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9/24 00:53:46
Name Leeka
Subject [LOL] 롤드컵 개막 하루 전.. 여러가지 정보들 (수정됨)

1. 한국팀은 10/3일부터 볼 수 있습니다.


한국 뺀 나머지 리그 팀은 다 9/25~9/26일에 볼 수 있습니다...ㅠㅠ



2. 플레이인 현재 정배는 다음과 같습니다


A조 - TL(북미 3시드) / MAD(유럽 4시드)
B조 - LGD(중국 4시드) / UOL (러시아 1시드)

* PCS 2시드인 PSG 탈론의 경우. 비자,출입증 이슈로 인해 주전들이 대거 임대선수로 교체되면서.
배당 사이트들에서도 러시아 1시드인 유니콘즈 오브 러브가 정배로 변경된 상태입니다.



3. 플레이인 ~ 4강까진 모두 같은 장소에서 무관중으로 진행됩니다.

결승전은 중국 정부가 자꾸 유관중 부릉부릉.. 분위기 풍기는거 봐서 왠지 입장할거 같다는 생각이..



4. 베트남은 참가하지 않습니다.

베트남 -> 중국은 갈 수 있는데
중국 -> 베트남 이동이 불가능해서..  불참합니다.



5. 도박사도르로 따지면 

우승 예상 - TES(중국 1시드)
우승권 - TES(중국 1시드) / JDG (중국 2시드) / DWG(한국 1시드)
4강권 - TES / JDG / DWG / G2 (유럽 1시드)
8강권 - DRX(한국 2시드) / GEN (한국 3시드) / SN (중국 3시드) / LGD (중국 4시드) / FNC (유럽 2시드)

정도의 예상이 정배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람에 따라 위치 변동이 있습니다만. 위 내용이 가장 무난한 정배라고 보시면 됩니다.)



6. 최대 경쟁자 간략 정보. 

-> TES, JDG
스프링은 JDG가 TES 상대로 3:2로 우승
서머는 TES가 JDG 상대로 3:2로 우승..

2시즌 내내 결승에서 풀세트 접전을 펼쳐서 우승,준우승을 나눠가진 만큼.  현 황부리그 양강으로 불리는 팀이며

특히 TES는 MSC에서 'T1, 담원, 젠지 상대로 5승 0패'를 찍으면서 한국팀을 신나게 때린 그 멤버들이기도 합니다. 


-> G2
사실 작년의 그 포스는 안나와서. 유럽의 저평가에 크게 일조하고 있는데 (저평가인지 진짜 내려간건지는 보면 알겠지만)
특유의 다전제 능력(메타 적응 능력) 을 지니고 있다보니 전세계적으로 폼이 내려갔지만 여전히 4강권에 꼽는 강팀이기도 합니다.

작년에 한국을 신나게 물먹인. 그 팀이라 LCK 입장에선 유일하게 복수하고 싶은 유럽팀이기도.



7. 조별로 의의의 관전 포인트 - A조

G2는 18 월즈에서도 베트남과 1승 1패
19 므시에서도 베트남과 0승 2패로..  베트남에 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G2와 같은 조인 수닝이. 이번 롤드컵 유일한 베트남 선수인 정글러 SofM 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8. 조별로 의외의 관전 포인트 - C조

더블리프트 - 레클레스 - 룰러라는..  '리그를 대표하는 롤드컵 밥먹듯이 나온 고인물 원딜' 들이 붙습니다. 

덤으로

TSM > 북미 롤드컵 최다 진출팀
FNC > 유럽 롤드컵 최다 진출팀
GEN > 한국 롤드컵 최다 진출팀

이라 '근본 팀들의 근본 원딜 대결' 이라고 생각하고 보면 의외의 관전 포인트가..


9. 대회 버전은 10.19입니다

글로벌 밴은 요네, 사미라 2챔프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9/24 00:56
수정 아이콘
C조가 구도는 제일 재미있을것 같아요. 그나저나 요네+사미라 글벤인건 신의 한수..
20/09/24 01:01
수정 아이콘
결승 가즈아
20/09/24 01:15
수정 아이콘
근데 그 4강까지 무관중이 스튜디오 무관중이 아니라 아예 호텔 숙소에서 하는 온라인 경기라는 얘기가 있던데 사실인가요?
20/09/24 01:19
수정 아이콘
원래 플랜이

-> 2주 자가격리를 한다
-> 자가격리 끝난 선수&관계자들만 호텔에 다 들어간다
-> 이제 선수&관계자들이 호텔밖으로 나가지 않고 - 이 호텔에도 아무도 안들어온다면. 코로나로부터 완전히 안전한 상태가 된다. (추가 감염 위협이 없음)

를 만들어서 4강까지 진행하는거라서. 호텔 밖으로 안나가는건 맞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건너서 본거라 사실 틀릴수도 있어서 본문에 적진 않았는데..)
20/09/24 01:24
수정 아이콘
호텔 메인 홀 같은 곳에서라도 임시 스튜디오식으로 했으면 좋겠는데 완전 숙소 온라인이라면 좀 재미가 덜 하겠군요.
차은우
20/09/24 01:41
수정 아이콘
4강까지 상하이 미디어 테크 스튜디오(상하이 SMI)에서 합니다.

저도 이거궁금했는데 켄지기자님이 이렇게 아까 댓글달아주셨어욤(https://pgr21.com/humor/398437)
20/09/24 01:44
수정 아이콘
오 감사합니다 보는 맛이 있겠군요.
20/09/24 01:44
수정 아이콘
오 그럼 좀 낫겠네요
켄지님 피셜이라니 오피셜을 본 느낌!
라라 안티포바
20/09/24 01:29
수정 아이콘
한국팀을 10월에나 볼수있단게 희소식이었던건 함정이죠;;
20/09/24 01:47
수정 아이콘
희소식인데

막상 개막 하루 앞두니깐 바로 못보는게 아쉬운..
김연아
20/09/24 12:10
수정 아이콘
222222
우그펠리온
20/09/24 01:52
수정 아이콘
플레이인은 무조건 통과라고 봐서 그냥 한국팀의 수준 체크나 선수들 몸풀이 겸, 그리고 lck팬들은 하루 빨리 경기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플레이인을 거치는 게 훨씬 좋다고 생각했는데 갑자기 베트남 빠지면서 이득(?)을 보는 바람에 못 보게 되서 아쉬워요.
20/09/24 05:12
수정 아이콘
어떻게 열리긴 열리는게 새삼 신기하다면 신기하네요..
윤형주
20/09/24 07:29
수정 아이콘
8강은 가겠지만 4강은 글쎄요.. 절반의 확률로 lck는 전부 8강에서 떨어질거 같긴합니다..
아무리 코로나19라지만 홈어드밴티지가 너무쎄요.. 역대급임..
다리기
20/09/24 09:01
수정 아이콘
LCK팀들 남은 기간 폼 잘 끌어올리면 좋겠네요.
조별예선도 어떻게든 1위를 노리는 게 유리하긴 한데
이번에는 왠지 8강 내전 나와서 한팀은 8강딱 될 것 같네요.

그리고 다른 건 몰라도 G2는 좀 박살내줬으면..
비행기타고싶다
20/09/24 09:28
수정 아이콘
노잼이든 경기력이 어떻든간에 한국 세팀중에서 우승팀이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요..
Rorschach
20/09/24 09:38
수정 아이콘
유관중 결정했는데 LCK내전 나오면 좋겠네요 크크크
아웅이
20/09/24 11:18
수정 아이콘
얼마전엔 tes, dwg, jdg가 정배였던거 같은데 그새 둘이 순위가 바뀌었나보네요
20/09/24 11:26
수정 아이콘
순서는 그냥 중국 붙여서.. 뭐 그런식으로 쓴거라서 같은 권내에서 순위까지 의도한건 아닙니다.. (초기엔 징동이 2위였는데 지금은 담원이 2위였던걸로 기억을..)
천지운
20/09/24 11:2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중국팀한테 다전제에서 지더라도 지투만큼은 꼭 이겼으면합니다
이쥴레이
20/09/24 11:22
수정 아이콘
너구리 선수 수술로 인해서 컨디션 난조가 없으면 좋겠네요.
fallsdown
20/09/24 11:33
수정 아이콘
준우승이래도 했으면 좋겠네요ㅠㅠ
롯데올해는다르다
20/09/24 12:58
수정 아이콘
결승전 만원관중이 tsm을 외치는 순간이 오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716 [LOL] Core of NA [9] ELESIS11937 21/06/29 11937 6
71032 [LOL] 다음 중 전성기 기량에 비해 성적이 가장 아쉬웠던 사례는? [151] GiveLove19599 21/03/12 19599 3
70690 [LOL] 데프트가 역대 킬수 1위를 기록했습니다 [25] 아마도악마가15868 21/01/23 15868 3
70253 [LOL] 더블리프트 은퇴 선언 [37] 대관람차15113 20/11/26 15113 0
69951 [LOL] 당신의 웃음벨은 무엇인가요 with 더블리프트 [53] 토루11514 20/11/07 11514 1
69797 [LOL] 2020 롤드컵 스크림 이야기 총정리 [58] 하얀마녀18628 20/10/30 18628 1
69549 [LOL] 롤드컵 일정표 업데이트 입니다. [19] Rorschach19870 20/10/03 19870 15
69487 [LOL] 롤드컵 개막 하루 전.. 여러가지 정보들 [23] Leeka13158 20/09/24 13158 2
69370 [LOL] 이번 롤드컵 참가자&참가팀들의 다양한 기록들 [7] Leeka7924 20/09/11 7924 0
69290 [LOL] 개인적인 기억으로만 떠올려보는 롤드컵 시즌별 예상들 [28] TAEYEON10740 20/09/06 10740 3
69263 [LOL] 진짜로 롤드컵 하나만 남은 데프트 [34] Leeka12414 20/09/03 12414 0
68992 [LOL] 재미로 보는 각 리그별 누적 MVP 포인트 통산 순위 [17] Ensis8632 20/07/27 8632 0
68967 [LOL] 프로게이머 역대 킬 순위 [15] 스톤에이지13611 20/07/24 13611 0
68778 [LOL] 4대리그 우승팀 기록 [3] Leeka9658 20/06/28 9658 1
68473 [LOL] [펌] TSM 대형사건발생 [84] telracScarlet23306 20/05/12 23306 4
68414 [LOL] 더블리프트가 밝히는 팀리퀴드의 IG 카운터 전략 [13] 가스불을깜빡했다12085 20/04/30 12085 0
68306 [LOL] 더블리프트 TSM 복귀 확정 [32] 비역슨10924 20/04/22 10924 3
68283 [LOL] 6년만의 우승, 대기록을 달성한 C9 [38] 비역슨11455 20/04/20 11455 2
68139 [LOL] 차라리 만우절 거짓말이었으면...JPG [10] 신불해58243 20/04/01 58243 0
68136 [LOL] LCS 9주차 요약 - 지켜진 LCS의 위상 [10] 비오는풍경9136 20/03/31 9136 2
67953 [LOL] LCS 6주차 요약 - 드디어 뚫린 C9 [22] 비오는풍경10551 20/03/04 10551 0
67799 [LOL] LCS 3주차 요약 - 북미의... [18] 비오는풍경9167 20/02/11 9167 4
67735 [LOL] LCS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18] 라면14387 20/01/27 1438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