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4/20 23:27:16
Name Ensis
Subject [LOL] LPL 스프링 정규시즌 종료 - 플레이오프 대진 확정.jpg

오늘 FPX vs TES의 경기를 끝으로 LPL 스프링 정규시즌이 종료되었습니다. 최종 순위는 위와 같습니다.

마지막 날 승자가 플옵 막차를 타는 경기에서 WE가 OMG를 꺾고 8위를 확정지었으며, TES가 FPX를 2:0으로 꺾으면서 ES를 승자승으로 밀어내고 4위가 되면서 6강 직행을 확정, 그리고 JDG는 TES 덕분에 득실차로 FPX를 따돌리면서 4강 직행을 확정지었습니다.

노답 3형제에서 벗어나는 듯 했던 OMG와 VG는 플옵 탈락의 고배를 마시면서 성적 상승으로만 위안을 삼아야겠고, V5는 0승 16패에 정규시즌 내내 단 한 세트만을 승리하는 기염을 토하면서 LPL 프랜차이즈 도입 이후 단일시즌 최악의 팀의 불명예를 안았습니다.

2019년 섬머시즌 플옵 진출했던 8팀중 BLG와 SN, LNG가 자리를 내줬고, JDG와 신생팀 eStar, WE가 플옵에 합류했습니다.





완성된 플레이오프 대진입니다. 내일 하루를 쉬고 바로 수요일부터 시작해서 연속된 5전제 잔치가 이어집니다.

대진은 왼쪽 라인에 각각 1458팀인 IG - TES - eStar - WE가, 오른쪽 라인에 각각 2367팀인 JDG - FPX - EDG - RNG가 배치됩니다.

(8강전)
22일(수) : (#5) eStar vs WE (#8)
23일(목) : (#6) EDG vs RNG (#7)

(6강전)
24일(금) : (#4) TES vs 수요일 승자
25일(토) : (#3) FPX vs 목요일 승자

(4강전)
26일(일) : (#1) IG vs 금요일 승자
27일(월) : (#2) JDG vs 토요일 승자

29일(수) : 3-4위전
5월2일(토) : 결승전


LCK와는 22일, 25일 경기가 겹치는데, 내일만 참고 나면 LCK 경기가 없는 나머지 날은 LPL 플옵 다전제로 허전함을 달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20 23:31
수정 아이콘
크 징동 2위까지 올라갔네요. 줌 돌아오고 경기력이 확 좋아졌고 다른 팀들도 헛점을 보이니 수문장에서 벗어나 한 번 욕심날만도 하겠네요
물론 우승 가능성은 밴픽 제대로 하는 IG가 압도적으로 높겠죠; 즐겜 마인드만 조금 줄이면 상대가 없어보여요.
20/04/20 23:32
수정 아이콘
와 오른쪽은 누가 올라와도 이상하지않고.. TES는 하필 또 IG쪽 레인이네요 재밌을것같습니다.
신불해
20/04/20 23: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올해 도인비는 여전히 선수 자체는 A급 선수인데, 작년에 좀 막힐때마다 어떤 상황이든지 거의 초필살기 수준이었던 결전병기 라이즈가 고인 되어서 약간 운신의 폭이 줄어든 느낌입니다. 도인비 라이즈는 진짜 괴물 같은 수준이었는데

반대로 아지르는 크게 느낌 없는데.. 작년에도 아지르가 득세할때 있었지만 AP 필요해서 아지르 같은거 해야 할때마다 라이즈 잡고 박살내버렸는데 올해는 그게 안되서 진짜 억지로 아지르 하는 느낌 받더군요. 그런데 아지르는 전형적인 많이 할수록 느는 고인물 장인형 챔프라 천하의 도인비도 아지르 잡으면 위력이 많이 반감되는 느낌을 받습니다. AP 챔피언 중에 사일러스 같은건 도인비가 아주 잘하지만 아지르가 필요한 상황은 약간 범주가 틀리다보니..

지금 유럽을 봐도 퍽즈 같은 선수도 결승전에서 아지르 자주 쓰고(퍽즈는 잘씀) 쵸비도 쇼메이커도 어거지로 아지르 꺼내 쓰고 있는데 이게 좀 FPX에게 악영향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더치커피
20/04/20 23:35
수정 아이콘
오늘 쇼메이커 아지르 봐도 그렇고.. 아지르 잘하는 미드들은 따로 있는듯요
티모대위
20/04/20 23:47
수정 아이콘
아지르 DNA는 진짜 따로 있는 느낌 많이 받습니다.
영 못쓰다가 정말로 '잘쓴다' 라는 소리를 들을만하게 된 선수가 쿠로밖에 생각 안나네요. 그 쿠로도 페지르 비지르에 비하면 아직 한수 접어야되고..
근데 그 아지르 특유의 '지속딜도 되면서 변수창출력도 있는' 장점 때문에, 어떤 미드라이너도 완전히 등한시하기는 어렵고...
더치커피
20/04/20 23:56
수정 아이콘
초반도 좋고 후반도 괜찮고 사거리도 길고 변수창출도 되고 이만한 미드가 진짜 거의 없죠
20/04/21 04:34
수정 아이콘
페이커도 2016 msi때 아지르 인게임 플레이가 안좋았음에도 계속 픽해서 많이 욕먹었었는데..
어느새 모스트 1이 아지르가 되었네요
더치커피
20/04/21 07:48
수정 아이콘
하필 아지르 비교대상이 직전시즌 같은 팀이었던 역체아지르여서..
니시노 나나세
20/04/21 00:22
수정 아이콘
천하의 루키도 아지르 승률이 50%더라구요.

롤드컵 우승 미드중에 아지르로 괜찮은 모습을 보여준건

페진아와 폰대관정도.
엘제나로
20/04/21 00:28
수정 아이콘
이지훈 띠용
20/04/21 01:19
수정 아이콘
황제훈이야말로 아지르 하면 최고아니었나요...
20/04/21 01:24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통산승률 위주로 보신 듯 합니다. 이지훈의 통산 아지르 승률은 5할을 조금 넘는 수준이라... 16년에 중국에서 5할승률 찍는동안 아지르를 10판넘게 했는데 25% 승률로 망해서 많이 까먹었죠
20/04/21 10:12
수정 아이콘
vg 시절은 빼야..
20/04/21 12:03
수정 아이콘
위에 썼지만 16시즌은 이지훈 1년 전체 승률이 50승 48패로 50%를 넘는 시즌이었습니다. 같은해에 리산으로는 15승 9패 라이즈로는 7승 3패 빅토르로는 6승 6패 이런 기록들이 있는데 VG라고 아지르 한 기록만 거기서 뺄 이유는 없죠. 실제로 아지르 잘한다더니 뭐냐 하지마라 이런 얘기도 당시 나왔다고 하니까요.
20/04/20 23:34
수정 아이콘
오늘 김군 나온 FPX가 시즌 첫 패, 그것도 셧아웃 당할줄은 1도 예상 못했네요 나이트-재키러브 쌍포가 도인비-Lwx 상대로 판정승을 거두기도 했고..
20/04/20 23:34
수정 아이콘
확실히 플옵은 이 방식이 개꿀잼이긴한듯... 팀이 워낙 많아서 가능한 것도 있겠지만요
기사조련가
20/04/20 23:34
수정 아이콘
징붕이의 카나비사랑은 결실을 맺었네요
20/04/20 23:35
수정 아이콘
야 다재밌겠다 이거
더치커피
20/04/20 23:36
수정 아이콘
왼쪽 블록 : 강형 송형 기다려! 재키러브가 간다!
오른쪽 블록 : 징붕이 vs 전통의 강호 트리오

그러고보니 양쪽 탑시드들이 결승에서 붙으면 작년 스프링의 재탕이군요
20/04/20 23:46
수정 아이콘
2019 스프링 당시 4강 대진이 IG vs TOP, FPX vs JDG였는데 이번에도 그대로 재현될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20/04/21 00:10
수정 아이콘
한국식간 오후 6시면 재밌는 매치들은 다 챙겨볼수있겠네요
뚠뚠이
20/04/21 00:16
수정 아이콘
V5 전적은 공평하게 다 빼고, 16팀 중에 10팀이 승률 5할을 못 했네요.
비역슨
20/04/21 00:55
수정 아이콘
좌측 브라켓에서 이스타 TES IG가 차례로 만난다고 보면 누가 승리하든 너무 재밌는 경기들이 나올것 같네요.
TES 중반 운영부터 적정글, 오브젝트 시야장악같은 꼼꼼한 부분까지 엄청나게 발전했던데 재키 영입 효과로 어디까지 치고올라갈지 궁금합니다
퍼프 상대로 원딜차이 내고 IG 꺾는 모습 한번 보고싶네요..
20/04/21 01: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LPL쪽은 잘 모르는데 징동은 작년 카나비 사태때 만해도 1군 선수진 허허벌판이라고 새로 판짠다고 들었습니다만 카나비말고도 겨울동안 선수영입을 엄청 잘한건가요?
차은우
20/04/21 01:15
수정 아이콘
줌(탑) 야가오(미드) 뤼마오(서폿)은 작년 그대로고 정글 원딜을 새롭게 영입했습니다.
20/04/21 01:26
수정 아이콘
궁금해서 찾아보니 미드에 야가오선수 말고는 다 좋은 평가 받고있는 선수들인가보군요
20/04/21 01:29
수정 아이콘
야가오 선수도 캐리력 있고 좋은 미드인데, 주사위를 좀 굴리는 편이지요. 줌이나 뤼마오는 동포지션에서 상급이라면 야가오는 중간보다는 위고 중상급은 되는 선수? 그래도 올시즌에는 줌이 복귀한 이후 거의 전 경기에서 주사위 5~6을 보여주면서 줌과 같이 쌍끌이를 했습니다.
카바라스
20/04/21 10:52
수정 아이콘
jdg는 이미 작년스프링에 준우승을 하기도했고 감독인 옴므도 중국에서 명장으로 꼽힐만하죠
코비코비
20/04/21 11:43
수정 아이콘
카나비없이 작년에 lpl준우승했습니다...
20/04/21 04:35
수정 아이콘
팀이 많으니까 플옵방식도 개꿀잼...
역시 1부리그인건가
플리트비체
20/04/21 08:31
수정 아이콘
플옵방식 부럽네요. 결승직행 자체가 말이 안된다고 봅니다 IG 플경기도 한국어중계 해줬으면 좋겠네요
20/04/21 08:40
수정 아이콘
사실 어찌보면 LPL 플옵방식은 LCK랑 거의 유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팀 수가 1.7배 많은 만큼 LCK같은 래더플레이오프 방식을 X2 한 셈이거든요
20/04/21 13:06
수정 아이콘
lpl이랑 lck 둘다 플옵방식은 계단식으로 똑같습니다. 한번 지면 바로 탈락. 대신 lpl은 플옵 가는 팀이 8팀이나 돼니까 결승직행이 아니여서 그렇지. 만약 lck도 lpl처럼 팀수 많고 플옵 가는 팀이 많으면 lpl처럼 했을겁니다.
20/04/21 13:32
수정 아이콘
바로 결승직행이 있고 없고가 꽤 크지 싶어요
어쨌든 한자리 맡아두는건 대진표 주사위 굴리는 팬 입장에서는 맥빠질때가 있어서...
후보군 2개는 줘야
자몽맛쌈무
20/04/21 13:03
수정 아이콘
내년 FA 최대어 카나비
JJ.Persona
20/04/21 23:28
수정 아이콘
LPL 플레이오프 중계는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한국어 중계는 따로 없겠지요?
20/04/22 11:07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에서 전 경기 한국어 중계 한다고 하네요
JJ.Persona
20/04/22 13:12
수정 아이콘
아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416 [LOL] 전 서라벌 단청 선수가 자신의 방송국에 글을 남겼습니다. [150] telracScarlet20616 20/05/01 20616 0
68415 [LOL] 우리가 약한게 아니다. 다이나믹스가 너무 쎈거였어! 샌박의 LCK 잔류! [83] Leeka19345 20/04/30 19345 3
68414 [LOL] 더블리프트가 밝히는 팀리퀴드의 IG 카운터 전략 [13] 가스불을깜빡했다12006 20/04/30 12006 0
68413 [LOL]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LCK 역사의 변곡점 [52] Arcturus14415 20/04/30 14415 3
68412 [기타] 콜오브듀티 모던워페어 2 리마스터 5월 1일 출시, 사양 [8] 토니파커8509 20/04/30 8509 1
68411 [LOL] 스타크래프트의 그림자에서 벗어날 시기 [39] 삭제됨8443 20/04/30 8443 0
68410 [LOL] 최근 2년간 LCK로 보는 감코진의 중요성? [94] Leeka14702 20/04/30 14702 0
68409 [LOL] LPL 플레이오프 이후 많은 비난을 받고 있는 더샤이 [88] 신불해24316 20/04/30 24316 19
68408 [히어로즈] 리치 선수 히오스 시절 플레이 모음 [24] 13807 20/04/30 13807 2
68407 [LOL] 가위바위보의 LOL 교실 - 승리의 왕도 [29] 가위바위보10063 20/04/30 10063 27
68406 [LOL] 그리핀 경기 후 LS의 밴픽 언급 [47] 가스불을깜빡했다14650 20/04/29 14650 0
68405 [LOL] '어나더레벨'을 추억하며...gif(초 대용량) [58] 프테라양날박치기14835 20/04/29 14835 4
68404 [LOL] 그리핀이 첼코에 컴백합니다 [311] Leeka20664 20/04/29 20664 40
68403 [LOL] 다이나믹스의 3수 성공!! 히오스왕의 LCK 재입성!! [47] Leeka14207 20/04/29 14207 0
68401 [기타] 월급 루팡과 함께 한 노베나 디아볼로스 리뷰 [19] 소이밀크러버9477 20/04/29 9477 2
68400 [기타] 성검전설 3 - 고전 감성에 충실한 리메이크 [27] Seed10027 20/04/29 10027 3
68399 [LOL] LCK 우승 / 준우승 팀 순위 [10] Leeka8611 20/04/29 8611 1
68398 [기타] (강스포)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게이머들을 분노케했는가 [74] 레게노18206 20/04/29 18206 4
68397 [기타] 오버워치리그 MVP '시나트라', 발로란트로 전향 [45] 비역슨13276 20/04/29 13276 0
68396 [스타2] 밸런스 패치안이 공개되었습니다. [7] 실제상황입니다11820 20/04/29 11820 2
68395 [기타] 스틸에잇 이야기. [26] manymaster13521 20/04/29 13521 39
68394 [LOL] 아프리카 프릭스의 연습량에 관해 DFM에서 활동하고 있는 양광우 선수의 인터뷰 [94] 타바스코16399 20/04/29 16399 5
68393 [LOL] 아프리카 프릭스에 대해 1시간 30분정도의 다큐가 나왔습니다 [42] 라면12883 20/04/28 128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