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8/19 23:07:00
Name 信主NISSI
Subject 건물막기에 대한 고찰
건물막기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선 유닛들의 크기를 먼저 알아보았습니다.

4-저글링, 마린, 매딕, 고스트
5-일꾼, 히드라, 파이어뱃, 질럿
5.5-하템, 다템
6-디파일러
7.5-벌처

위에 열거하지 않은 유닛들을 대상으론 실험하지 않았습니다.

건물의 양 옆의 빈칸 수치입니다.
좌-----------우
3.5---배럭----2
1.5---서플---2.5
1.5-아카데미---1
3.5---엔베---3.5
3.5---벙커---3.5
3.5--파일런--3.5
2.5---포지---2.5
2.5---포톤---2.5
3.5--게이트--3.5

건물의 위아래의 빈칸 수치입니다.
위----------아래
1.5---서플-----1
1.5---배럭----3.5
0---아카데미---2
1.5---벙커----3.5
3-----엔베----4.5
3.5--파일런----3
3----게이트----3
1.5---포지-----3
2----배터리---3.5
2-----캐논----3.5

위와 아래, 왼쪽과 오른쪽의 건물 빈칸을 더한 숫자보다 유닛의 숫자가 적으면 통과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건물이 대각선으로 걸쳐있을 경우엔 양옆으로 붙어있는 것과 같은 판정을 받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저글링은 마린이나 매딕보다 실제로 조금 더 작습니다만, 건물과 건물사이를 통과하는데는 같은 크기입니다. 디파일러의 경우엔 건물의 양옆을 통과할 때는 크기가 6이지만, 위아래를 통과할때는 5.5이더군요... 수치야 제가 임의로 정한 것이니까, 템플러보다 디파일러가 약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벌처도 건물의 옆으로 지나갈때는 7.5지만, 위아래를 지나갈때는 7입니다. 양 옆보다는 위아래가 수치보다 조금 더 넓은 것 같습니다.

타일도 빈칸이 있는데요... 저도 정확하겐 잘 모르고, 아쉬월드타일의 경우 빈칸이 좀 넓습니다. 또, 스페이스타일의 경우엔 막혀있다가 반대쪽이 건물로 막히면 지나갈 수 있는, 약간의 버그가 있는 것도 발견했었는데요...정확하겐 기억나지 않지만, 스페이스와 언덕타일의 모서리가 걸려서 막힌 경우에 그랬던 것 같습니다.

아직은 정확하지 않아서, 누군가 나서서 저보다도 더 명확하게 정리해 주시길 바라며. ^^; 이만 글을 마치죠. 저를 비롯한 많은 하수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8/19 23:54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입니다.
그런데요, 유즈맵 세팅의 성큰 디펜스라는 게임을 하다보면(성큰을 이용해 유닛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게임이죠), 잘 붙어있는 성큰과 성큰 사이를 저글링과 고스트는 쉽게 통과하지만, 마린과 메딕은 돌아서 갑니다. 그 점을 봐서 저글링과 고스트가 마린,메딕보다 조금 더 작은 유닛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뱀다리) 질럿의 크기는 몇인가요?
信主NISSI
04/08/20 00:00
수정 아이콘
질럿을 빼먹었군요. ^^;; 질럿까지 추가했습니다. 크기는 5입니다.
클레오빡돌아
04/08/20 00:10
수정 아이콘
알아보기 좀 곤란한점이 없지 않아 있네요 ^^;
이런거는 스크린샷으로 첨부하면 정말 확실할텐데.. 그건 너무 번거롭죠.. ^^; 아무튼 좋은 정보 주신 信主NISSI 님 꼐 감사드립니다.
信主NISSI
04/08/20 00:33
수정 아이콘
네.. 누군가 대신 제 글을 잘 정리해 주셨으면 하는 바람이... --;
04/08/20 00:58
수정 아이콘
제가 하겠습니다!!!!!!








라고 말하고 싶다 ㅠㅠ
Forgotten_
04/08/20 01:08
수정 아이콘
^^ 좋은 정보네요.. 그런데 사실 입구막기에 있어서 중요도가 있다고 할 수 있는 유닛은 저글링, 럴커, 마린, 벌처, 질럿, 드라군, 3종족 일꾼 정도인 것 같습니다. 드라군도 정리해 주셨으면 좋았을 것을..ㅠㅠ

그리고, 입구를 막을 때는 벽과의 관계도 중요합니다. (사실 이게 더 중요할지도 모릅니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의 보통 플랫폼과 스페이스 타일의 사이는 좀 갭이 적은 편이고,(그래서 머큐리에서 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럭 하나로 막으면 드라군은 못들어갑니다.) 애쉬월드의 언덕지형은 갭이 상당히 큰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레퀴엠에서 미네랄 옆을 저글링이 통과합니다.) 뭐 그런 관계들도 약간 특이한 경우들이 있더라구요. 귀차니즘때문에 실험은 못해보고 있습니다만..-_-a
04/08/20 01:10
수정 아이콘
탐정님//마린과 저글링 고스트 다 크기는 똑같은데
크기는 똑같은데;; 가끔식 그런경우 있다는;; 그 레퀴엠에서~
압마당 미네랄 같은 경우^^;; 고스트도 됄듯^^;;
[S&F]-Lions71
04/08/20 01:29
수정 아이콘
마린과 메딕은 크기가 약간 다릅니다.
일꾼간에도 크기의 차이가 있습니다.
SCV 드론은 같지만 프로브는 약간 작습니다.
입구를 저글링 한마리로 홀드하면 SCV 드론은 못 통과하지만 프로브는 통과합니다. 히드라리스크도 통과하지요.
제 경험으로는
SCV > Drone > Hydralisk > probe
medic > marine
의 순입니다. (메딕과 프로브의 크기 차이는 모릅니다.)

그리고 똑같이 배럭스와 서플라이디포우를 이용하여 막아도
위치에 따라서 저글링이 통과할 수 있기도 하고 안되기도 합니다.
좀더 고찰이 필요합니다.
승순이*^^*
04/08/20 01:32
수정 아이콘
매딕이 마린보다 좀더 크고.........
젤위님말대로 성큰디팬할때 고스트가 다통과하죠....................
(그럴땐 밑에다 드론을 그냥 쌓아서 일렬로 세우면 그건 안통과한다는.....)
信主NISSI
04/08/20 01:39
수정 아이콘
[S&F]-Lions71님// 하하하... 제가 실수로 배럭스의 왼쪽 빈칸을 2로 했네요... 1.5입니다. 배럭의 왼쪽에 서플이 있으면 저글링이 통과하지 못하고, 오른쪽인 경우엔 통과합니다. 단, 위아래를 겹쳐두면 통과하지 못하죠.

그리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건물과 타일의 외곽의 빈칸 때문에 막히지 않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배럭과 서플2개로 막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 타일과 상관없을 정도로 충분한 범위를 차지하거든요. 물론 서플2개를 나란히 하면, 저글링은 통과합니다.
Don't know ⓨ?
04/08/20 03:47
수정 아이콘
다시한번 정리하자면...음



머리아플듯 -_-;;
04/08/20 04:03
수정 아이콘
헉헉.. 이런걸 어떻게 알수있죠?
JuStwiN[Bp]
04/08/20 11:36
수정 아이콘
고스트는 레퀴엠에서 12시, 6시 앞마당 미네랄은 지나가는데 3시,9시는 못지나가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04978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75264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42615 13
81146 [기타] 베데스다 소프트의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한국 지역락 이유가 대충 나온 것 같습니다. [41] kapH1672 25/04/25 1672 1
81145 [LOL] 2025 시즌 쵸비 상대로 무패를 달리는 미드 [36] 비오는풍경7451 25/04/24 7451 2
81144 [발로란트] 왕조의 몰락 LOUD, 리빌딩 움직임 시작. [5] 일렉트2771 25/04/24 2771 0
81143 [마비노기 모비일] 점검 + 3캐릭 키운 시점에 써보는 마비노기모바일 뒷담화 [16] 겨울삼각형3364 25/04/24 3364 0
81142 [발로란트] 퍼시픽 리그 한국팀 DRX, Flashback 선수 샌드다운 결정. [4] 일렉트3795 25/04/23 3795 1
81141 [LOL] (LoL esports X) 역대 최고의 다전제는? [78] 라면7220 25/04/23 7220 0
81140 [발로란트] 끝없이 추락한 FURIA, 리빌딩을 위한 움직임 보인다. [2] 일렉트3019 25/04/23 3019 0
81139 [LOL] 데프트가 평가한 BFX 바텀 [32] 반니스텔루이8318 25/04/23 8318 3
81138 [스타1] ASL 시즌 19 8강 대진표.JPG [16] insane4992 25/04/22 4992 0
81137 [발로란트] 한국 챌린저스팀 T1 Academy, Pkm 선수 합류 [4] 일렉트2801 25/04/22 2801 0
81136 [오버워치] OWCS 챔피언스 클래시 리뷰 - 크레이지 라쿤 우승 [2] Riina2013 25/04/22 2013 0
81135 [LOL] 유명 프로게이머 코치 결국 입영 [188] 카루오스15551 25/04/22 15551 1
81134 [발로란트] 지각 변동이 일어난 VCT 아메리카스 리그 [9] 일렉트2893 25/04/21 2893 0
81133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5주 3일차 경기 요약. [2] 일렉트2376 25/04/21 2376 0
81132 [LOL] 주6일제는 해야하지 않을까? [93] grrrill8496 25/04/21 8496 10
81131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5주 2일차 경기 요약. [2] 일렉트3950 25/04/21 3950 0
81130 [LOL] 씨맥 징동과 계약 해지 [55] 미드나잇블루11395 25/04/20 11395 1
81129 [스타1] 스타3(SC3 Evolution) 출시 및 대회 참가자 모집 [3] HLSJ4054 25/04/20 4054 7
81128 [발로란트] VCT 중국 리그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오다. [10] 일렉트3682 25/04/20 3682 0
81127 [LOL] 2024년 T1 영업손실 -88억 원 [132] 하이퍼나이프12116 25/04/20 12116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