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1/02 15:48
"이 상자를 열기 전에 한가지 명심할 점은 우리는 누구의 편도 아니다. 우리는 방송사 편도 아니고 정통부나 기업체 편이 아니라 소비자의 편이고 소비자 입장에서 생각해 볼 것이다. 골치아프게 숫자를 논하면서 각각 몇조의 돈이 들어가니 등등은 잊어버리기로 하자. 어떤 방식으로 가던 어차피 그 돈은 우리가 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구가 어색할만큼 일방적으로 한쪽의 주장만 실린 글이군요..
04/01/02 17:44
근데 객관성을 떠나서라도 방송사들이 수십조원의 손해를 국민들이 입어가면서까지 유럽식으로 바꿔야하는 이유를 내놓는 것들이 그다지 매력이 없습니다. 얼핏 들으면 솔깃하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니 적어도 저는 유럽식의 매력이 없더군요.
우선 이동형의 경우, 자동차에서 tv 를 본다고 하는데 운전하면서 tv 를 보는 건 말도 안되겠지요. 운전자가 안보더라도 tv를 틀어두면 시야가 가는 건 어쩔 수 없으며, 동행자가 있으면 더 하겠지요. 설령 한쪽에 세우고 보더라도, 액정에 드는 전력 등을 감안하면 누가 시동 걸어놓고 tv 를 볼지도 의문입니다. 지형의 경우는 잘 모르겠군요. ^^; 두메 산골처럼 산지에서는 중계기등을 따로 설치하지 않을까요. (모르므로 후략^^)
04/01/02 17:56
이 글을 읽고 정통부, MBC 등의 게시판을 돌아다녀봤습니다.
제가 느끼기에는 각 방식이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논란의 여지가 많더군요. 국민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비교실험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열린 공청회를 열어야 할 것 같습니다.
04/01/02 19:10
글을 퍼오신분의 의도를 의심하는 것은 아니지만, 요즘들어 갑자기 여기저기 게시판에 이와 비슷한 글들(정통부의 입장만을 대변한글)이 많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유럽식으로 하면 수십조원의 손해를 보는 것이 아닙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미국식이 훨씬 더 손해입니다. 하지만 미국식을 쉽게 버리지 못하는 것은 예전에 차세대 전투기 사업에서 논란속에 미국 제품을 고른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참고로 저는 신문방송학을 전공했습니다만 위에 나온 논리는 정말 엄청난 허위사실 유포라고 생각합니다. 유럽식은 다채널의 SD급의 화질로 미국식 보다 높은 수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식을 쓰는 나라는 미국밖에는 없습니다. 국제적 경쟁력은 미국식을 쓰면 떨어지는 것입니다. 또한 채널의 선택권은 당연히 유럽식이 좋겠지요. 평범한 사람들은 SD급과 HD급은 구별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또한 유럽식으로 한다고 모든 장비를 교체하는 것은 아닙니다. 비교실험을 거부하고 있는 정통부는 새해도 밝았으니 떳떳하게 비교실험에 적극 참여하기를 바랍니다.
04/01/02 22:21
제가 학교다닐때 2002년에 저의 학과(산업공학과)의 어떤 과목에서 팀별로 현재 사회의 여러가지 난항에 있는 사업을 선정해서 비교분석하는 기회가 있었는데, 이것도 채택이 되었었죠.. 그때 기억으론, 모든면에서 사실 유럽식이 우수했었습니다... 다만, 차세대전투기 선정에서 보는것과 같이 어쩔수없이(?) 정부에선 미국식을 선정해버렸지만...
04/01/02 22:28
쩝...자랑할려는 건 아닌데요...
집 거실에 50인치 파이오니어 pdp 쓰구 있는데요...503hdg... hd랑 sd 구분 못 하는건 집에 셋탑박스가 없거나... 아니면 티비 인치수가 30인치 내이면 아마 구분이 힘들 듯... 그리고 아무리 눈이 평범해도 화면비자체로도 지금 sd랑 hd는 무조건 구분되는데 -_- 마지막으로 hd 보는 요즈음의 소감으로는 dvd도 화질 구려 보입니다 -_-
04/01/03 00:01
글의 서두와 전혀 -_-; 상관이 없는 내용이네요...
얼마전에 MBC에서 유럽식과 미국식의 차이를 외국에까지 나가서 찍어왔었는데... 차이가 정말 크더군요 ㅡㅡ; 미국식은 미국만 사용하고... 유럽식은 10개국 정도에서 사용하고 있더군요.. ( 자세히는 모릅니다..;; 그렇게 봤던것 같아요...) 전 자세히는 모르지만 유럽식에 더 호감이 가더군요...
04/01/03 01:37
MasTerGooN님//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인데요..^^ 유럽식이라면 당연히 10개국정도에서 쓰는거 아닌가요? 아니면 유럽을 제외한 10개국인가요?
04/01/03 08:07
제가 얼마전까지 관심있게 지켜봤었던 사안입니다.
확실한 건 MBC 가 편향적인 방송으로 시청자 기만행위(??)가 분명히 있었다는 거구요. 이 점에 대해서 MBC는 두고두고 반성해야 할껍니다. 자세한 사항을 아시고 싶으신 분은 케이벤치의 http://www.keben.net/talk/;jsessionid=CCFEIHHGNKIM?bc=76 요쪽으로 가시면 조목조목 잘 아실수 있습니다. 역시 컴터쪽이라 그런지 관련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다른 HDTV관련 게시판과는 달리 토론다운 토논이 있습니다.
04/01/03 09:30
케이벤치 읽어봤는데 적어도 케이벤치에서는 미국식의 승리군요~ 방송국 기술자 분의 글도 봤는데 전문성이 좀 부족하신듯~ 한번 TV 토론 하면 재밌을꺼 같군요~ 물론 방송국에서 공정하게 패널 선정을 한다는 가정하에~ 결국 지금까지 얘기들을 들어보면 양측이 장단점이 있다는 얘기인데 그러면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투자한 돈이 있으니 지금 그대로 가게 되겠고 MBC 는 양보해 주는 대신 특혜를 받고 이런 식으로 마무리되겠군요~ 공정한 판단을 하고 특혜없이 승복하는 방식은 우리나라에서 힘들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