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5/20 01:00:00
Name 삭제됨
Link #1 https://www.youtube.com/watch?v=pWztKxBVNeo
Subject [LOL] 야마토캐논 샌드박스 신임 감독 인터뷰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0/05/20 01:04
수정 아이콘
올때는 목표가 1등이었겠지만

솔직히 지금 샌박 기대치로는 플옵만 가고 선발전만 어케 나가도 성공적인 시즌일듯...
Dreamlike3
20/05/20 01:07
수정 아이콘
마지막 말은 흔히 볼수있는 순위예상이나 각오 질문에서 나오는 지극히 무난한 대답이네요.
현실적으로 샌드박스는 1위는 커녕 플옵도 어려우니까요. 야마토캐논이 그걸 모를리도 없구요.
언어적인 문제와 코로나 이슈때문에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힘든 감독이 강등권 팀을 상승시킨다라... 개인적으로 예측컨데 아무리 상상해봐도 그림이 안나오네요
worcester
20/05/20 01:27
수정 아이콘
언어적인 문제는... 복한규 감독도 C9을 각성시켰는데 그 반대라고 안될 건 없다고 봅니다.
(여기서 통역의 질도 관건일 것 같아요. 박지선 통역만큼은 아니더라도.)

토마토캐논쯤이면 감독 자체의 능력은 어느 정도 검증되었다고 보고요. 샌박팬은 아니지만 아주 기대하고 있어요.
MicroStation
20/05/20 16:59
수정 아이콘
아무리 질럿을 한방에 못 잡는다고해도 토마토캐논은 너무 심한거 아닙니까!!?? 크크
비역슨
20/05/20 01:22
수정 아이콘
서밋 선수 인터뷰 보니 스프링 내내 팀적인 방향을 잡지 못하고 선수들이 방향성을 이해하지 못한게 아쉽다는 이야기를 하던데

그런 부분을 좀 잡아줄수 있다면 충분히 기대해볼만 할 것 같네요. 지금은 샌박에 대한 기대치가 박살났지만 개막 전에는 충분히 플옵권 전력으로 점쳐지던 팀이니
대관람차
20/05/20 01: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실줄 스타일은 본인보다 약팀을 찍어누르는 데에 최적화돼있다는 말이 좋네요.
G2는 공격적이고 스스로의 한계를 시험하다 보니 가끔 약팀에게 뜬금패할 때도 있지만 큰 무대에서는 그게 다 자산이 된다 이런 느낌
야마토가 G2와 오리젠 예시를 들었지만 올해 티원과 젠지도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젠지가 오리젠보다 비교도 안될정도로 훌륭한 팀이긴 하지만요

사실 G2는 퍽즈 말마따나 롤드컵 못가는게 불가능한 팀이다 보니 이런 큰 그림 그리기에는 좀 유리한 부분이 있죠.
(약간 논외긴 한데 올해 C9가 진짜 다를 것 같은것도 자국에서 워낙 어나더레벨이다 보니 이것저것 해볼 여지가 많아서..)
어찌보면 LCK가 경쟁이 워낙 빡센 리그고 플옵이 건틀릿 방식이다 보니 승점 하나하나가 너무 소중해서 우실줄 문화가 더욱 발달한 것이 아닌가 싶어요.
LPL도 경쟁이 빡세기는 한데 여긴 마인드가 남다르기도 하고 그래도 1-2등 3-4등 5-8등 이렇게 묶이다 보니 좀 숨쉴 틈이 있는 느낌이라고 해야하나..
개인적으로는 플옵 방식을 바꾸면 리그 경쟁력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거라 봅니다
사이퍼
20/05/20 02:40
수정 아이콘
공감하는게 lck에서 뭘 시도하기엔 1패하면 순식간에 순위가 떨어져서 결승전 직행에서 플옵으로 떨어지는 경우같은데 많아서 힘들어 보여요.
더치커피
20/05/20 09:26
수정 아이콘
근데 비슷하게 빡센 lpl에서 2연속 롤드컵 우승팀이 나오고 맨날 즐겜픽하는 ig같은 팀도 있는거 보면 리그 수준과는 큰 상관이 없는듯합니다..
아웅이
20/05/20 15:08
수정 아이콘
222 원딜 캐리 중심의 rng는 결국 롤드컵을 차지한적이 없고 IG와 FPX는 독창적인 색으로 성과를 냈죠.
이호철
20/05/20 03:37
수정 아이콘
목소리 개멋있네요.
20/05/20 03:41
수정 아이콘
샌박은 체급이 낮은데 우실줄 스타일을하니 문제였죠
팀 체질을 개선할 필요는 있어요
더치커피
20/05/20 09:27
수정 아이콘
일단 미드부터 서열정리해야죠
도브와 페이트 중 누굴 쓰려는건지...
20/05/20 05:24
수정 아이콘
야마토캐논은 왜 유럽에서 팀 못구하고 있던거죠? 안구하고 있던건가요? LCK나 LPL 오기 위해서?
비역슨
20/05/20 09:37
수정 아이콘
야마토캐논은 바이탈리티에 남고 싶어했는데, 팀과의 작별이 좀 늦게 결정되었죠. (11월 말 즈음)
그때는 괜찮은 서구권 팀들은 이미 헤드코치를 다 구해놓은 상황이라 맘에 드는 제의는 없었던것같고요.
처음부터 LCK행을 염두에 두지는 않았을것 같고, LEC 해설/분석 일 하는 중에 괜찮은 자리가 나면 언제든 코치로 복귀할 거라는 이야기는 했었죠
무민지애
20/05/20 10:45
수정 아이콘
플레이오프 정도만 가도 윈윈인데...아무리봐도 쓴맛을 제대로 볼 것 같습니다.
LCK는 소위 양학이 순위에 결정적이라 약팀일수록 상대팀이 더 집중하기 때문에...
샌박이 약팀으로 낙인이 찍혔는데 과연 외국감독의 매직으로 그걸 벗어날수 있을지 기대가 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645 [LOL] [LEC] Movistar KOI 월즈 진출 [9] DENALI8375 25/09/09 8375 0
81644 [기타] 난이도는 평가에 들어가야 하는가? 실크송의 평가 [51] 롤격발매기원9603 25/09/09 9603 0
81643 [LOL] lck결승전 지상파 중계진이 결정되었네요. [46] 카루오스7491 25/09/09 7491 3
81642 [오버워치] OWCS 코리아 스테이지 3 2주차 리뷰 [3] Riina3493 25/09/09 3493 0
81640 [LOL] 정보) 현재 전세계 월즈 진출 확정팀들 총 정리 [4] Leeka6620 25/09/08 6620 0
81639 [LOL] 스플릿 3에서 패패패패패패패패 를 한 PSG 탈론이 월즈에 갑니다. [5] Leeka6246 25/09/08 6246 0
81637 [기타] 올해의 최다 고티는 어떤 게임이 될까요? [75] Winter_SkaDi9229 25/09/08 9229 2
81636 [LOL] 재미로 보는 LCK 팀들의 젠지 상대 마지막 승리 [17] Leeka8296 25/09/08 8296 1
81635 [LOL] LCK 플레이오프를 못간 팀들은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10] Leeka7558 25/09/08 7558 0
81634 [LOL] 플레이오프 상위 1R 디플러스 기아 상황이 묘하네요. [108] 에쉐르15685 25/09/08 15685 2
81633 [LOL] PGR 승부의신 - LCK 2025 플레이오프 예측 이벤트 [171] 하이퍼나이프11551 25/09/07 11551 12
81632 [LOL] T1-DK 선택 [80] 카루오스13197 25/09/07 13197 1
81631 [LOL] 농심, 고생하셨습니다. LCK 플레이인 최종전 농심vsDK 후기 [95] 하이퍼나이프9010 25/09/07 9010 4
81630 [LOL] DK는 올라가고, 농심은 내려가고 [14] roqur6173 25/09/07 6173 4
81629 [발로란트] Movistar KOI, VCT EMEA 밴 [4] 다크서클팬더6549 25/09/07 6549 0
81628 [LOL] [LCP] 2/3번째 Worlds 진출팀이 결정되었습니다. [2] BitSae6058 25/09/06 6058 0
81627 [LOL] 딮기와 농심이 7위 결정전. 멸망전에서 만났습니다. [41] Leeka10408 25/09/06 10408 5
81626 [LOL] ok저축은행 브리온이 2025시즌을 마감하였습니다. [7] 카루오스7412 25/09/06 7412 3
81625 [기타] 대도서관. 자택에서 사망 발견 [60] SAS Tony Parker 13257 25/09/06 13257 1
81624 [LOL] 금요일에 갑작스런 트윗을 올렸던 플라이퀘스트 [14] 롤격발매기원8969 25/09/06 8969 1
81623 [LOL] DK vs BRO.. 두 팀중 한팀은 8위로 시즌이 종료됩니다. [43] Leeka8992 25/09/05 8992 2
81622 [LOL] 너구리vs여우, 플인을 가장 먼저 탈출한건 라이즈였다. LCK 플레이인 승자전 농심vsBFX 후기 [29] 하이퍼나이프7454 25/09/05 7454 3
81621 [LOL] 티원은 과연 bfx / 딮기 or 농심 or 브리온 중 누구를 고를 것인가 [30] 한입8385 25/09/05 838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