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4/21 13:14:13
Name Leeka
Subject [LOL] LCK 역대 우승팀의 공식적인 계보 (수정됨)
MiG -> 아주부 -> CJ -> 해체  (12 스프링 / 12 서머 우승)
EDG -> 나진 -> 콩두 -> 브리온 블레이드   (12~13 윈터 우승)
MVP -> 삼성 -> KSV -> 젠지 (13 스프링 / 14 스프링 우승)
ESG -> SKT  (13 서머 / 13~14 윈터 / 15 스프링 / 15 서머 / 16 스프링 / 17 스프링 / 19 스프링 / 19 서머 우승)
스타테일 -> KT  (14 서머 / 18 서머 우승)
KOO -> ROX -> 한화 (16 서머 우승)
팀 오피 -> IM -> 롱주 -> 킹존 -> DRX (17 서머 / 18 스프링 우승)



현재 버전으로 말하면

SKT : 8회 우승, 1회 준우승
KT : 2회 우승, 4회 준우승
젠지 : 2회 우승, 2회 준우승
DRX : 2회 우승
한화 : 1회 우승, 2회 준우승
브리온 블레이드 : 1회 우승, 1회 준우승
그리핀 : 3회 준우승
아프리카 : 1회 준우승


그리고 CJ의 2회 우승, 3회 준우승은 증발한 상태.
(덤으로 CLG.EU의 1회 준우승도 LCK에선 증발)

물론 내년 프차가 진행되면.. 트로피 몇개는 더 증발할수도 있습니다.


과거 계보가 형제팀 제도 / 3명 유지시 시드권 계승..으로 복잡하긴 한데..
KT도 하나는 스타테일의 시드권을 계승해서.. 나머지 하나는 짠.. 생겼고.

SKT도 사실상 현 T1인 페이커의 팀은 '그냥 짠.. 생겼지만'
당시 1팀이였던 래퍼드의 팀은 ESG 시드권을 계승해서 짠.. 생긴 팀이라 시작이 ESG.... 와 같은... 식이라

묶어서 계산을 진행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뚠뚠이
20/04/21 13:22
수정 아이콘
나진의 3연짜오가 벌써 8년 전의 일이네요. 브리온 블레이드가 프차 못할거 같은데 그 기록이 없어진다고 생각하니 세월무상..
Liberalist
20/04/21 14:12
수정 아이콘
게임뉴스 게시판 기사 보니까 브리온이 프차 신청 넣었다고 나오네요. 그 브리온이 브리온 블레이드가 맞다면 나진 계열 명맥은 계속 이어질듯 합니다.
뚠뚠이
20/04/21 14:29
수정 아이콘
브리온이 생각보다 자금이 많았네요.
곰그릇
20/04/21 13:23
수정 아이콘
해체된 CJ 커리어를 넘는 팀이 둘밖에 없군요
20/04/21 13:24
수정 아이콘
근데 CJ의 전신은 거품게임단 아닌가요?
아주부 두팀이 나중에 들어간거구요
20/04/21 13:26
수정 아이콘
이게 후 MVP가 '삼성 커리어를 커트' 하고 다시 생긴 MVP.. 인거처럼.... 결국 CJ는 거품으로 했지만 커트하고 아주부를 먹은 CJ로 변신.. 했죠..

현 그리핀도 스틸에잇이 콩두를 '브리온에' 넘긴 뒤..
스틸에잇이 그리핀을 사서 콩두 커리어는 브리온이 먹고..
그리핀으로 스틸에잇이 리셋 되었고요.
20/04/21 13: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기억엔 거품게임단, 아주부2팀

이렇게 3팀체제 아니었나요?

물론 당시 2팀체제였고 롤 마스터즈인가에도

얼주부 불주부가 나왔고

거품출신은 못나왔고 결국 다들 이적,은퇴했어서

그렇게 볼수도 있지만요(낀시 스페이스는 남았죠)


애초에 지존 어둠 클랜이 mig를 거쳐서
아주부 후원을 받다가
Cj엔투스로 들어간건데
이게 cj가 기존 거품게임단을 해체하고
새로 창단을 한건지
뭔가 정확한 소스가 없네요
20/04/21 15:07
수정 아이콘
기존의 팀을 해체하고 새로 창단한건 아니고 당시 기사들에선 프로스트/블레이즈 선수들을 영입한다 라고 나와있었습니다
3팀체제를 유지한적은 없고, 프로스트 블레이즈 영입 이후 기존 CJ선수들이 본인 거취를 정했죠. 롱판다, 다데, 인섹은 다른팀으로 떠났거나 은퇴했고, 낀쉬와 스페이스 선수는 남아서 프로스트의 멤버로 활동했어요.
CJ가 프로스트 블레이즈 선수들을 데려온 개념이라 팀의 역사까지 가져오는게 맞느냐는 논쟁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당시가 운영주체와 선수들이 나눠져있던게 아니라 그냥 선수들 그 자체가 팀인 경우라 역사를 가져와야 한다고 봅니다.
프로스트 블레이즈는 아주부가 창단한 팀이 아니라 원래 있던 팀에 네이밍 스폰서 개념으로 있던 상태라 프로스트 블레이즈 선수를 통째로 영입했다면 그냥 팀을 흡수했다고 봐야할꺼 같아요.
어쨌든 CJ입장에서 새 창단은 아니라 선수영입의 형태였으니 근본은 거품게임단이 맞죠.
20/04/21 16:18
수정 아이콘
하신 말씀이 맞는것 같습니다
도표로 표현하자면
거품게임단-cj엔투스-
지존어둠- mig -아주부 -

이 라인이 합쳐져서 cj엔투스 블레이즈,프로스트

가 되는 도표로 봐야죠

만약 저게 15년도 이후였으면 인수창단매각 이런거 촘촘히 살펴봐야겠지만요
20/04/21 14:04
수정 아이콘
만약에 아주부 두팀을 먹고
클템 피지컬이 아쉬우니 벤치로 보내고
인섹을 프로스트 정글러로 넣자
이렇게 됐다면? 이라는 가정도 있을수 있어서...

팀이 통채로 넘어가서 뭔가 cj가 팀을 산것처럼 보이는데 이게 선수가 그냥 고대로 넘어간것 뿐인지
(고대로는 아니지만 현대유니콘스-> 히어로즈 사례처럼요)

팀을 사서 계승한건지...
뭔가 애매한데
제가 cj의 근본은 거품게임단임 반박노노이게 아니라 저도 정확한 사실관계가 궁금해서요
20/04/21 13:38
수정 아이콘
나진이 살아있었군요? 크크크
20/04/21 14:19
수정 아이콘
KDM-BRB으로 바뀌면서 잊어버리신 분들도 있더라고요 크크
20/04/21 13:53
수정 아이콘
나진 전 EDG 가 LPL EDG 인가요?
아니겠죠?
트윈스
20/04/21 13:54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퍼리새
20/04/21 13:56
수정 아이콘
lpl edg는 edward gaiming이고 나전 전 edg는 extreme dive games로 약자가 달라요
20/04/21 13:57
수정 아이콘
익스트림 다이브 게이밍이였나 ..
다른 EDG 맞습니다
20/04/21 14:17
수정 아이콘
ESG는 SKT 1팀 시절을 지나서 진에어 팰컨스로 가지 않았나요? 14년까지는 팀에 시드가 귀속된 시절이 아니라 선수 따라 시드가 가던 시절이라, 그때까지는 선수 기준으로 따지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SKT 2팀(페이커의 데뷔팀)은 SKK로 이어져서 현재의 T1이 되었지만, ESG-SK1랑 SKS는 다른 팀이니까 ESG-SKT-T1으로 보는 건 조금 어긋나다고 생각됩니다. SKS가 IEM 우승을 거두긴 했지만, 롤챔스 우승을 한 적이 없어서 정통성 논란을 어느정도 비껴가긴 합니다. 그래도 이는 고려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파란무테
20/04/21 14:33
수정 아이콘
14년까지는 3명이상의 선수가 유지되면 시드가 유지되었으니 이게 맞을수도 있겠네요.
사실 애매하니, 라코에서 정식적으로 발표좀 해주길.
승률대폭상승!
20/04/21 15:53
수정 아이콘
진에어는 따져보면 esg sk esg jinair라서(탈퇴후 재결성하고 진에어가 됐죠) sk쪽 커리어가 맞다고 생각합니다만(팀에 호로가 여전히 남겨져 있어)
시드권이 선수에게 귀속되는 것과 팀커리어의 귀속은 인수 합병 창단 탈퇴 여러가지문구를 보고 판단해야
슼과 진에어의 공동역사라고 하면 편하지만
20/04/21 16:21
수정 아이콘
본문에 나열된 팀 우승기록만 따지면 [SKT 우승횟수 = 나머지 팀 우승횟수 전부]가 되는군요..
10월9일한글날
20/04/21 16:51
수정 아이콘
3우승은 없나 보니, 그래도 3준우승은 있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466 [기타] [루머] 올해 디아블로2 리마스터 공개 [91] dong-14854 20/05/11 14854 3
68465 [LOL] 한화생명이 템트, 제니트와 계약해지했습니다 + 서머 로스터 등록 규정 [13] Leeka10988 20/05/11 10988 0
68464 [모바일] 카테고리 설립기념 명일방주 이야기 [110] Cand9029 20/05/11 9029 1
68463 [TFT] 은하별 만족도 [37] 스위치 메이커12398 20/05/11 12398 1
68462 [LOL] T1 분석관 톨키에 대해서 [23] 타바스코20632 20/05/11 20632 8
68461 [TFT] [대회소개] 첫 TFT 공식 대회가 5월 15일부터 3일간 열립니다. [11] 삭제됨8543 20/05/11 8543 1
68460 [기타] 게임게시판 카테고리 변경 정보 [12] 라라 안티포바8593 20/05/10 8593 0
68459 [TFT] 현 챌이 쓰는 메타덱 + 대회예선 결산 AND 후기 [66] 삭제됨13642 20/05/10 13642 9
68458 [PC] 플레비 퀘스트: 더 크루세이더 리뷰 [16] 타카이9359 20/05/09 9359 1
68457 [LOL] 볼리베어 리메이크 [104] 모쿠카카18952 20/05/09 18952 0
68456 [LOL] 재미로 보는 'LCK 팀 유튜브 채널 순위' [29] 그대지킴이15596 20/05/09 15596 5
68455 [오버워치] 워싱턴 저스티스의 코리가 발로란트로 전향합니다 [18] Leeka11329 20/05/09 11329 0
68454 [LOL] 한화생명e스포츠 ‘Tempt' 강명구 선수와 상호 합의 하에 계약 종료 [66] 아카시아꽃이활짝폈네15405 20/05/08 15405 1
68453 [LOL] 롤관련 잡설. 자유랭크의 매운맛을 보고 느낀점. (+ 추천 정글러) [32] 랜슬롯11628 20/05/08 11628 1
68452 [기타] 2020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이 다시 돌아옵니다 [4] MiracleKid8587 20/05/08 8587 1
68451 [LOL] 메타 챔피언 탐구 1탄 : 무라마나 코르키 [79] elkyy14786 20/05/07 14786 20
68450 [LOL] LCK-LPL 최강팀을 정하는 미드 시즌 컵이 열립니다 [143] 라면17778 20/05/07 17778 4
68449 [기타] [스포일러 포함!] 너티독에 SJW가 묻는 과정과 전조들 [49] UGH!13506 20/05/07 13506 0
68448 [오버워치] 벤쿠버 타이탄즈 선수 전원 계약해지 [129] 삭제됨18337 20/05/07 18337 5
68447 [LOL] LPL을 비롯한 롤 관련 글을 개인적으로 더 이상 쓰면 안될 것 같습니다. [215] 신불해24346 20/05/06 24346 177
68446 [LOL] (스압) 대회기준 역대 챔피언별 베스트 플레이어 TOP 3 [60] Ensis18614 20/05/06 18614 39
68445 [LOL] LPL 토막 이야기들 [28] 신불해15080 20/05/06 15080 11
68444 [기타] 발로란트 짧은 소감 [96] 레게노21446 20/05/05 2144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