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4/18 11:58:34
Name 김연아
Link #1 뇌내망상
Subject [LOL] LPL 플레이오프 패자조 결승 감상 및 결승전 예상
I. 간략한 패자조 결승 감상
역시 억제를 벗어난 샤오후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게임을 이끌어나가고 지배할 줄 아는 선수였습니다. 플랑드레의 컨디션이 안 좋기도 했지만, 샤오후의 장점은 라인전을 떠났을 때죠. 중국인 롤도사의 느낌을 물씬 풍기는 모습이었죠. 여기는 예상 안이었습니다. 문제는 크라잉의 대활약이었죠. 1, 2경기는 스카웃보다 확연히 좋은 모습을 보였고, 덕분에 RNG가 쉽게 경기를 가져올 수 있는 발판이 되었습니다. 그야말로 전 라인이 이기는 모습이 나온 거죠. 드디어 밍이 중체폿다운 운영을 보여주기 시작했고, 웨이는 지난 경기의 기세를 이어갔죠. 하지만, 3경기부터 스카웃이 다시 폼을 끌어올리자, 결국 미드, 원딜의 캐리로 EDG가 경기를 가져가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다시 5경기에서 라인전 무난히 넘어간 샤오후의 위력이 나오며, RNG가 신승을 거두었습니다. EDG로썬 1, 2경기 때 뭔가 팀 전체가 기세가 꺾여있는 듯한 모습이 보여 안타까웠습니다. 조금만 더 빨리 정상적인 모습으로 경기했다면 좋았을 텐데 말입니다.

II. 결승전 예상
탑에는 라인전 대괴수가 서식합니다. 너구리의 라인전에 비길 선수를 데려오려면 미드의 쵸비 정도가 등장해야 합니다. 잘리든 어쨌든 괴물같은 지표를 자랑합니다. RNG가 FPX를 상대할 때의 딜레마가 여기서 발생합니다. 4강 첫경기에서 FPX에게 무기력하게 패배한 걸로 증명이 되기도 했고, 또한 그 이후 경기들에서도 증명이 된 건데, RNG는 일단 샤오후가 라인전 이후 팀을 풀어줘야 됩니다. 탑의 새지평을 열었다는 평가까지도 나왔던 샤오후의 독특한 능력은 준수한 라인전을 바탕으로 적당히 성장한 후 적재적소에서 팀의 운영을 풀어내는 탑이었기 때문이죠. 물론 트타들고 라인전 압박하고 타워 빨리 미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보통 공격적인 픽을 바탕으로 샤오후가 팀을 이끌어주는게 바탕이 되어야 웨이/밍의 운영이라든가, 갈라의 딜이 강력해지는 건데, 너구리는 그런 샤오후를 라인전부터 압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게 너구리입니다. 샤오후가 못하는게 아니라 너구리가 너무 쎄요. 공격적이든 탱커든 라인전 이후 팀 풀어주는 능력이라도 부족하면 모르겠는데, 그것도 아니죠. RNG에게 너무 안 좋은 상대입니다.

크라잉은 스카웃 상대로 좋은 모습을 보이긴 했는데,  기본적으로 라인전이 강한 선수는 아니고, 무난히 가서 1인분 하거나, 안티캐리하거나, 컨디션 좋은 날 옛날 가락 좀 나오는 선수 정도. 되려 크라잉이 팀에 큰 보탬이 되려면 안티캐리가 되는게 좋습니다. 근데 도인비는 캐리력 자체는 가지고 있긴 한데, 본인이 라인전부터 압박하고 캐리하는 스타일은 아니죠. 그래서 안티캐리라는게 좀 무색합니다. 도인비는 라인은 신경쓰지만 일단 빨리 라인 밀고 어디론가 떠나는 선수죠. 물론 크라잉 본인이 성장하기엔 더 나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EDG 1, 2 경기 때처럼 할 수 있다면 좋은 기회가 올겁니다. 근데, 도인비 폼이 지난 여름부터 봤을 때 가장 좋아보여요. 선택하는 챔프 자체부터가 괴랄한 선수라 크라잉이 창조적으로 잘 대응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정글이나 바텀은 티안의 폼이 오른채로 유지가 되느냐, lwx가 얼마나 정신줄을 잡느냐에 따라 변수가 있어보이고, RNG 입장에선 밴픽이나 인플레이적으로 흔들어주는 모습이 필요합니다.

두팀다 뛰어난 운영을 가진 팀이지만, 방향성은 상당히 다릅니다. FPX는 기본적으로 인원이 많으면 이길 수 있다는 기조를 바탕으로 운영을 합니다. 원래 다이브 장인으로 유명한 팀이었고, 도인비의 로밍, 운영의 핵심이 비는 라인의 피해가 적을 타이밍에 다수의 인원이 가서 이득을 챙기고 내리고 온다가 기본 골조이거든요. 너구리는 이 팀 운영에 적합한 인재였습니다. 정글 보 시절에는 안 봐줘도 라인전 이기면서 탱이든 딜이든 다 해주는 선수였고, 요즘엔 팀이 봐주는 걸 바탕으로 엄청난 파괴력을 보여주고 있죠. 그리고 FPX도 이미지와는 다르게 굉장히 잘 들이대는 팀은데, 너구리도 좀 그런 경향이 있죠 크크

RNG는 그 때 그 때 꼭 필요한 일들을 잘 해주는 보편적인 운영을 잘 하는 느낌이죠. 발풀린 웨이/밍이야 운영면에서 현재 LPL 최고의 정글/서폿 듀오이고, 샤오후는 운영면에서 오히려 탑으로 가면서 자유도와 타이밍 면에서 더 이득을 보고 있습니다. 더불어 비슷하게 성장했거나 했을 때 한타 페이즈에서는 RNG가 정말 잘 합니다 웨이가 몰고 밍이 이니시하는 건 거의 미친 수준이죠.

그래서 결국 돌고돌아 너구리가 성장차이, 운영차이 낼 수 있게 샤오후를 억제할 수 있느냐가 결국 경기의 키 포인트가 될 겁니다. 혹시 샤오후가 말렸다면, 크라잉이 EDG 1, 2경기만큼 해줘야 되요. 물론 티안, lwx가 똥싸는 컨디션이면, 너구리가 샤오후를 박살을 내줘야 할 것입니다.

RNG나 FPX는 현 LPL팀들 중에서는 가장 DK를 괴롭힐만하지 않나 싶은 팀입니다. 그 이유는 크게 보면 공히 비슷한데, 1. 탑이 강하며, 2. 바텀에서 라인전 압박을 줄 수 있으며, 3. 운영능력이 뛰어나며, 4. 바텀 캐리력이 있는 팀이죠. 근데, 각론은 위에서 봤듯이 조금 다릅니다. 어느 팀이 올라오든 이 LPL 팀과 DK와의 경기가 올 상반기의 하이라이트가 될 것 같습니다.

FPX 3: RNG 1

MVP: 너구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프텔
21/04/18 12:15
수정 아이콘
DK와 LCK황부리그를 위협할만한 유일한 리그가 여기인만큼 오늘 결승이 기대됩니다.
21/04/18 12:20
수정 아이콘
전반적으로 보면 rng의 상위호환격인게 fpx라 승패는 거의 결정나있다고 봅니다. 다만 선수개개인의 컨디션 여하에 따라 뒤집힐수는 있겠으나
4강정도의 경기력만 유지하면 뭐..
21/04/18 21:52
수정 아이콘
봇듀오 티안이 경기력이 바닥이었다고 합니다 네 죄송요..
파핀폐인
21/04/18 12:30
수정 아이콘
저도 딱 3:1정도?
fpx 입장에서 승승패승 할듯요
서지훈'카리스
21/04/18 12:58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의견처럼 봇에서 터지지만 않으면 fpx 승리
감전주의
21/04/18 13:31
수정 아이콘
lwx가 얼마나 발사하느냐에 따라 fpx가 3:1이나 3:2 로 우승할꺼 같네요
21/04/18 13:58
수정 아이콘
아 역배 기다렸는데 FPX에 너구리라 저도 3:1 FPX 승 기대합니다.
오티엘라
21/04/18 14:07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MofV-m5d8M
어제 결승전 트래쉬토크가 선공개되었습니다. 중국어 대본 읊는 너구리가 귀엽게 느껴지네요. 5명의 월챔 우승자가 승리할 것이라며,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커피소년
21/04/18 14:17
수정 아이콘
10위까지 플옵진출인 lpl에서 5위니까 우리나라로 치면 대충 3정도인데 fpx가 진짜 이기면 역대급까지는 아니더라도 대단한 결과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것보다 너구리 vs 담원 이게 보고 싶으니까 fpx가 올라왔으면 좋겠네요.
팬케익
21/04/18 14:40
수정 아이콘
연아님 예상대로라면 오늘 우승은 RNG인가 크크
미소속의슬픔
21/04/19 02:15
수정 아이콘
성지순례왔습니다
Mephisto
21/04/18 16:18
수정 아이콘
전 경기처럼 샤오후가 숙이고 들어가면 RNG 필패라고 봅니다.
대신 샤오후가 칼들고 웨이랑 같이 탑에서 판깔고 바텀 알아서 해보라고 하고 3:3가면 그낭 컨디션 좋은 정글러가 있는 팀이 우승할거라고 생각하구요.
FPX여기서 삐긋하고 너구리 버티라고 하고 바텀파는 선택하는 순간 FPX패배확률이 급격하게 상승할거라 예상해봅니다.

그 외의 상황에서 발생할 변수를 따지면 원딜키우기조합에서 후반부 잘커놓고 던지는 Lwx, 중반부 너구리의 고립사, RNG가 유리할때 으쌰으쌰하면서 팀적으로 던지다가 역전당하기, 도인비의 클레드 두둥등장, 샤오후가 결국 트리스타나로 탑가는 밴픽구도 완성 등등이 있겠군요.
Cazorla 19
21/04/18 16:32
수정 아이콘
떡집 열릴듯..
프라이드랜드21
21/04/18 16:51
수정 아이콘
올해 흐름대로면 5꽉인듯
21/04/18 21:46
수정 아이콘
와~ 스코어까지 소름 돋네요. 제발 담원이 msi 광탈한다고 해주세요.
팬케익
21/04/18 21:47
수정 아이콘
연펠레 크크
김연아
21/04/18 22:00
수정 아이콘
담원 우승~ 담원 우승~
에바 그린
21/04/18 21:4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크 아니 크크크크 신기하네 크크크
인간atm
21/04/18 21:49
수정 아이콘
3:1 RNG승에 MVP 샤오후인가요 ? 라고 댓글 달려다가 이번에는 FPX가 이길거라고 확신해서 안 달았는데..
미카엘
21/04/18 21:54
수정 아이콘
롤계의 펠레...ㅜㅜ
Cazorla 19
21/04/18 21:59
수정 아이콘
성지순례..
Lord Be Goja
21/04/18 22:01
수정 아이콘
다시 읽어봐도 잘못된 부분이 없는데.. 중국인들이 잘못한거 같습니다.
사나이글스
21/04/18 22:02
수정 아이콘
롤계의 펠레...
황금경 엘드리치
21/04/18 22:07
수정 아이콘
소~름이네요 크크크크 이건 정확하다고 해야할 수준 크크크크
21/04/18 22:22
수정 아이콘
대단했다! LWX!!
얼척없네진짜
21/04/18 22:34
수정 아이콘
한번도 틀린적이 없다는 그 곳 맞죠?
21/04/18 22:39
수정 아이콘
MSI도 함께해주십시오 연아님!!
21/04/18 23:30
수정 아이콘
닉네임 변경하셔야할듯요 덯덜
라프텔
21/04/18 23:47
수정 아이콘
아니 이걸 역배가 정확히 덜덜덜
장고끝에악수
21/04/19 00:12
수정 아이콘
msi는 어떻게보시나요 크크
서지훈'카리스
21/04/19 00:33
수정 아이콘
이 분 반대로 재산 올인 하겠습니다.
21/04/19 09:29
수정 아이콘
Msi 예측좀
도뿔이
21/04/19 12:14
수정 아이콘
이 분이 한 예측이 거의 정배지 않았나요?
저야 LPL을 잘 모르지만 댓글만 봐도 동의하는 댓글은 봤어도
반박하는 댓글은 거의 못본듯?
우린 여기서 스포츠 도박 하면서 재테크니 이딴 소리하는게 얼마나
개소리인지 알수 있습니다.. 크크
카바라스
21/04/20 04:02
수정 아이콘
이번 lpl플옵이 역배가 쉴새 없이 터져서 C전문가들도 줄줄이 틀렸죠. 황하 수온체크하러간 중국토쟁이들 많을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855 [LOL] 고리를 영입한 농심.. 9승 고지에 입성하다 [111] Leeka16471 21/07/18 16471 4
71820 [LOL] 4대 메이저리그 중 가장 파괴적으로 잘하는 팀 [110] 라면19380 21/07/13 19380 1
71813 [LOL] LCK 팀들의 현재까지 주요 지표들 정리 [76] Leeka16122 21/07/12 16122 0
71794 [LOL] 1라운드가 끝난 현재 페이커 미드 지표 [66] 조휴일15287 21/07/09 15287 9
71729 [LOL] 페이커의 라인전은 정말 약할까? 이번 시즌 미드 라인전 지표 [284] 조휴일18591 21/07/01 18591 3
71656 [오버워치] [OWL] 전반기 결산 [18] Riina11073 21/06/22 11073 5
71621 [LOL] 우지의 국제대회 15분 도르는 어느정도였나? [37] Leeka13934 21/06/17 13934 0
71581 [LOL] lck 개막전 감상평 실망과 기대가 공존 [44] 로페17686 21/06/10 17686 3
71509 [LOL] 2021 스프링 ig가 엄청난 팀인 이유 [33] Rain#116680 21/05/27 16680 0
71489 [LOL] 중국 웨이보에 올라왔었던, 파워랭킹 산정 점수 [42] Leeka17933 21/05/24 17933 0
71477 [LOL] 베릴의 럼블스테이지 지표(feat. 라이엇) [70] Leeka14955 21/05/23 14955 0
71468 [LOL] 2021 MSI 4강전을 앞두고 올리는 4강팀들의 지표. [23] 초갼11048 21/05/21 11048 3
71346 [LOL] 데이터를 활용한 RNG 분석 (스압) [12] Spaas16895 21/04/28 16895 19
71331 [LOL] 개인적으로 LCK에 바라는 변화점 3가지 [57] 에바 그린15901 21/04/22 15901 9
71301 [LOL] LPL 플레이오프 패자조 결승 감상 및 결승전 예상 [34] 김연아15294 21/04/18 15294 3
71265 [LOL] 브실골 탈출에 대한 뻘글 [17] 라라 안티포바16204 21/04/11 16204 7
71227 [LOL] All Pro Team 투표 어떻게해야 좋은가? [73] 김환영12376 21/04/06 12376 2
71215 [LOL] 이는 롤을 야구보다 농구에 가깝다고 인식하기 떄문입니다 [44] 가온차트11441 21/04/06 11441 50
71207 [LOL] t1 프리미엄이 아니라 테디가 실력도르 탄것 [382] 비공개당당21251 21/04/05 21251 10
71202 [LOL] 롤 선수들의 전성기는 언제인가(지극히 주관적) [29] gardhi12776 21/04/05 12776 8
71187 [LOL] 첫 플레티넘 승급에 성공했습니다. [8] 라라 안티포바10280 21/04/03 10280 10
71183 [LOL] (기사) 지표로 선정한 2021 LCK 라인별 베스트 [15] rnsr13946 21/04/02 13946 5
71171 [LOL] 어제 한화 vs 농심전에서 미드차이가 이렇게 벌어진 이유 [86] Leeka17996 21/04/01 1799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