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4/21 04:02:31
Name 신불해
Subject [LOL] 전 RNG 탑 렛미의 플레이오프 예상과 개와 돼지의 싸움

전 RNG 탑 라이너 렛미가 평가하는 현 리그의 탑 선수들


"칸은 조작이 아주 뛰어나고 자신있는 선수. 다만 FPX에서는 다소 플레이가 아쉬웠다."


"김군을 보면 예전의 자신이 생각난다. 도구 같은 선수. 실력은 분명 좋지만 팀을 위해 많이 희생하는 선수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탑 라이너가 2명 있는데 한명은 성창형(圣枪哥 플랑드레)이고 다른 한명은 샤이형이다. 내가 보기에 탑을 하는 모든 유저들은 더샤이가 되고 싶어할 것 같다. 그런데 결국은 렛미가 되더라."


"샤이형 자신이 세계 일등이라고 말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그가 자신이 세계 2등이라고 하면 아무도 자신을 세계 제일이라고 감히 말할 수 없을 것이다. LPL에서 더샤이는 큰 산이다. 모두가 올려다봐야 한다. 마치 AD의 우지와 같다. LPL에 많은 AD들이 우지가 되고 싶어 하는데 결국 견줄 수 있는 선수는 한명도 없다. 내가 보기에 더샤이와 우지는 같다."


"줌은 굉장한 선수다. 하지만 줌의 가장 큰 적은 더샤이다. 더샤이라는 높은 산이 없다면 줌은 더 잘할 수 있다. 하지만 IG를 만나면 흡사 작은 동생처럼 되고 만다."







그리고 플레이오프 우승에 대한 예상으로는,(오늘 FPX와 TES전 이전에 한 말)


(RNG 주제가 나오자 몹시 흥분하고 짜증스러워하면서) "수닝에게 지는 건 몹시 실망스럽다. 시즌 초반에는 분명 괜찮았는데 후반부로 가면 갈수록 다들 이상해졌다. 물론 플레이오프에서 최대한 좋은 성과를 거두면 좋겠다. 응원한다."


"FPX와 JDG를 가장 높게 본다. FPX는 챔피언 팀이고 지금도 안정적이다. JDG는 원래 실력이 나쁘지 않았고 경험이 부족했었는데 저번에 결승을 간 적도 있고, 갈수록 좋아지고 있다."


"우승후보 랭킹을 꼽는다면 FPX를 1위로, JDG를 2위로, IG를 3위로 꼽고 싶다."


"IG는 다소 안정적이지 않는 것 같다. 초반에 문제가 늘 열세가 있곤 하는데 중반에 기괴한 한타하고 막 굴려서 이기는 경우가 많다. EDG 전때 보면 더샤이가 초반에 지독하게 당하곤 했다. 그러다가 갑자기 어느순간 더샤이가 갑자기 퍽퍽 때리고 또 퍽퍽 때리고 하다가 나중에 IG가 이기곤 하는데 이런 IG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나. 기복이 워낙에 심해서 IG 경기를 보면 심장이 견디기도 힘들고 그러니 일단 IG를 세번째로 두고 보는게 적당할듯 싶다. FPX와 JDG는 크게 결점을 찾을 수 없는것 같다."


"이스타는 확실히 이번 시즌에 강했지만 새로운 팀이고, 다전제는 다르다. 다만 개인적으로 이스타가 후회없이 최선을 다해서 플레이오프에서 자신들의 모습을 보여주면 좋겠다."





파이어폭스




한편 자신이 경험한 RNG의 코치와 감독들에 대해서도 이야기 했는데 최고의 코치는 '하트' 이관형이라고 하면서




"특별히 밴픽에 엄청난 강점이 있다, 이런건 아닌데 전술적인 지도에 있어서 아주 뛰어났고 시즌8때는 하트가 RNG에 큰 도움을 주었고 하트의 전술적인 가르침이 없었다면 RNG가 그 시즌 그렇게 잘나가지 못했을 거다. 제일 영리한 코치였다."


했고, 그럼 최고의 감독은 누구였느냐는 질문에는 "파이어폭스다." 라고 했는데, 이른바 '오연갈' 때 감독이었기에 다른 사람들이 장난치냐고 했지만,

"파이어폭스 감독의 밴픽이 최고다. 그때의 일 같은 경우는 이 형(페이커)의 챔프폭이 아주 넒었기 때문에, 만약 밴으로 갈리오를 밴했으면 다른 타입의 챔피언을 꺼내면 우지가 더 힘들었을거다." 며 파이어폭스가 욕을 많이 먹었지만 RNG가 가장 존경하는 코치였다고 말했습니다.







1







한편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RNG와 EDG가 붙게 되었는데,

이 두팀의 대결은 각 팀에 속해있던 LPL 역사상 최고의 인기 선수였던 클리어러브와 우지를 따서 '猪狗大战' 개돼지 대전(..) 개와 돼지의 싸움이라는 기묘한 이명이 있더군요. 우지는 다들 알다시피 별명이 개새끼고 클리어러브는 현역 시절 솔랭에서 수틀리면 "게임 그딴식으로 할거면 시골 내려가서 돼지나 키워라." 이렇게 입털고 다녀서 그렇다고...



클리어러브는 감독이고 우지는 현재 자리에 없고 양팀의 상황도 몹시 좋지 않은 상태라 기대치가 높지는 않은데, 어쨌든 양쪽 팬들 입장에선 그래도 나름 "이건 이겨야지" 싶은가 보더군요. 거기서 이기고 올라오면 기다리는 팀이 FPX인데, EDG나 RNG나 일단 서로만 이기면 나중에 FPX에게 져도 "그래, 좋은 경험했다." 정도로 유종의 미로 포장은 가능한 시즌은 되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시나요
20/04/21 05:40
수정 아이콘
항상잘보고있습니다. ig가 자신의약점을 극복해내는모습이 플옵에서나왔으면 좋겠네요..
20/04/21 07:23
수정 아이콘
징동이 ig정규시즌에서 박살냈었죠?.. 렛미는 징동 fpx승자가 우승가능성 높다고 생각하나보네요.
Equalright
20/04/21 07:44
수정 아이콘
클럽 한국서버 아디 중 하나가 나는돼지를갖고있다? 뭐 이런거였죠
암드맨
20/04/21 07:46
수정 아이콘
우지가 당연히 돼지쪽일 줄 알았는데, 저의 편협한 사고방식이 또....
더치커피
20/04/21 07:51
수정 아이콘
징동은 상체 폼으로 2위까지 올라갔는데, 야가오가 계속 주사위 6을 띄우지 않는 이상 결국 로컨이 발목잡을 거라 생각합니다
EDG나 (우지없는) RNG면 모를까, FPX 만나면 lwx 크리습 듀오를 버티기 어려울듯
20/04/21 08:24
수정 아이콘
마지막 사진 밑에 [좌: 돼지, 우: 개] 라고 적으면 롤 모르는 사람은 오타로 알겠네요...
IG 우승을 기원합니다.
이직신
20/04/21 09:46
수정 아이콘
어제 경기보니 TES 도 꽤나 기대되더군요. 나이트가 하드캐리한 게임이긴 했지만 재키러브도 제법 쉰거치곤 폼이 나쁘지 않아보였습니다. JDG는 정말 야가오가 이정도 폼 유지하면 충분히 경쟁력 있는 팀 같고
20/04/21 10:15
수정 아이콘
줌 돌아온 징동이나 재키러브 영입한 TES 보면서 제대로 된 정글 영입한 IG는 얼마나 잘할지가 궁금하네요 미티어 정도(?)만 되어도 무지막지할텐데..
Horde is nothing
20/04/21 10:33
수정 아이콘
ig 대 펀플 정말 기대중입니다. 크크크
더치커피
20/04/21 11:01
수정 아이콘
개돼지 대전인데 정작 당사자들은 게임에 없네요 크크
코비코비
20/04/21 11:32
수정 아이콘
얼굴만 보고 클럽이 개고 우지가 돼지인줄 알았습니다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393 [LOL] 아프리카 프릭스에 대해 1시간 30분정도의 다큐가 나왔습니다 [42] 라면12883 20/04/28 12883 0
68392 [LOL] 아무리 무관중 경기라도 승강전이면 할 짓 안 할 짓이 있는데 [226] 스위치 메이커18371 20/04/28 18371 20
68391 [LOL] 이번 첼린저스가 예전만 못하다고?!? 웰컴 투 LCK 입성!! [201] Leeka15097 20/04/28 15097 1
68390 [LOL] 15 LCK 부터 이제까지 정규시즌 1위를 달성한 팀과 선수에 관한 기록들. [5] 삭제됨8657 20/04/28 8657 0
68389 [기타] 키메라스쿼드 플레이 후기 (스포x) [64] 이십사연벙11026 20/04/28 11026 2
68388 [LOL] 포지션별 LCK 우승 / 준우승 1위 [94] Leeka13287 20/04/28 13287 2
68387 [LOL] IG의 올시즌 문제점 [74] 스톤에이지15053 20/04/28 15053 1
68386 [오버워치] 리뷰 2탄 정말 오랜만에 오버워치를 해보고 느낀 점 몇가지 정리 [10] 랜슬롯10462 20/04/28 10462 4
68385 [오버워치] OWL 12주차 리뷰 [6] Riina6957 20/04/28 6957 5
68384 [LOL] 징동 게이밍 이야기, 그리고 로컨과 재키러브 [36] 신불해16904 20/04/28 16904 63
68382 [LOL] 올해 롤드컵은 열릴 수 있을까요? [92] 프테라양날박치기15640 20/04/27 15640 1
68381 [스타1] ASL 시즌9 이후 공개된 신맵들 [14] 삼월의 판타시아13309 20/04/27 13309 0
68380 [LOL] TES vs JDG 결승 매치 성사. 세대교체에 또 성공한 LPL [167] Leeka15004 20/04/27 15004 1
68379 [기타] [게임소개]스타 시티즌 [4] bladefist9002 20/04/27 9002 0
68378 [기타] 블러드본 아직 플레이 하십니까? [24] 네리어드9662 20/04/27 9662 1
68377 [LOL] 내가 생각하는 스크림의 중요도. [40] 랜슬롯13245 20/04/27 13245 4
68376 [스타1] ASL9 결승 김명운 vs 이재호 [9] 빵pro점쟁이12139 20/04/27 12139 2
68375 [LOL] 조급함을 버리자. 롤드컵을 바라본다면. [76] 제주산정어리13573 20/04/27 13573 9
68374 [LOL] 갑자기 고민하게된 로얄로더의 기준은? [62] 유니언스9853 20/04/27 9853 0
68373 [LOL] 참다참다 못참아서 최우범 체제를 규탄하는 글 [233] 스띠네22298 20/04/27 22298 30
68372 [LOL] LCK 승강전 샌드박스가 다이나믹스 지명 [28] kapH9138 20/04/27 9138 0
68370 [LOL] 4월 26일 씨맥 방송 조금만 요약 (t1전 씨드백) [59] 현은령16538 20/04/27 16538 21
68369 [기타] 아프리카 철권 멸망전 결승 후기 (결과 있음) [12] 루데온배틀마스터9844 20/04/27 984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