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11/15 00:34:04
Name 아츠푸
Subject [LOL] 현재 대천사의 지팡이에 버그가 있습니다 + 패치 방향 관련 생각 (수정됨)
현재 대천사의 지팡이에 치명적이라면 치명적인 버그가 있습니다.

http://m.inven.co.kr/board/lol/2786/12819

사실 어제부터 알려진 버그긴 한데, 인벤 외에서는 잘 모르시는 분들이(심지어 분석하시는 유튜버분들도 모르고 계시더군요) 많아서 한번 환기시키고 회원분들의 플레이에 있어 불상사를 막기 위해 써봅니다.

지금 대천사의 지팡이는 이번에 새로 바뀐 계수에 최대마나가 아닌 추가마나가 적용되는 버그가 있는데요.(마다, 주문력 둘 다) 크게는 주문력 6~70까지도 손해보는 버그인데.. 사실 이번에 대천사의 지팡이는 명백한 너프를 받았거든요 ㅠㅠ(내 보호막..) 그런데 그 너프보다도 어찌보면 더 심한 버그가 걸려있는 상태라 지금은 아예 사용을 금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나 라이즈, 애니비아, 카사딘을 하시는 분들은 절대 대천사의 지팡이를 가지 마시고, 왠만하면 버그 수정 전까지 이 챔피언 자체를 안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 3개 챔피언의 승률이 특히나 폭락한 것은, 대천사 자체의 너프 영향도 있지만, 저 버그의 영향이 훨씬 더 크다고 보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즉 저 챔피언 3개의 승률 폭락을 설명할 때 대천사의 지팡이의 버그가 언급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여눈을 가는 챔피언들 중 무라마나를 가는 챔피언들은 승률이 오르거나 횡보하는 반면, 대천사의 지팡이가 핵심 아이템이었던 챔피언들은 너나할것 없이 전부 심각하게 폭락했습니다. 특히 대천사의 지팡이의 아이템 자체의 승률이 유독 낮습니다.

이런 버그는 진짜 게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버그랑은 다르게, 라이엇도 좀 지난 다음에야 알게 되는 경우가(실제로는 크리티컬한 버그임에도 불구하고)있어서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아 올려봤습니다.
------------------------

이러한 버그가 현재 프리시즌 패치로 인해 산재하고, 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 심지어 프리시즌 대격변은 왜 하는지 모르겠다 는 의견들이 올라오고 있지만, 저는 어떠한 방향이라도 무조건적으로 변화는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잘 된 변화>>어설픈 변화>>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부등호로 따지면 이정도라고 볼 수 있겠네요.

유저들은 본래가 보수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게임에 큰 변화가 일어나면 반동이 일어날 수 밖에 없는데요.

이러한 생각이 정말 주류를 이루는 것처럼 호도되어, 롤이 앞으로 프리시즌이나 미드시즌에 대격변을 하지 않게 된다면, 게임 자체를 즐기는 유저 입장에서는 참 슬픈 일입니다.(특히나 미드시즌 대격변은 안정적인 롤드컵이라는 핑계로 예전에 비해 많이 간소화되었죠 ㅠㅠ)

블리자드의 오버워치나, 스타크래프트 프랜차이즈는 이를 지키지 못해서 몰락하고 있다고 보고 있는데, 비록 어설픈 변화고 버그가 산재하는 패치일지라도, 더 많은 재밌는 변화를 유저들에게 전달해 주었으면 하는 한 유저의 바람입니다.(비록 그 변화가 나중에 실패로 귀결될지라도)

이번 아이템 대격변도, 결국 라이엇의 손길을 거쳐 성공적인 패치로 거듭나기를 기원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라 안티포바
20/11/15 00:36
수정 아이콘
헉 오늘도 칼바람 일퀘하려고 대천사 갔었는데 그런버그가 있었군요. 강타버그랑 부패버그만 알고있었는데...
클템이 말한대로 라이엇은 완벽주의보다 빨리내고 빨리수습한다는 주의라서, 결국 프리시즌 지날 무렵엔 그럴듯한 변화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StayAway
20/11/15 00:37
수정 아이콘
일러스트 같은 건 길게보면 소소한 문제고, 심플하고 직관적으로 아이템 체계가 바뀐건 좋습니다.
근데 기존 아이템 시스템이 수년간 조정되며 이어오던 시스템이란걸 생각하면 한 동안은 밸런스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리라고 봐요.
다시 자리잡는데 몇 달은 걸릴거 같네요.
아츠푸
20/11/15 00:39
수정 아이콘
룬 대격변때도 처음에는 밸런스 문제가 좀 있었죠.
황무지에서 분석하는거 좋아하는 저한테는 오히려 지금이 한 해중에 롤이 가장 재밌는 시기이기도 하네요 크크
모찌피치모찌피치
20/11/15 00:52
수정 아이콘
게임 돌렸다가 부패 사고 싶은데 첫 판에 부패 물약 찾을 수가 없어서 1분 동안 찾아보다가 시왜물 들고 도란검 스타트 했습니다... 상점 인터페이스 너무 별로 같아요. 소모형 탭을 하나 더 만들던가 하지 왜 사이드로 따로 빼놨는지
데프트
20/11/15 01:40
수정 아이콘
악 너무 귀엽잖아요! (죄송..)
저는 사용자설정으로 시뮬레이션 해보고 랭크들어가려구요
20/11/15 00:58
수정 아이콘
유저들응 대체로 변화를 싫어하더라고요.
예를 들면 스타1, 그리고 카오스.
그놈의 정석은 언제까지 해먹은 건지 고여서 썩은 내가 풀풀나도 하더라고요.

썩는 거 막으려면 게임사에게 억지로 물갈이 해줘야합니다. 어차피 고인물들은 툴툴 거려도 돌아오거든요.
라라 안티포바
20/11/15 01:36
수정 아이콘
저는 뭐 기존 요소에 매력을 느끼고, 이후에도 관성적으로 해오는 기존 유저들이
그 요소의 변화로 불만을 느끼거나 접는건 어느정도 자연스러운건데...
스타1 리마스터 소식 이후에
스갤 등지에서 최대한 있는 그대로 내서 다시 한 번 영광을 재현할거라 굳게 믿으면서
회의적으로 바라보던 사람들 충몰이하는거보고 역겹더라구요.
여기서는 그나마 대놓고 못하니까 간접적인 뉘앙스로 나타내곤 했었는데...
단축키 설정으로 뭐라하던 근본주의자 분들도 기억나네요.
나중에는 싹 세탁해서 그렇게 예상하던 사람들이 어딨냐 하는데 할말이...
20/11/15 02:51
수정 아이콘
한참 리마 나온다 했었을때 신규유입 늘거고 롤따윈 상대도 안될거라고 흥행에 큰 자신감 드러내던 유저가 여기에도 있었죠.. 지금은 활동 안하는걸로 알지만요(..)
진짜 스타1으로 온갖 어그로 끌던..
20/11/15 01:00
수정 아이콘
프리시즌 지나고 본시즌 시작하면서 이제 몰랐던 버그같은? 일들이 일어날건 확실합니다 크크크 그러면서 빡친 라이엇의 칼픽스도 볼수있을거 같습니다 크크크
딱총새우
20/11/15 01:08
수정 아이콘
저는 아이템은 적응되면 평가 좋아질 것 같은데, 만능의 돌 살리는게 맞는건가 싶더라구요.
20/11/15 08:57
수정 아이콘
만능의돌 꿀잼임 크크
20/11/15 01:08
수정 아이콘
신화템 가성비를 좀 애매하게 해서 마지막에 올리거나 올리는 타이밍을 좀 늦췄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기사조련가
20/11/15 01:20
수정 아이콘
그런 의미에서 프랜차이즈도 해야되요ㅣ
아츠푸
20/11/15 01:25
수정 아이콘
게임과 제도의 영역은 다르니까요. 굳이 관련 없는 논의를 여기에 끌고 오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기사조련가
20/11/15 01:31
수정 아이콘
전 밑줄 다음 내용보고 댓글 단건데요. 관련있지 않나요? 잘된 변화 어설픈변화 아무것도 하지 않는것 이론에 따라 아무것도 안하고 프차없이 있으면 그냥 리그 망해서 중국에 유망주 갔다 바치는 리그 인증밖엔 안되서요...
아츠푸
20/11/15 01: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맥락을 보시면 당연히 게임에서 그렇게 생각하는 거라고 읽히실텐데..
기사조련가
20/11/15 01:35
수정 아이콘
블자랑 스타 프랜차이즈 이야기하시길래요. 같은 맥락이라고 봐서요.
아츠푸
20/11/15 01:36
수정 아이콘
그 프랜차이즈와 그 프랜차이즈는 다릅니다.. 제가 말하는 프랜차이즈는 게임 자체의 프랜차이즈를 말합니다.
일반상대성이론
20/11/15 01:38
수정 아이콘
적응기라 가시성이 너무 떨어져서 문제네요

어이템 숫자도 엄청 늘고 이미 아는 템들도 능력치 죄다바뀌어서 언제 적응을 다 할런지..
20/11/15 02:00
수정 아이콘
저는 느낌이 공지 표기가 잘못된거 아닐까 생각되네요? 제가 요새 유성코그모하는데 대천사의 포옹으로만 올라가는 AP만 110~120정도 되는데 버그라 낮게 나온다고 치면 원래는 150이상 나와야 된다는 이야기고 하나의 템으로 올라가는 AP 생각해보면 너무 높은거 같아요. 여기에 루덴이나 리안드리 추가 마나 600해주면 지금도 거의 150~160정도 나오는상태라 지금도 개 OP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아츠푸
20/11/15 02: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른 챔피언뿐 아니라 코그모 템 승률 보시면 대천사 템 승률이 심각하게 낮습니다. op라고 생각하신다면 그건 착각이십니다.
애초에 이번 템 컨셉 자체가 쿨감, 보호막,마나소모량 감소,절대 마나량 다 까고 대신 준게 압도적인 주문력이라 그것 이상은 나와야 템 효율이 뽑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원래 변경 전이 최대 마나의 3%였습니다.. 중요한 옵션 다 떼고 추가마나로 다운그레이드 된거면 그게 더 심각한데..
20/11/15 03:02
수정 아이콘
통계를 맹신하면 안되지만 유의미하게 승률이 낮게 나오니 안좋다고 보는게 맞겠네요 체감은 지금도 라인 메이지들 하고 상대가 안되는데 여기서 AP 더 올라가면 얼마나 쎈건가 생각이 드는데 말이죠 흐흐 제가 원딜이라 너무 원딜 감수성으로 생각했나 봅니다ㅠ
아츠푸
20/11/15 03:03
수정 아이콘
코그모 하시면 더 체감되시지 않나요? ㅠㅠ 완전 똥템중에 똥템이 지금 대천사입니다.. 절대 가지마셔요..
20/11/15 03:05
수정 아이콘
지금 원딜 자체가 개구데기라 AP코그모로도 라인전 날먹하고 충분이 중후반 한타에서 영향력 끼칠수 있다고 생각해서 쎄다고 느꼈었거든요...
20/11/15 02:07
수정 아이콘
대격변이 옳죠
저도 큰 변화는 싫어했는데 롤 보고 생각을 고쳐먹었습니다.
올해는다르다
20/11/15 02:14
수정 아이콘
몇판 해보니까 아이템 대격변 자체는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거 같습니다.

1) 솔랭 ad 암살자는 op이고 대회에서는 쓰레기인걸 하위구간에서는 힘을 빼고 상위구간에서는 변수를 둠
2) [초심자도 추천템만 딱딱 누르면] 숙련자와 별 차이없게 템을 맞춰나갈 수 있음

아이콘의 가시성이 떨어지는거도 초보자용 템추천 인터페이스에서는 엄청 크게 보이니까 괜찮아보이는데 이거 이미지 축소됐을 때 가시성 높여주는거랑
아이템간의 밸런스 조정(이거야 몇번 패치하면 쉬우니까) 해주면 좋은 패치 같습니다.
20/11/15 02:52
수정 아이콘
신화템은 밸런스만 좀 잘 맞춰놓으면 좋겠더라고요 처음엔 좀 부정적이었는데 몇번 해보니깐 생각보다 괜찮더라고요
근데 아이템 아이콘이 참..
20/11/15 07:27
수정 아이콘
어쩐지 챔피언 마나가 2500인데 고유효과로 인한 추가주문력이 83인가밖에 안오른다고 떠서 어디가 잘못됬나 했는데
(리안드리600 + 대천사1000 + 대천사 마나증가효과)의 5%라고 생각하니 대충 맞네요
20/11/15 09:40
수정 아이콘
고치는건 좋은데 상점 인터페이스랑
바뀐 아이템 아이콘이 눈에 딱 안들어와서 매우 불편하더군요.
적어도 인터페이스는 적응을 나중에 한다 치더라도 템 아이콘 가시성만큼은 해결해줬으면 좋겠습니다.
후유야
20/11/15 12:35
수정 아이콘
팀원들 궁극기 유무 알 수 있는 아이콘이 계속 지도 위에 있어서
화면 왼쪽으로 옮겼는데도 시작하면 다시 원상복구 되더라구요.
이것좀 고쳐줬으면..
20/11/15 12:47
수정 아이콘
일부 설정이 계속 초기화되는 버그 몇년 됐는데 최근 두달새 더 심해진거라 못고친다고 봐야..
후유야
20/11/15 12:54
수정 아이콘
아 그게 전부터 있던거군요. 이번에 대격변 패치하면서 새로 생긴줄 알고
나중에 픽스 되겠거니 했는데..
이거 말고도 칼바람 시작하면 처음에 팀원들 체력바가 제대로 표시 안되는 것도 있고
자잘한 버그들이 눈에 띄네요
20/11/15 13:09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있던버그가 롤드컵 패치 후 부터 심각해졌드라구요..
다리기
20/11/15 13:00
수정 아이콘
저는 스탯창에서 스킬가속이 얼만지 아예 안나옵니다.
공격력 공속 등등 표시되는 창있죠. C나 컨트롤C 해서 보는 그 창에
스킬가속 란만 비어있어요. 클릭도 안되고. 다른것들은 누르면 채팅창에 나오는데..
같은 팀은 제 스탯을 보고 채팅창에 찍어주던데 제 컴에선 아예 안나오더라구요.
진짜 인디게임 대단하다 싶었습니다.
관장약한사발
20/11/15 17:30
수정 아이콘
저는 그게 하단인터페이스 왼쪽 빈곳에 가속만 따로 나오더라고요. 미니맵 왼쪽설정씁니다.
다리기
20/11/15 19:39
수정 아이콘
저도 미니맵 왼쪽으로 쓰구요.
확인해보니 진짜 챔프 사진 왼쪽에 나오네요 크크크크크
와 대박 상상도 못한 누더기게임 정말...
네~ 다음
20/11/16 06:01
수정 아이콘
미니맵 왼쪽으로 쓰는데 매판마다 바꿔줘야 하는거 실환가?

그리고 스킬가속도 아예 왼쪽에 띄워져 있는거보면 그냥 강제로 오른쪽 미니맵 쓰라는 뜻인가 싶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526 [LOL] pc방 점유율 따인 기념 pc방 롤 흥행의 역사 정리 [20] 마라탕11097 23/07/09 11097 1
77077 [LOL] 올해 롤드컵에 '버추얼 패스' 도입 예정 [40] slo starer12537 23/04/21 12537 2
76520 [LOL] 김동준 해설 LCK CL로 복귀 [85] SAS Tony Parker 15564 23/01/05 15564 6
73457 [LOL] TSM은 과연 LCS 팀인가 LPL 팀인가 [42] 달은다시차오른다11023 22/01/15 11023 0
72128 [LOL] 롤할때 사용하면 좋은 추천프로그램 + 장례식에 틀 영상 [8] 랜슬롯20776 21/08/24 20776 10
71862 [LOL] 투 웨이 제도 도입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18] 두룬17808 21/07/19 17808 0
71686 [LOL] 시간 지나고 다시 본 KDA - MORE과 세라핀에 대한 감상평: 과연 그렇게 욕먹을만했는가 [57] 랜슬롯20108 21/06/26 20108 3
70923 [LOL] 과연 이스포츠에서 팀팬은 존재할 수 있을까? [184] 及時雨15054 21/02/28 15054 12
70594 [LOL] LPL 플레이오프 포맷 변경 [116] ELESIS14210 21/01/10 14210 1
70281 [LOL] 롤인벤펌)DRX 씨맥 방송 발언 정리 [39] 아츠푸18480 20/11/28 18480 4
70166 [LOL] 무지하고 무식하고 알려하지도 않고... [53] 후추통15585 20/11/19 15585 43
70088 [LOL] 현재 대천사의 지팡이에 버그가 있습니다 + 패치 방향 관련 생각 [37] 아츠푸16271 20/11/15 16271 2
68631 [LOL] 리그오브레전드 e스포츠에도 드롭스가 생깁니다 [21] 타바스코14911 20/06/04 14911 3
67606 [LOL] 워싱턴 포스트 - 베팅은 과연 성공할수 있을까? [13] 라면11633 19/12/23 11633 2
67578 [LOL] 이변의 연속인 챌린저스 코리아 승강전 [35] 비오는풍경13923 19/12/18 13923 0
67391 [LOL] 서라벌 게이밍이 2부리그에 도전합니다. +@ 러너웨이 [53] Leeka16196 19/12/02 16196 5
67371 [LOL] 라이엇의 잘 벼려진 검. 프랜차이즈. [62] 후추통11864 19/11/29 11864 3
67260 [LOL] 러너웨이가 롤팀을 창단한다고 합니다 [45] 노랑끼파랑끼13735 19/11/22 13735 7
67134 [LOL] [Dot Esports] 라이엇은 외국인 선수 영입 규정을 폐지해야 한다 [60] e평w1평qe10841 19/11/19 10841 3
66955 [LOL] 올해 한국의 국제대회는 대체적으로 결과가 안 좋았네요 [17] 가스불을깜빡했다5799 19/11/04 5799 0
66771 [LOL] 몬테와 쏘린의 서머닝 인사이트를 기억하시나요? [38] 블레이즈11637 19/10/17 11637 3
66708 [LOL] 롤드컵은 왜 더블엘리미네이션 을 도입하지 않는걸까요? [83] realcircle12550 19/10/10 12550 1
66611 [LOL] 젠지가 보내는 메세지 [79] 바람과 구름12885 19/09/23 128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