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4/14 04:52:31
Name 스톤에이지
Link #1 https://gol.gg/players/list/season-ALL/split-ALL/tournament-LCK%20Spring%202020/position-ALL/week-ALL/
Subject [LOL] 현재까지 LCK 라인별 개인지표 (수정됨)
최소 30경기 이상 나온선수들로 추려봤습니다

탑                              
KDA
1. 칸나 6.4
2. 라스칼 4.1
3. 도란 3.4

평균 DPM
1. 너구리 501
2. 기인 476
3. 큐베 421

팀내 데미지 비중
1. 너구리 28.5
2. 기인 27.9
3. 큐베 24.1

15분 골드
1. 기인 +434
2. 너구리 +307
3. 도란 +139

정글
KDA
1. 커즈 6.1
2. 클리드 5.2
3. 표식 5

15분 골드
1. 클리드 +297
2. 보노 +128
3. 표식 +125

퍼블 기여률
1. 클리드 61%
2. 캐니언 42.5%
3. 스피릿 41.9%

미드
KDA
1. 비디디 7.2
2. 쵸비 5.6
3. 페이커 5.4

평균 DPM
1. 쵸비 554
2. 비디디 470
3. 페이커 467

팀내 데미지 비중
1. 쵸비 28.9
2. 비디디 27.1
3. 페이커 26.8

15분 골드
1. 쵸비 +417
2. 비디디 +334
3. 페이커 +215

원딜
KDA
1. 룰러 7.4(전체 1위)
2. 테디 6.6
3. 에이밍 5.5

평균 DPM
1. 하이브리드 628(전체 1위)
2. 에이밍 602
3. 룰러 564

팀내 데미지 비중
1. 에이밍 35(전체 1위)
2. 하이브리드 33.2
3. 바이퍼 32.8

15분 골드
1. 에이밍 +535(전체 1위)
2. 데프트 +509
3. 룰러 +408

서포터는 딱히 정리할게 없어서 안 썼고
다른거보다 미드 비디디 쵸비 페이커 이 3명이 독식하는게 돋보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프로틴중독
20/04/14 05:10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 dpm은 진짜 경이로운 수준이네요

골드를 에이밍보다 덜먹었는데 저정도 딜이면..
20/04/14 05: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Difference at 15 minute이 솔로라이너 라인전 지표로 유용하지만 유의하셔야 하는 게 GOL은 단식세나 플레이시 원딜이 아닌 서포터로 분류합니다. 그래서 합산한 지표를 보려면 Player list 항목 말고 선수 닉네임을 클릭해서 들어가는 개별 페이지를 참조해야 하는데, 단식세나 게임이 낄수록 챔피언 특성상 DPM과 %DMG가 감소하는 대신 각종 차이 지표가 상대 서포터 대비로 잡히는 바람에 뻥튀기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한 가지 흥미로운 건 개막전을 탑솔로 출전한 쵸비의 경우도 포지션별로 나뉘어져 있는데, 전부 합산하면 안 그래도 괴물같은 라인전 지표가 더 높아지더군요.
응~아니야
20/04/14 07:14
수정 아이콘
농구나 야구랑 다르게 롤은 밴픽, 챔프라는 제한이 있어서 지표를 단순신뢰하긴 힘든 거 같긴 하네요

그래도 가장 비슷한건 농구인듯
5인 팀경기라는 점과 CS-볼 소유권이 유사하다는 점...
스덕선생
20/04/14 09: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지표란 것만 보면 농구와 정 반대죠. 농구는 빅3가 뭉쳐도 공 소유권에 제약이 있어서 오히려 스텟손해를 크게 보니까요.

대세가 빅3에서 휴스턴이나 클리퍼스 식 빅2로 바뀌고 있는것도 선수들이 스텟볼륨이 크게 줄어드는걸 느끼고 그런게 아닐까 생각도 듭니다.

반면 롤에선 못해도 팀이 강하면 그럭저럭 1인분 하는걸로 포장되기 쉽죠. 대표적인게 프로스트의 웅, 오존의 옴므, 그리핀에서 뛰던 시기의 도란이고요.

진에어시절 테디나 APK의 하이브리드가 엄청난 주목을 받은게 하위권 팀에서 말도안되는 스텟을 쌓아올린게 크죠.
은여우
20/04/14 07:58
수정 아이콘
원딜 1위는 진짜 하이브리드 같네요. 밴픽을 몰아주는 것도 아닌데 골드에 비해 데미지가 미쳐날뜁니다 정말..
FRONTIER SETTER
20/04/14 08:10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 DPM은 일신의 실력도 물론 뛰어나지만 APK가 서로 치고 받으면서+이기는 게임에서도 후반까지 가는 게임이 많다는 점도 고려해야겠죠. 상위권 팀들은 원딜이 코어템을 적게 뽑은 상태에서 게임을 빠르게 끝내는 경우가 많아서... 물론 그 점을 고려하더라도 솔직히 이 선수가 이렇게 성장할 줄은 몰랐는데 놀랍습니다.
Eulbsyar
20/04/14 08:26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가 처음 1라 후반때 처음 수치가 튀던 수치가 골드당 딜량 1위였고

지금은 2라 이후에는 그냥 딜량이죠

2R 원딜 함정 카드 이즈리얼로 우틀않 시전해서 혼자 증명 했다는 거에서 큰 가산점이 있다고 봐요.
Meridian
20/04/14 08:29
수정 아이콘
룰러 KDA1위가 의외네요;;
20/04/14 09: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후반한타에서 킬을 몰아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젠지의 상체가 워낙 단단해서 잘 지켜주는 점도 있고,
보이는 지표로 판단하기엔 애매한점이 많죠. 딱 보면 스코어형 포지셔닝 딜러 성적인데 중요한 한타때 잘 끊긴다던가..
1위팀의 기대치만큼은 못해주지만 1위팀 원딜의 성적이 아니냐? 그건 아닌거죠. 그냥 예전보다 페이스가 떨어진거같아 아쉽다 정도?
나뭇가지
20/04/14 09:32
수정 아이콘
아뇨 데스가 주요 원딜중에 낮은편입니다
20/04/14 09:34
수정 아이콘
해당 내용 수정합니다. 경기보면 맨날 짤리는것만 봐서 그런가.. ㅠㅠ
나뭇가지
20/04/14 09:36
수정 아이콘
kda가 높은 이유는 라인전을 지는 경우가 많지 않은데
미드정글이 게임 끝내버리면 죽을 각이 잘 안나와서 그런걸로 보입니다
대신 적은 데스중에 좀 치명적인게 많아서 문제
20/04/14 09:50
수정 아이콘
전경기 지표를 보고 온 소감은
1. 생각보다 전체 이즈의 지표가 나쁘지 않다.. 거하게 싸버린 판의 임팩트가 큼.
2. 노데스 승리는 밥먹듯이 함.
3. 세트패를 포함한 패배중에 4데스 이상 경기가 손에 꼽을정도로 적음. 특히 T1전은 011도 있고...
문제는 결국 펜타킬은 먹지만 룰러엔딩이 없어서 그렇다.. 정도로 해석해야 할런지요.
나뭇가지
20/04/14 11:13
수정 아이콘
요약하면 [와! 룰러!!!!!!!]는 줄고 [으악! 룰러!!!!]는 늘어서 문제
20/04/14 08:38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 언제까지 계약인가요 내년 행보가 참 궁금합니다.. 몸값 진짜 많이 오를 듯...
좋은데이
20/04/14 08:46
수정 아이콘
여기있는 수치 종합평균순위 내면
너구리/클리드/쵸비/에이밍 + 서폿 정도 되겠네요. 이렇게만 뽑아도 무난할듯..
KT 선수구성 + 코치진 + 선수 별 역할이 딱 작년 킹존인데 팀컬러가 비슷한것도 재미있네요.
사신군
20/04/14 08:54
수정 아이콘
비슷한 생각인데 생각보다 감독색깔 따라 가는팀이 많네요.
KT- 킹존 느낌
DRX- 그리핀 느낌이 납니다.
이라세오날
20/04/14 09:01
수정 아이콘
룰러형 조용히 세게 가는거 예상보다 높네.
뜬금없이 짤리는 거 두세건만 줄였어도 10 넘어갔을 듯.
20/04/14 09:10
수정 아이콘
룰러가 라인전도 준수하게 잘하고 한타 때도 딜 괜찮게 넣죠. 대신 절대 죽어서는 안 되는 장면에 죽는 것, 젠지의 많은 승리가 상체 캐리로 이김, 후반 한타 자체를 젠지가 이상하게 잘 못함. 의 3콤보 때문에 룰러를 저평가 하는 사람이 엄청 많을 뿐. 물론 그렇다고 룰러가 써드 팀 안에 들어 갈만한 원딜이라고도 생각하진 않습니다.
다레니안
20/04/14 09:14
수정 아이콘
쵸디커 쵸디커 신나는 노래~
지표상으로도 확연하군요. 크크
로즈엘
20/04/14 09:16
수정 아이콘
룰러가 비판 받는게 하위권이라 받는게 아니니. 지표는 크게 나쁘지 않죠. 이번 시즌 들어 슈퍼플레이 빈도가 줄고 룰러 엔딩이 안 나와서 아쉬워 하고 있고요.
루데온배틀마스터
20/04/14 09:23
수정 아이콘
KDA는 의미없는 (정확히는 의미 약한) 스탯이라 생각해서 제껴두고 나머지만 봤을 때 눈에 띄는 건 도브의 대미지 비중이군요.
작년 샌박이었으면 고스트와 서밋이 좀 더 좋은 지표로 도브의 부담을 덜어줬을텐데
스톤에이지
20/04/14 09:40
수정 아이콘
아 죄송합니다.. 실수로 도브로 썼네요 수정했습니다
루데온배틀마스터
20/04/14 09:59
수정 아이콘
?! 미드는 역시 쵸비커군요 크크크크
까리워냐
20/04/14 09:29
수정 아이콘
KDA쪽에서는 룰러도 룰러인데 칸나-커즈가 1위인게 진짜 대단해보이네요.
초중반 죽어지내면서도 어떻게 하면 밥값하는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게 보이고 특히 칸나같은 신인이 그걸 잘 수행한단 점이 대단하네요
20/04/14 09:52
수정 아이콘
미드는 셋이서 다 해먹네 크크
20/04/14 10:13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는 그냥 잘한다고 봅니다.. 에이밍 다음으로 놔야
20/04/14 10:55
수정 아이콘
Kda는 하등 쓸모 없는 지표인데...
데스가 적다= 안정적인 선수다라는 걸로 이어지는것도 아니고요

롤 지표가 다 개판이라지만 kda가 높다 = 안정적인 선수다 이만큼 이상한 말이 없어요

만년 실버1인 제 지인 모스트1이 잔나인데 150판 kda7임
하는거보면 맨뒤에서 원딜 쉴드만 넣으면서 어시만 먹고 자기죽을라하면 스킬다 써써 째는 극혐 플레이인데 kda믿고 자기가 여기 있을 레벨이 아니라고 함 크크
좋은데이
20/04/14 11:16
수정 아이콘
서폿은 논외로쳐도 라이너들, 특히 원딜은 저 4수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할거같아요.
KDA, DPM, 15분 골드 이 수치들은 각각으로보면 극도로사리거나 팀이 후반지향형이다,팀이 라인전 몰빵형이다 하면 뻥튀기되는 경우가 있죠.
KDA와 DPM이 같이 높아야 적절히 사리면서 딜 잘넣는다가 되겠고,
KDA/DPM/15분골드 다 높으면 라인전부터 우위를 바탕으로 사리면서 딜 잘넣는다가 되겠죠.
카루오스
20/04/14 11:00
수정 아이콘
루난간 하이브리드!
20/04/14 11:01
수정 아이콘
이번 시즌 룰러는 원딜 중 하위권이라고 보는데 스탯은 좋네요.
청순래퍼혜니
20/04/14 11:09
수정 아이콘
다른 스탯은 그러려니 하는데 클리드 15분 골드가 진짜 어마무시하네요. 정글러가 아니라 광부네...; 어떻게 저렇게 차이가 나지
정글자르반
20/04/14 11:19
수정 아이콘
쓰로잉을 나타내는 지표가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다시하게 만드는 순간이군요.
좋은데이
20/04/14 11:2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지표 볼때마다 드는 생각이 추상적이긴 하지만.. 팀별 평균 승리시간, 팀별 평균승리시간 전5분/10분 골드우위,
오브젝트 생존시 KDA, 고립데스 후 오브젝트 잃은 횟수 or 오브젝트 획득 횟수 or 게임패배횟수
뭐 이런 지표들도 있으면? 싶긴해요 크크
팀별로 승리플랜이 달라서 빠르게 굴리는팀, 천천히 굴리는팀 차이도 있을거고, 라인전이나 운영보다 한타극강형팀도 있을거고..
좀 말이 안되는수치려나.. 통계를 잘 몰라서 그냥 상상만 해보네요 크크
20/04/14 11:39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 15분 골드 순위권도 아닌데 혼자 DPM이 하늘을 뚫는거 뭐죠 크크
20/04/14 12:28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 DPM 은
팀내 데미지 비중
1. 에이밍 35(전체 1위)
2. 하이브리드 33.2
3. 바이퍼 32.8

요걸 같이 보셔야 좀 더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가 별난것 보다는 APK 가 별난거에요
미카엘
20/04/14 13:18
수정 아이콘
룰러의 라인전은 이길 때는 파괴적이고, 유리한 상황에서 딜 때려박는 건 최상위권입니다. 하지만 불리할 때 전황을 뒤집을수 있는 원딜인가? 하는 물음에는 고개를 갸웃할 수밖에 없습니다.
마포고피바라기fan
20/04/14 14:39
수정 아이콘
이기는걸 굳히는 원딜이지 불리한 게임에서 변수창출 능력이 살짝 떨어진거같기도합니다
20/04/14 13:26
수정 아이콘
지금 메타에서 원딜이 두드러지는 팀은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상체가 잘해줘야 돼요.
20/04/14 13:41
수정 아이콘
후반 원딜 싸움 갈 거 아니면 초중반을 상체에서 끌어줘야 하는데 그게 안 되는 팀은 승률이 많이 처지죠. 상체에서 와!! 누구누구!! 가 나올 만한 팀이 상위권으로 가는 것 같아요 결국. APK가 기세에 비해 승수가 애매하게 쌓인 것도 결국 상체가 역량의 한계가 있어서라고 생각해서..
뚜루루루루루쨘~
20/04/14 16:38
수정 아이콘
반대로 원딜이 두드러지는 경과를 보이는 선수들의 팀의 상체도 괜찮은 편입니다. 바이퍼가 잘한다고 하지만 팀은 꼴등이고 루트랑 레오가 그리고 상체도 어정쩡한 샌박도 9등이구요.
HeffyEnd
20/04/14 16:19
수정 아이콘
결국 쵸디커!! 크크크크
20/04/15 10:46
수정 아이콘
쵸디커 맞네요 크크크크 롤잘알 리라...크크
20/04/14 17:52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 보니까 존끄 생각도 나네요.
약팀에서 dpm 뚫은 케이스..
16스프링에서 평균 670대 기록하기도 했었습니다.
당시 2위권이 520~530대
20/04/14 19:37
수정 아이콘
페이커 저번주에 거의 꼬라박은 수준이라고 생각했는데 여전히 높네요
블레이즈
20/04/14 22:00
수정 아이콘
팬들의 선수 평가를 보면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최근 경기들이 평가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같습니다.
20/04/14 23:25
수정 아이콘
지표상으로는 기인- 클리드- 쵸비- 에이밍- ? 이렇게 퍼스트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435 [LOL] 근래 롤판에서 흥미로운 요소중 하나 [77] 프테라양날박치기15082 20/05/04 15082 1
68434 [LOL] 2020 LCK 스프링 시청자 수 결산 (e-sports charts) [40] 밀크카밀10650 20/05/04 10650 0
68433 [기타] 게임체인저 "하프라이프 알릭스" 리뷰 [36] 이십사연벙8646 20/05/04 8646 3
68432 [LOL] This or That, LCK vs LPL [84] roqur13125 20/05/04 13125 0
68431 [LOL] LCK vs LPL 친선전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193] 라면21876 20/05/03 21876 4
68430 [하스스톤] 덱소개 - 퀘스트 전사 [15] 잠잘까9491 20/05/02 9491 5
68429 [LOL] 스승보다 먼저 우승하는 제자?. 중체정 카나비 LPL 우승 달성!! [98] Leeka17387 20/05/02 17387 3
68428 [LOL] 최근 2년간 지역별 국제대회 성적을 포인트를 매겨.araboja <Ver 1.1> [30] Yi_JiHwan11486 20/05/02 11486 4
68427 [오버워치] 오버워치 경쟁전 영웅금지 삭제 및 변경 [12] telracScarlet10626 20/05/02 10626 1
68426 [LOL] 어쩌면 롤판 최강의 OP였을지도 모르는 챔피언 [29] 프테라양날박치기14359 20/05/02 14359 0
68425 [LOL] 5월 달, 아직 남아있는 주요 LOL 시합들 [18] 신불해12321 20/05/02 12321 1
68424 [기타] (PS4 테마) FF7 리메이크 티파 무료로 받아가세요 [12] 빵pro점쟁이10074 20/05/02 10074 1
68423 [기타] [스위치] 스위치 사용 2년간 해온 게임들. 대략적으로. [17] 11년째도피중10469 20/05/02 10469 1
68422 [LOL] 그리핀 선수들은 풀릴까? 에 대한 잡담.. [54] Leeka14414 20/05/02 14414 0
68421 [오버워치] [OWL] 시나트라 은퇴, 짜누 탈퇴 [39] 김유라11269 20/05/01 11269 0
68420 [LOL] 2020 LCK 스프링 스플릿 팀별 감상 및 서머 전망 [68] 베스타24684 20/05/01 24684 30
68419 [LOL] 그리핀선수들의 행선지는 어떻게 될까요? [60] 타바스코14203 20/05/01 14203 0
68418 [LOL] LPL 결승전을 앞두고 - '새로운 왕의 탄생' [53] 신불해17371 20/05/01 17371 20
68417 [도타2] TI 10이. 2021년으로 연기되었습니다. [7] Leeka11120 20/05/01 11120 0
68416 [LOL] 전 서라벌 단청 선수가 자신의 방송국에 글을 남겼습니다. [150] telracScarlet20685 20/05/01 20685 0
68415 [LOL] 우리가 약한게 아니다. 다이나믹스가 너무 쎈거였어! 샌박의 LCK 잔류! [83] Leeka19415 20/04/30 19415 3
68414 [LOL] 더블리프트가 밝히는 팀리퀴드의 IG 카운터 전략 [13] 가스불을깜빡했다12074 20/04/30 12074 0
68413 [LOL]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LCK 역사의 변곡점 [52] Arcturus14491 20/04/30 14491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