이건가요?
티모대위
21/05/12 16:49
수정 아이콘
저는 그렇게 구분해서 하고 있어요
게임 메뉴에서 세이브파일 연동 누르면 바로 연동 되기는 하는데, 자동연동은 안되서 좀 귀찮기도 하고
휴대용으로 하기 좋은게임, 거치용으로 하기 좋은게임이 따로있다고 생각하는쪽이라..
리자몽
21/05/11 18:14
수정 아이콘
닌텐도가 장사를 잘하는거죠

소비자 입장에선 화가 나지만요 @_@
바카스
21/05/11 11:16
수정 아이콘
이렇게 잘 나가니 성능 개선판에 목을 안 매달지ㅜㅜ

젤다 무쌍 못 해도 fhd 60프레임으로 어서 해보고 싶네요
오늘처럼만
21/05/11 11:17
수정 아이콘
플스 2 이후로 콘솔 산적이 없는제가

저기엔 한대 보탰습니다 크크
앓아누워
21/05/12 17:40
수정 아이콘
엌...오늘 샀는데...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371 [스위치] 야숨2 부제, 파이어엠블렘 인게이지, 피크민4 공개 [52] 스위치 메이커10620 22/09/13 10620 1
73579 [스위치] 포켓몬 레전드 아르세우스 플레이 후기 [36] 스위치 메이커13401 22/01/31 13401 7
73027 [포켓몬]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분노의 후기 (사지마!!) [45] 스위치 메이커12257 21/11/20 12257 6
72616 [스위치] 동물의 숲 2.0 + DLC [11] 스위치 메이커14559 21/10/16 14559 5
72430 [스위치] 신작은 오픈월드 커비와 베요네타 3 [37] 스위치 메이커12107 21/09/24 12107 0
72426 [스위치] 내일(24일) 오전 7시 닌텐도 다이렉트 [24] 스위치 메이커9843 21/09/23 9843 0
71407 [콘솔] 닌텐도 스위치 4년 판매량: 8459만대 [16] 스위치 메이커9457 21/05/10 9457 0
70908 [스위치] 포켓몬스터 4세대 리메이크 및 레전드:아르세우스 공개 [47] 스위치 메이커9325 21/02/27 9325 0
70829 [콘솔] 닌텐도 다이렉트 2021 [36] 스위치 메이커10844 21/02/18 10844 0
69604 [콘솔] Wii U는 왜 망했을까? [27] 스위치 메이커9539 20/10/09 9539 5
69447 [스위치] 3D 마리오의 모든 걸 담았다, 슈퍼 마리오 3D 올스타즈 [39] 스위치 메이커11299 20/09/17 11299 2
68752 [스위치] 포켓몬스터 DLC 1탄 갑옷의 외딴섬 리뷰 [15] 스위치 메이커8497 20/06/24 8497 0
68482 [스위치] 페이퍼 마리오: 종이접기 킹 신작 공개. [28] 스위치 메이커8586 20/05/14 8586 0
68302 [스위치] 동물의 숲 04.23 업데이트 소식 [21] 스위치 메이커7971 20/04/21 7971 1
68169 [스위치] 오늘의 동디션 현황 [18] 스위치 메이커9419 20/04/04 9419 0
68057 [스위치] 갓겜등장! 동물의 숲 짧은 리뷰 [31] 스위치 메이커9414 20/03/21 9414 1
68021 [스위치] 저스트 댄스 2020, 22500원 [16] 스위치 메이커11242 20/03/14 11242 1
67951 [스위치] 모여봐요 동물의 숲 DL 및 포켓몬스터 소드 익스패션 패스 구매 [44] 스위치 메이커10396 20/03/04 10396 0
67922 [스위치] DL 20% 할인 소식 (120종) [30] 스위치 메이커11066 20/02/29 11066 1
67902 [스위치] 닌텐도 스위치 품귀현상?! [57] 스위치 메이커11589 20/02/26 11589 1
67852 [스위치] 모여봐요 동물의 숲 다이렉트 (한글 자막 추가) [32] 스위치 메이커8427 20/02/20 8427 0
67676 [스위치] 스위치로 나오는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리메이크작! [6] 스위치 메이커9292 20/01/10 9292 0
67594 [스위치] 스위치 마이너 갤러리 GoTY는? [42] 스위치 메이커10477 19/12/21 1047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