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4/19 14:39:16
Name 비역슨
Subject [LOL] 확정된 LEC, LCS 결승 대진





2020 LEC 스프링 결승전

G2 이스포츠 vs 프나틱


살짝 길을 돌아오긴 했지만 현존하는 이스포츠 최고의 라이벌리 중 하나인 지투와 프나틱의 맞대결이 또 다시 성사되었습니다.

프나틱은 플레이오프에서 흠잡을데 없는 경기력을 보여주며 결승에 선착했고, G2는 매드 라이온스와의 1라운드 대결에서 충격적인 패배를 내주기는 했지만 개선된 모습을 보이며 패자조에서 살아 돌아왔습니다. 

캡스의 폼이 정상 궤도를 되찾았다는 점은 G2에게는 매우 큰 희소식입니다. 정규시즌때도 프나틱전에서는 잘해주긴 했었지만. 캡스는 오늘 준결승전의 플레이어 오브 더 시리즈로 선정되었습니다. 올해 기복이 있던 미키엑스 역시 큰 무대로 오면서 금세 원래 페이스를 찾는 모습.

보통은 탑과 바텀은 프나틱 우위, 미드 정글은 G2 우위로 보는게 일반적이지만, 정규시즌 경기때도 그렇고 최근 선수들의 폼을 봐도 그렇고 사람들의 예상과는 좀 어긋나는 게임 양상이 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입니다. 


작년의 다전제와는 달리 이번에는 프나틱이 우승후보로 점쳐지는 상황에서의 대결이긴 하지만, 워낙 강하고 큰경기에서 잔뼈굵은 선수들간의 맞대결인 만큼 결과는 붙어보기 전까지는 모를 것 같습니다. 다만 분명 작년과는 달리 프나틱이 이번 결승에는 상당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긴 합니다.

어제 G2와 매드 라이온스의 경기에서 인터넷 문제로 경기 진행에 큰 지장이 있었는데, 결승은 차질없이 잘 진행되었으면 좋겠네요.








2020 LCS 스프링 결승전

C9 vs 플라이퀘스트


많은 이들의 예상을 깨고 플라이퀘스트가 EG와의 리매치에서 승리, 패자조 도장깨기에 성공하며 결승전으로 진출했습니다.

2017년 미스핏츠의 돌풍을 이끌었던 POE와 이그나는 북미에서 재결합해 첫 시즌 팀을 쌍끌이로 캐리하며 결승전까지 올려놓았습니다. 특히 POE는 플라이퀘스트가 승리한 다전제 3경기에서 모두 플레이어 오브 더 시리즈를 수상하는 압도적 캐리력을 보였습니다.

이번 스토브리그에, CLG가 POE를 크라운으로 대체할때까지만 해도 많은 팬들과 전문가들이 좋은 선택이라고 평가했었는데... 크라운은 반 년도 지나지 않아 챌코에서 뛰고 있고 POE는 팀을 캐리해서 결승전으로 올리는 것을 보면 롤은 역시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싶네요. 

솔로가 복귀해서 탑에서 상당히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것도 그렇고.


결승전에서 C9을 만나는 것은 훨씬 어려운 도전이 되겠지만, 어쨌든 무서운 기세를 타고 있고 실제로 플레이오프가 진행되면서 경기력이 차츰 나아지고 있는 팀이라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해봅니다.

올해 C9은 정규시즌 우승, 올프로 퍼스트팀 전원, 정규시즌 MVP, 코치상, 심지어 아카데미 리그 우승까지 거머쥐며 역사에 남을 압도적인 시즌을 보냈고, 우승이 9할 이상 유력해 보입니다. 만약 여기서 우승을 못 하면 그건 그것대로 역사에 남을 역대급 사건이 될 것 같네요..



LEC 결승전은 오늘 자정, LCS 결승전은 새벽 5시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19 14:40
수정 아이콘
한국 솔랭 파괴하던 바일퍼 센세는 어디로..
비역슨
20/04/19 14:42
수정 아이콘
솔로가 나이도 있고 결국 바이퍼가 어느 시점부터는 선발로 뛰어야 할 것 같은데 잘 추스렀으면 좋겠네요..
지금 솔로가 정말 잘해주고 있지만 언제까지 그렇게 해줄거란 보장이 없으니
20/04/19 14:49
수정 아이콘
lec 프나틱 lcs c9 봅니다
20/04/19 14:52
수정 아이콘
lec 끝나고 lcs 그래도 플옵인데 하면서 켜자마자 지주케 바텀텔포 보고 바로 껐습니다 ㅡ.ㅡ 역시 플퀘가 이겼군요
20/04/19 14:55
수정 아이콘
돌아왔나.. 했더니 또맛이가버렸어요
치킨은진리
20/04/19 15:05
수정 아이콘
보여준 경기력으로는 무조건 프나틱 우승인데... 왠지 G2가 또 이길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다시마두장
20/04/19 20:28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SKT 앞의 KT마냥 팀 전력 상관없이 돌고 돌아 어차피 패배로 귀결되겠지 싶은 생각부터 드네요.
20/04/19 15:09
수정 아이콘
이그나 선수 인터뷰보니까 POE선수랑 꽤 각별한 사이인것 같던데..크크 C9이 너무 거대한 산이네요. 그리고 EG경기를 많이보진 않았는데 원래 제이잘이 지금폼보단 훨씬좋지않았나요? 어제는 뱅선수가 1:9하던데..
비역슨
20/04/19 19:10
수정 아이콘
올 시즌 내내 라인전에서는 지적을 받긴 했는데, 그 외적인 면에서도 오늘 게임은 좀 아쉽긴 했네요..
파아란곰
20/04/19 15:19
수정 아이콘
또나틱 또2
20/04/19 15:21
수정 아이콘
LEC는 지투 프나틱이랑 나머지 팀들 수준 차이가 너무 심한 듯..
니가팽귄
20/04/19 15:25
수정 아이콘
프나틱이 더 안정적이고 경기력이 좋긴 했다만
이팀은 지투만 만나면 자멸하는게 문제라 서로 반반이라 봅니다.
에바 그린
20/04/19 15:28
수정 아이콘
LEC결승이 아쉽네요. 현장무대였으면 연출 멋있었을텐데.. 그래도 여기는 전통의 라이벌리에 다양한 픽이 나올거라는 기대감이 있어서 볼거같음

Lcs는 기대감이너무 바닥을치는데다가 시간까지 안좋으니 안보게되는듯..
신라파이브
20/04/19 15:45
수정 아이콘
탑차이아니였으면 매드라이온스 해볼만했는데

진짜 초가스 솔킬장면은 같은 프로라고 믿지못할수준
비역슨
20/04/19 19:11
수정 아이콘
프나틱전도 그렇고 오로메가 너무 파여버리니 팀 밸런스가 아예 무너지는게 극복이 안 됐네요.
정규시즌에는 오히려 적당히 묻어가거나 오히려 한타에서 캐리하는 게임도 많았는데 작정하고 약점 파니까 심리적으로도 위축되고 너무 얼타버리더라고요
Mephisto
20/04/19 16:05
수정 아이콘
EG는 왜 원딜바라기 하려다가 망하는건지....
뱅은 밀어주지 않아도 잘해주는 벨런스 잘잡힌 원딜이라 그냥 버티기 시키고 후반에 cs살짝 몰아주면 알아서도 잘하는데 정작 신경써줘야할 지주케를 그냥 풀어두니 성장도 잘 안된상태에서 슈퍼플래이하려다 던져버리는 결과가 나와버렸죠.
스벤이 그냥 미드만 생각없이 줄창 쑤셨어도 3:1로 EG가 진출했을거라고 봅니다.
아카시아꽃이활짝폈네
20/04/19 16:10
수정 아이콘
LEC나 LCS 플레이오프 방식을 볼때마다 LCK도 슬슬 결승 직행 및 단일 토너먼트식 플레이오프보다는 더블엘리미네이션을 통해 결승진출팀을 가렸으면 좋겠어요
지금의 플옵 방식은 정규리그 1위에게 너무 유리한 방식이고 플옵 진출 팀들의 부담이 너무 큽니다
정규 1위가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하냐면 그동안 꼭 그런것만은 아니였기에..(혼자 시즌 내내 다른 포스를 내뿜었던 팀은 18 스프링 킹존 이후로 잘 생각이 나질 않네요)
LEC나 LCS나 플옵에서 한번 미끄러져도 다시 한번 기회를 주는 것 정말 좋아보이네요
20/04/19 17: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런데 lck가 정규리그 1위팀한테 결승직행 이라는 매우 유리한 특혜를 주는 이유가 정규리그 경기방식이 bo3라는 점이 큰것 같습니다. lec나 lcs는 단판제여서 한팀당 18경기 밖에 안하지만 lck는 bo3여서 한팀당 최소 36경기 최대 54경기를 해야 됩니다. 정규리그 경기수가 많으니까 정규리그 1위팀한테 결승직행이라는 방식은 괜찮은것 같아요.
20/04/19 21:31
수정 아이콘
그러기엔 lpl은 bo3에 17팀이 하는데도 정규1위 직행 없습니다

심지어 코로나 전엔 홈 어웨이덕에 이동시간 감안하면
LCK가 정규가 빡빡하다는 반례로 LPL이 있죠
20/04/19 22:31
수정 아이콘
lpl은 반례로 들기에는 플옵 가는 팀이 너무 많습니다. 만약 lck가 lpl처럼 팀수가 많으면 lpl이랑 똑같이 정규1위 직행을 없앴겠죠. 그리고 lpl은 lck랑 비슷해요. 정규도 bo3고 플옵도 계단식입니다. 그리고 lpl은 팀들이 한번밖에 안붙기때문에 한팀당 경기수가 최소 32경기 최대 48경기여서 lck보다 경기수가 적습니다. 마지막으로 홈어웨이가 있긴 한데 모든 팀들이 있는 것도 아니고 다섯팀 정도 밖에 없기 때문에 lpl이 반례다 라는 주장의 근거는 부족합니다.
20/04/20 00:06
수정 아이콘
경기수는 LPL은 팀이 추가되면서 계속 늘고있다는점

그리고 그 팀들의 경기장을 가기위해 이동하는 시간이 꽤 길어서 힘들었다는건 쿠로를 비롯한 LPL선수들이 다 말한 이야기죠

말씀하신건 bo3이라 직행이여야된다고 했는데
lpl은 과거 12팀 시절에도 직행 안했습니다
그때 경기수는 2바퀴돌아서 lck랑 동급이였는데요
20/04/20 00:22
수정 아이콘
지금 lpl은 플옵 가는 팀이 많아서 플옵방식이 계단식이여도 결승직행을 안주는데 그럼 12팀 시절에 플옵 가는 팀은 몇 팀이었습니까? 지금 lck처럼 5팀이었습니까?
비역슨
20/04/19 19:15
수정 아이콘
저도 플옵 방식은 바꿔보는게 어떨까 싶긴 합니다. 보는 팬 입장에서도 그렇지만, 프랜차이즈화 하면 리그 입장에서도 플옵 다전제 경기가 많아지는게 수익 창출 면에서도 좋겠고요.
기사왕
20/04/19 16:14
수정 아이콘
진짜 왠만하면 EG가 이길 줄 알았는데 뱅 빼고 4명 하는 꼴이 진짜 와...
20/04/19 18:22
수정 아이콘
스프링 초반 리턴즈~
Dreamlike3
20/04/19 17:08
수정 아이콘
이거보면 복한규는 진짜 월즈 커리어가 모자랄 뿐인 명장이 맞는것 같네요

맡은 팀이 북미팀이라 롤드컵 성적이 좋지 않은건 어쩔수 없다 쳐도 일단 북미내에선 C9을 최고의 팀으로 만들어놨으니까요
20/04/19 17:09
수정 아이콘
LCK가 일정 여유있는거였네요
어제 준결했는데 오늘 결승..
카바라스
20/04/19 19:29
수정 아이콘
lec lcs는 더블엘리방식을 일부차용해서 승자조 쪽에 어드밴티지 크게 주죠. 프나틱 c9는 일찌감치 승자조 돌파해서
장고끝에악수
20/04/19 18:11
수정 아이콘
프나틱이 작년 스프링 서머 결승에서 2번 연속 졌죠? 이번엔 극복이 가능할련지 셀프메이드때문에 프나틱이 확실히 해볼만 하다던데
20/04/19 18:34
수정 아이콘
G2 프나틱도 참 오래도록 해먹네요
쿼터파운더치즈
20/04/19 18:51
수정 아이콘
바르샤와 레알....
오클랜드에이스
20/04/19 19:34
수정 아이콘
또 너네냐
다시마두장
20/04/19 20:29
수정 아이콘
이쯤되니 또투 또나틱... 싶습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457 [LOL] 볼리베어 리메이크 [104] 모쿠카카18939 20/05/09 18939 0
68456 [LOL] 재미로 보는 'LCK 팀 유튜브 채널 순위' [29] 그대지킴이15584 20/05/09 15584 5
68455 [오버워치] 워싱턴 저스티스의 코리가 발로란트로 전향합니다 [18] Leeka11318 20/05/09 11318 0
68454 [LOL] 한화생명e스포츠 ‘Tempt' 강명구 선수와 상호 합의 하에 계약 종료 [66] 아카시아꽃이활짝폈네15386 20/05/08 15386 1
68453 [LOL] 롤관련 잡설. 자유랭크의 매운맛을 보고 느낀점. (+ 추천 정글러) [32] 랜슬롯11619 20/05/08 11619 1
68452 [기타] 2020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이 다시 돌아옵니다 [4] MiracleKid8577 20/05/08 8577 1
68451 [LOL] 메타 챔피언 탐구 1탄 : 무라마나 코르키 [79] elkyy14765 20/05/07 14765 20
68450 [LOL] LCK-LPL 최강팀을 정하는 미드 시즌 컵이 열립니다 [143] 라면17751 20/05/07 17751 4
68449 [기타] [스포일러 포함!] 너티독에 SJW가 묻는 과정과 전조들 [49] UGH!13490 20/05/07 13490 0
68448 [오버워치] 벤쿠버 타이탄즈 선수 전원 계약해지 [129] 삭제됨18314 20/05/07 18314 5
68447 [LOL] LPL을 비롯한 롤 관련 글을 개인적으로 더 이상 쓰면 안될 것 같습니다. [215] 신불해24317 20/05/06 24317 177
68446 [LOL] (스압) 대회기준 역대 챔피언별 베스트 플레이어 TOP 3 [60] Ensis18511 20/05/06 18511 39
68445 [LOL] LPL 토막 이야기들 [28] 신불해15067 20/05/06 15067 11
68444 [기타] 발로란트 짧은 소감 [96] 레게노21424 20/05/05 21424 0
68443 [LOL] [토론]"세체포지션" 논쟁은 이제 그만 [99] 스팀판다15726 20/05/05 15726 1
68442 [오버워치] OWL 13주차 리뷰 - 여기는 에코! [11] Riina8432 20/05/05 8432 4
68441 [LOL] JDG 옴므 감독의 최근 인터뷰 [34] 신불해15410 20/05/05 15410 6
68440 [LOL] 라이엇 해설자 Jatt이 팀리퀴드에 합류합니다 [17] 가스불을깜빡했다10833 20/05/05 10833 1
68439 [LOL] 4대리그의 우승팀 기록 [20] Leeka10386 20/05/05 10386 0
68438 [LOL] [LJL] DFM이 4연속 우승을 거머쥡니다. [34] 타바스코10251 20/05/04 10251 1
68437 [LOL] LCK 2020 스프링 정규시즌, 유튜브 매치 하이라이트 통계 [17] Leeka9584 20/05/04 9584 2
68436 [LOL] 현실화된 한-중 이벤트 매치, 여러분이 원하는 포맷은? [69] 베스타12363 20/05/04 12363 1
68435 [LOL] 근래 롤판에서 흥미로운 요소중 하나 [77] 프테라양날박치기15082 20/05/04 1508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