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4/13 18:55:53
Name Leeka
Subject [LOL] 올프로팀. 선정에 대한 잡담과 개인 의견들

- 자동으로 뽑히는 플레이어 오브 더 스플릿...  을 제외하면..


실제로 선정되는 자리는 17자리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 신인상

> 이건 그냥 케리아가 99% 맡아둔거 아닌가 싶고....


: 시즌 MVP

> 솔직히 잘 모르겠음..  3강중에 한명이 나올거 같은데 사실 1R 까지만 해도 클리드, 비디디, 테디 중 누가 받으면 되겠네.. 하는 느낌이였는데
2R를 보면서 ?!?!?! 스러워져서..
그냥 3강중에 누가 받아도 뭐 엄청 이상하진 않을거 같습니다.

제가 뽑는다면 젠지가 1등하면 클리드 줄듯....


: 퍼스트 / 세컨드 / 서드 팀

탑 : 1R까지만 해도 기인 바라기였는데.. 2R오면서 믿음이 흔들림...     사실 탑은 진짜 확 손 가는 선수가 없는데
그래도 굳이 결정하자면  너구리 - 라스칼 - 도란 or 기인
정도 뽑고 싶네요..

칸나는 밴/픽을 좀 어렵게 만드는 느낌이 강해서 패스를..
도란은 도렐리아 안봤으면.. 별 걱정 안했을텐데
기인은 2R 중후반에 실망을 좀 많이 해서...  71인분 어디 갔나여..


정글 : 여기는 사실 개인적으론 큰 고민 안함..

클리드 - 커즈 - ?!?!?!

사실 서드에 넣고 싶은 정글러가 딱히 없음다..   표식, 보노, 캐년, 스피릿, 플로리스.... 에라 모르겠...  대충 중상위권 아무나 넣어도 별 느낌 없을듯..

클리드는 그냥 19 스프링부터 계속 짱이고..
커즈는 진짜 정글링을 기묘하게 하는데 성장을 쑥쑥해서..
2R는 좀 아쉽긴 했지만 사실 다른 정글러들이 1R 말아먹은거 생각하면 세컨드 넣어도 딱히 문제 없는거 같음..


미드 : 그냥 비디디, 페이커, 쵸비 넣고 대충 골라골라 하면 될거 같은데...    그냥 정규시즌 순위대로 퍼스트~서드 넣을랍니다.
누가 1~3위할지는 이번주에 결정될듯...

비디디는 클리드와의 호흡 면에서
페이커는 중후반 T1의 오더 면에서
쵸비는 표식 대리고 굴리는 점에서..

각자 + 주고 싶기도 하고..





바텀 : 1R 끝나고 뽑으라고 했으면 아묻따.. 테디 고정했을텐데.. 2R에서 믿음이 흔들림..
이게 1R랑 2R 텀이 너무 길어서 1R 기억이 사라질 지경..

그래도 1R에서 그정도로 잘했는데 날려먹고 싶진 않아서..

테디 - 에이밍 - 하이브리드..

원래 데프트를 서드로 넣었지만.. 그래도 그냥 임팩트도르 간만에 질러 봅니다..   2R에서 날 너무 즐겁게 했으니까...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렇게 안뽑겠지..



서포터 : 이건 1R때랑 생각이 특별히 변하지 않음

케리아 - 에포트 - 중상위권 아무나..


투신은 중반부턴 잘했지만 초반 충격의 5연패의 쓰로잉으로..
라이프랑 켈린은 각자 ...
베릴은 뉴클리어 보정은 해줄수 있지만 그래도 아쉬워서...

대충 서드는 비슷한 느낌..




대충 뽑고 보니


신인 : 케리아
시즌 : 클리드
퍼스트 : 너구리 / 클리드 / 정규 1위 미드 / 테디 / 케리아
세컨드 : 라스칼 / 커즈 / 정규 2위 미드 / 에이밍 / 에포트
서드 : 도란 or 기인 / 중상위 아무나 / 정규 3위 미드 / 하이브리드 / 중상위 아무나

정도로..  개인 의견 마무리를..


17경기나 봤는데.. 마지막 한경기 임팩트도르로 생각 바뀌기전에 남겨봄....

심지어 정규 끝나자마자 하루 쉬고 와카라 더 빨리 잊혀질듯 하여..


이상하게 퍼스트/세컨드까진 술술 됫는데 서드 가니깐 어렵네여..   다 비슷해보이는..
실제 투표하는 전문가들도 그러려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13 18:57
수정 아이콘
서폿이 제일 이견 없을 것 같네요.고이고 고인 롤판에 이런 서포터 신인을 볼 수 있다는게 신기합니다.
Lazymind
20/04/13 18:58
수정 아이콘
근데 신인상은 기준대로면 쵸비도 후보던데 그렇게치면 쵸비를 줘야..
투표하는 사람들이 상에대해서 신인상이라고 인식하고주면 케리아줄거같긴하네요.
베스타
20/04/13 19:00
수정 아이콘
근데 저는 시즌 MVP는 좀 의아한게... 이미 pog 최다수상자가 있잖아요? 그럼 시즌 MVP는 좀 차별화를 둬야 하는거 아닌가 싶어요. 아예 포스트시즌까지 싹다 포함해서 대회 MVP개념으로 주든가. 둘다 정규시즌 mvp개념 중복이라는 생각만 드는데...

그리고 신인상이 아니아 영 플레이어 상으로 나이제한 두고 주는 모양인데 이거도 이상해요... 그냥 본문 언급대로 신인상인게 훨 깔끔한데.
더치커피
20/04/13 19:04
수정 아이콘
그냥 pog 최다수상자는 이벤트성 수상이라 보면 될거 같은데요?
진짜 중요한 건 시즌 mvp죠
베스타
20/04/13 19:07
수정 아이콘
그게.. 예전 시즌 MVP = MVP 최다수상자라서... 갑자기 이번 LCK부터 기조를 바꿔서 이건 이벤트 취급하면 좀 애매한거 같아요 크크 오히려 예전 MVP보다 최근 POG가 더 합리적인데...
장고끝에악수
20/04/13 19:07
수정 아이콘
영플레이어상인 이유는 제가 보기에 좋은 신인이 없을때 보험으로 해두는게 아닌가 싶어요. 작년 퍼포먼스까지 고려하는. 그래서 이번에 영플레이어상은 쵸비도 받을수있는데 케리아를 주겠죠.
베스타
20/04/13 19:09
수정 아이콘
이건 은근히 공감이 가긴 하는데, 그럼 나이어린 선수가 활약하면 2시즌 연속으로 영플레이어 상 받는다거나 이러면 좀 이상할거 같아서요. 이름은 영 플레이어 상인데 어지간하면 신인상처럼 쓰이다가, 특정한 환경에서 이런게 반복되면 뭔가 좀... 차라리 굳이 신인이 없으면 그냥 상을 안주면 되는거 아닌가 싶네요. 없으면 그냥 그 시즌은 신인상 자격에 부합하는 선수가 없음! 하고 크크크
장고끝에악수
20/04/13 19:11
수정 아이콘
맵네요 크크
제가 말한 의도대로라도 영플레이어 상은 두번 주진않겠죠 뭐
베스타
20/04/13 19:14
수정 아이콘
사실 뭐 영화제 상이라든가 콩쿨이라든가 이런 시상식들보면 되게 흔한 현상인데 스포츠판은 대체로 집요하게 상을 주려는 면이 있어서;;
신불해
20/04/13 19:10
수정 아이콘
pog 수상이라는게 결국 구조상 몰아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라서 진정한 시즌 MVP를 뽑는 것으로서는 의미가 없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가령 그런식으로 치면 지금 한화의 최고 클래스 선수는 리헨즈가 아니라 큐베라는 의미인데 아무도 그걸 동의하지 않을겁니다. 작년 MVP는 쇼메이커도 아닌 캐년인데 이것도 아무도 동의하지 않을테고, 그 이전까지가면 역대최고팀이라는 평가를 받는 15년 SKT 무렵에 정작 시즌 최고의 선수는 페이커, 마린도 아닌 듀크인데 이것도 동의가 어렵겠죠. 사실 POG 최다수상자라는 상 자체가 큰 의미를 주기 힘든상인데 그래도 뭐 하나 더 챙겨서 시상식 풍성하게 만드는 차원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두번쨰로 플레이오프가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규시즌 끝나고 여기에 대해 수상식을 거행하는 야구, 농구 같은 다른 모든 스포츠에서도 비슷한 이유로 그러지만, 플레이오프 합산해서 뽑는다면 말이 좋아서 정규시즌+플레이오프 합산이지 플레이오프가 정규시즌 활약 자체를 모조리 덧씌어버릴 확률이 높아서 그런듯 합니다.
베스타
20/04/13 19:13
수정 아이콘
원칙적으로는 신불해님 말씀처럼 개편되는게 맞긴 합니다. 저도 그쪽을 더 동의하구요. 단지 예전엔 그냥 그렇게 해왔던게 이제와서 노선을 휙 바꾼다고 하니 뭔가 좀 어색하기도 하고 그렇네요. 예전엔 메이저였던 상이, 갑자기 이벤트로 격하되는 느낌이라 크크
더치커피
20/04/13 19:15
수정 아이콘
선수들에게 상 하나 더 챙겨주는 거야 나쁘지는 않다고 보고요
앞으로 라이엇코리아가 최다 pog상의 권위를 확실히 격하시켜서 '진짜 중요한 상은 시즌 mvp다'는 걸 각인시켜야죠
마포고피바라기fan
20/04/13 21:33
수정 아이콘
15년은 페이커인데요? 애초에 마린이랑 듀크랑 같은시즌 보내지도않았습니다만
신불해
20/04/13 21: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15년 스프링 시즌 MVP가 당시 5승 9패팀 나진에서 MVP를 몰아 받은 듀크였고, 때문에 MVP를 POG로 주는 방식으로는 페이커가 아니라 듀크가 15년 LCK 최고의 선수였다는 이야기인데 이게 납득하기 힘든 말 - POG 최다수상자에게 MVP 주는 일이 그만큼 부질없다는 예시로 쓴 말입니다.
20/04/13 19:21
수정 아이콘
다른 스포츠는 잘 모르겠지만 해축 같은 경우는 해당 매치 MOM수상 횟수와 별개로 각 대회마다 MVP따로 뽑긴 합니다.

EPL MOM수상횟수 = EPL MVP는 아니긴해요. 챔스나 라리가 등 타리그도 마찬가지.
Elden Ring
20/04/14 00:13
수정 아이콘
느바도 이 주의 선수, 이 달의 선수 같은 걸 뽑지만 MVP랑 전혀 인연없는 선수들도 한 두 경기 미치면 선정되고 그래요. 별 상관 없다고 봅니다.
베스타
20/04/14 00:18
수정 아이콘
원래 예전부터 이렇게 했어야 하는데 그동안은 그냥 mvp 최다수상 = 정규시즌 mvp로 퉁치다보니...
키모이맨
20/04/13 19:02
수정 아이콘
일단 10팀이 서드팀까지 뽑는다는게 크죠
이런 퍼스트-세컨-서드방식의 원조인 NBA는 30개팀에서 서드까지 뽑는건데
LEC도 10팀에 서드까지 뽑고 LCK도 10팀에 서드까지 뽑으면 제생각에 좀 너무 많음...
아마 서드쯤 가면 너무 고만고만하고 애매한 케이스가 꽤 발생할거같습니다
전 10개팀이면 세컨드정도까지가 적당하다고 생각했는데 서드 소화하려면 LPL급
팀수는 되야함
원조인 NBA조차도 리그 초창기 팀 별로 없을때는 세컨드까지만 뽑다가 80년대 후반
되서 팀 수 한참 늘어나고서야 서드까지 뽑은거라...
20/04/13 19:04
수정 아이콘
사실 LEC나 LCS가 10팀에서 서드까지 뽑다보니 그대로 가져오긴 했는데...

사실 LPL처럼 17팀은 되야 서드까지 뽑아도 각이 이뻐지긴 합니다...


막상 뽑아보니 퍼스트/세컨드랑 다르게 서드는 엄청 고만고만해서 뽑기 힘들다는 생각을..
롯데올해는다르다
20/04/13 19:04
수정 아이콘
크보를 보면 10개팀에서 퍼스트조차 애매한 경우도 가끔 나옵니다..?
더치커피
20/04/13 19:06
수정 아이콘
주로 포수가 그럴때가 많죠
양의지가 부상으로 장기결장이라도 하게되면 그냥 무주공산 되어버림..
1등급 저지방 우유
20/04/13 19:42
수정 아이콘
10팀 그리고 프차화 되어서 12팀 혹은 그 이상이 되었다고 했을때에도 써드팀까지는 애매할 수도 있겠네요.

단지 이번에는 일단 첫 시도에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합니다.
피쟐에서도 몇 번이나 이런것좀 도입하자고 얘기가 있었는데, 2020년이 되어서야 하니까요
장고끝에악수
20/04/13 19: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신인:케리아
시즌:클리드or 쵸비
퍼스트: 너구리 클리드 쵸비 에이밍 케리아
세컨드: 기인 커즈 비디디 하이브리드 라이프
써드: 도란 보노 페이커 데프트 투신or 에포트
테디는 개인적으로 1라 폼이었으면 무조건 퍼스튼데
2라들어서 너무 별로라 못넣었네요.
1라 2라 꾸준한 에이밍, 1라중반부터 폼 미쳐날뛰는 하이브리드, 요즘 테뎊룰에서 가장 폼 좋은 데프트 넣었습니다.
더치커피
20/04/13 19:07
수정 아이콘
전 그래도 원딜 퍼스트는 테디로 봅니다
장고끝에악수
20/04/13 19:09
수정 아이콘
많이 갈릴듯해요 크크
20/04/13 19:23
수정 아이콘
테디는 한게임 더보고 결정하는걸로 크크
더치커피
20/04/13 19:05
수정 아이콘
미드 원딜 빼면 3명 고르기도 참 힘드네요
미드 베스트 3이 굳건해서 쿠로가 빠지는 게 아쉽다는 걸 제외하면 딱히 아쉬운 탈락자도 없을듯
20/04/13 19:07
수정 아이콘
서드 안에 못뽑았는데 아쉬운 선수는 쿠로밖에 없었습니다 -.-;;

근데 쿠로는 쵸디커가 너무 건재해서 사실 서드안에 못들수밖에 없다보니 넣을수도 없긴 함...
더치커피
20/04/13 19:09
수정 아이콘
LPL은 이스타가 급 떡상해서 선수 풀이 풍성해진 느낌인데 LCK는 기존 선수들조차도 떡락해버린지라.. 특히 샌박;;
베스타
20/04/13 19:06
수정 아이콘
탑은 시즌 전체로 놓고 보면 진짜 모르겠어요. 누굴 줘야 할지... 근데 아무래도 후반기로 올 수록 기세가 좋은 선수가 고평가받는게 어찌보면 당연하니 너구리가 제일 유력하긴 한듯...

올 프로팀은 지난주까지 경기력을 놓고 선정해본다면,

1st - 너구리 / 클리드 / 쵸비 / 에이밍 / 케리아
2nd - 도란 / 커즈 / 비디디 / 데프트 / 투신
3rd - 기인 / 보노 / 페이커 / 테디 / 에포트
기사왕
20/04/13 19:08
수정 아이콘
저는 솔직히 원딜 뽑기가 진짜 애매해 보여요.

요즘 하이브리드 이야기가 자주 나오긴 하는데 솔직히 1라 + 2라 초반 하이브리드가 그렇게 말아먹었는데 2라 그 담원전 이후로 잘해줬다고 이제 와서 올프로에 올리기엔 기복은 있었어도 시즌 전체로 놓고 보면 3강팀 원딜이나, 에이밍이 훨씬 잘했다고 보는데.
장고끝에악수
20/04/13 19:09
수정 아이콘
이번시즌 기준 룰러는 빼고 가야한다고봅니다
베스타
20/04/13 19:10
수정 아이콘
룰러는 우선 빼야 되고, 하이브리드가 최근 바짝 기세를 올리고 있긴 하지만 저도 3순위까지 올라갈 순 없다고 봄.. 4위는 ok
건강보험증
20/04/13 19:11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하이브리드가 2R 가공할만한 수준의 퍼포먼스를 보여줬지만 1라운드때 강등권 싸움하던 팀이 포스트시즌 간데 바텀 서열정리 하면서 캐리하던 에이밍 없었으면 절대 불가능했을거라고 봐요..
키모이맨
20/04/13 19:09
수정 아이콘
그리고 LCK에서 처음 하는 투표이다보니 투표인들의 성향을 아예 모르니까 잘 모르겠는데
MVP는 어느 리그던 다소 개인수상의 의미를 띄는 퍼스트~서드팀이나 여타 상보다 팀 성적에 가중치를 굉장히 많이 두는
상이라서(일반적으로는) 제 생각에 시즌막판 3강 3경기에서의 임팩트+최종1위하는 팀에서 나오지않을지
MVP라는상은 고만고만하면 일단 팀성적 높은거에 무조건 가중치 둬도 보통 문제없어서...
탄광노동자십장
20/04/13 19:09
수정 아이콘
1R에는 '누가 이만큼 잘한다'로 이야기를 했는데 2R는 '누가 이상한 짓을 덜했다'로 이야기 하게 되는 것 같아서 아직 혼란이 옵니다. 꼭 채점하면서 가산점 주다가 갑자기 100점 만점 기준으로 감점제로 바뀐듯한 느낌이랄까요. 1, 2R 차이가 심한 선수들이 워낙 많다보니 더 혼란스럽긴 합니다. 정글, 서폿말고는 마지막 경기까지 가봐야할 것 같아요.
더치커피
20/04/13 19:12
수정 아이콘
퍼스트 : 너구리 클리드 ??? 테디 케리아
세컨드 : 라스칼 커즈 ??? 에이밍 투신
써어드 : 도란 보노 ??? 데프트 에포트

미드는 초비 페이커 비디디를 도저히 줄세울 수 없어서 포기.. 셋 다 잘했는데 또 누구 하나 원톱으로 꼽을만큼 압도적인 선수는 없어서..
20/04/14 10:31
수정 아이콘
저랑 상당히 비슷하시네요.
테크닉션풍
20/04/13 19:13
수정 아이콘
1st 너구리/클리드/비디디/테디/케리아 한표...
정글서폿은이견이없을듯 합니다
프레이야
20/04/13 19:13
수정 아이콘
1st : 너구리 / 클리드 / 쵸비 / 에이밍 / 케리아
2nd : 도란 / 커즈 / 페이커 / 테디 / 에포트
3nd : 기인 / 보노 / 비디디 / 하이브리드 / 투신
펠릭스30세(무직)
20/04/13 19:16
수정 아이콘
근데 도란쓸래 칸나쓸래 라스칼쓸래 아니면 기인 너구리 쓸래하면 젠지 드락스 티원 모든팀이 기인 고르지 않을까요?
FRONTIER SETTER
20/04/13 19:18
수정 아이콘
선수 가치 평가랑 해당 시즌의 폼 평가는 별개니까요
더치커피
20/04/13 19:19
수정 아이콘
그간 기인이 쌓아놓은 게 있으니까요
기인이 서머까지 부진한다면 그때는 선수가치 평가 자체가 흔들리겠죠
FRONTIER SETTER
20/04/13 19:17
수정 아이콘
1 너구리 클리드 쵸비 테디 케리아
2 도란 커즈 비디지 에이밍 에포트
3 라스칼 보노 페이커 데프트 라이프
행복하세요
20/04/13 19:21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가 올 프로팀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drx전에서 원딜차이로 게임을 승리로 이끌어야 합니다. 1라운드~2라운드 초반까지 퍼포먼스가 별로였기 때문에 그 정도의 임팩트가 없으면 데프트한테 밀리죠. 별다른 이변이 없는 한 퍼스트 세컨은 남은 경기 퍼포먼스에 따라 테디, 에이밍이 나눠가지고 써드는 데프트가 될 것 같습니다. 에이밍이 하드캐리해서 젠지를 이긴다면 에이밍 퍼스트도 충분히 가능성 있죠.
차은우
20/04/13 19:22
수정 아이콘
기인은 본인이 발로차버렸죠ㅠ...그래도 탑서드는 가능할것도같고

탑:너구리-?-기인
정글:클리드-커즈-?
미드:페디쵸 3! 6가지 경우의 수...정규1위팀선수 퍼스트
원딜:테디-에이밍-데프트
서폿:케리아-에포트-?

정도라 생각하는데 티원경기를 잘못봐서 그런가 테디폼안좋다는게 신기하네요 1라끝났을때는 시즌mvp예상했는데
Good Day
20/04/13 21:18
수정 아이콘
온라인으로 하면서 긴장감이 좀 사라진 것 같아요
이상한 플레이가 좀 나옵니다
저격수
20/04/13 19:26
수정 아이콘
올프로팀은 정규시즌 보고 고르는 거죠?
비오는풍경
20/04/13 19:36
수정 아이콘
애초에 시상을 플옵 끝나기 전에 합니다
20/04/13 19:26
수정 아이콘
1st = 너구리 / 클리드 / 비디디 / 에이밍 / 케리아

2nd = 기인 / 보노 / 쵸비 / 테디 / 에포트

3rd = 라스칼 / 커즈 / 페이커 / 데프트 / 젤리 (개취)

해보고 싶습니다.

솔직히 도란이 2R 잘하긴 했지만 여기 낄 짬바는 아닌거 같고, 데프트는 저는 3위에 충분하다고 생각. 1~2R 내내 제일 솔리드한 선수였죠. 단지 티원전만 못했다가 문제라서 3위.
그리고 쵸비 vs 비디디는 그래도 클디디라서 1st팀에 둘다 넣었습니다. 정글은 무조건 클리드라서.
롯데올해는다르다
20/04/13 19:26
수정 아이콘
원딜은 고점이 누가 높냐 저점이 누가 높냐 평균이 누가 높냐 셋 중 어느 기준으로 봐도 테디가 퍼스트라고 봅니다.
테디의 저점과 타 선수의 고점을 비교하면야 타 선수가 높지만. 아 남은 1경기에서 1557을 한번더 한다 그러면 저점이야 더 낮아질수도 있겠습니다만..

그건 그렇고 LCK는 감독상이 없던가요? LCS에서는 복한규 뽑아놨던데.. 참 이게 우연의 일치인지 뭔지는 몰라도 정규시즌 감독상 뽑아야하면 어지간하면 씨맥 뽑아야할텐데 크크;
카바라스
20/04/13 19:33
수정 아이콘
감독상 있습니다. 아무래도 씨맥이겠죠
이정재
20/04/13 19:35
수정 아이콘
있어요
롯데올해는다르다
20/04/13 19:36
수정 아이콘
두 분 감사합니다
20/04/13 19:27
수정 아이콘
너구리 / 클리드 / 비디디 / 에이밍 / 케리아
기인 / 커즈 / 쵸비 / 테디 / 테디 / 리헨즈
라스칼 / 보노 / 페이커 / 데프트 / 에포트

한화는 리헨즈 없었으면 그냥 10등이라고 봅니다. 한화 경기 보면 역시 8억좌라는 말 엄청 나오죠.
그리고 투신이나 에포트는 패배 비중(?)이 너무 높음;

시즌 MVP는 비디디/테디/쵸비 중에 정규 1위 팀 선수 주고 싶네요.
젠지 클디디는 이기는 경기는 둘이 비슷하게 잘했는데 지는 경기에서는 비디디가 좀 더 잘한듯
20/04/13 19:40
수정 아이콘
Apk도 하이브리드없으면 10등일것같은데요
20/04/13 19:56
수정 아이콘
리헨즈, 하이브리드 둘 다 종합 점수는 A- 정도인데
원딜은 A가 3명 있고 서포터는 A가 1명 있는 느낌입니다
20/04/13 19:28
수정 아이콘
현재 평가도 이번주 끝나면 대거 격변할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순위걸려있는 경기가 너무 많아서..


(개인적인) 시즌 MVP는 그냥 쵸비라고 봅니다. 라인전을 사실상 혼자하는데 항상 이깁니다. 그냥 사기에요. 현재 DRX 경기력의 상수라고 생각합니다
쿼터파운더치즈
20/04/13 19:31
수정 아이콘
탑은 오히려 확실하다고 봐요 너구리
1라 2라 내내 담원 에이스였죠 너구리 아니었으면 담원 플옵 못갔어요 절대로
더치커피
20/04/13 19:39
수정 아이콘
이렐로도 하드캐리하는 건 확실히 대단했어요
티모대위
20/04/13 20:13
수정 아이콘
이렐 그렇게 쓰는걸 보면서.. 너구리 클래스는 의심할 수가 없다는 생각밖에 안 들었습니다.
전 앞으로 너구리가 일시적으로 폼 내려가도 클래스 의심 안하려고요. 근본이 정말 남다른 선수에요.
20/04/13 21:29
수정 아이콘
저도 그 이렐판 이후로 너구리를 인정해버렸죠. 크크
20/04/13 19:31
수정 아이콘
기인이 내려오면서 탑진짜 인물없네요. 라스칼도 막판에 맛탱이가버린듯 하고 -_-

탑 기인 너구리 라스칼

정글은 클리드 보노 커즈

미드는 쵸비 페이커 비디디

원딜은 테디 에이밍 데프트

서폿 케리아 에포트 투신
20/04/13 19:33
수정 아이콘
2라전까지는 퍼스트 팀 확고했는데 2라때 갑자기 무너지는 선수들이 많아서 모르겠어요
비역슨
20/04/13 19:36
수정 아이콘
너구리 / 클리드 / 쵸비 / 테디 / 케리아
라스칼 / 커즈 / 비디디 / 에이밍 / 에포트
기인 / 보노 / 페이커 / 데프트 / 투신

하이브리드는 임팩트는 컸지만 1라운드에 다른 선수들이 쌓아둔 것도 많고 팀 성적도 낮은 편이고 해서 올프로팀 입성까진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그래도 4위 정도로 두는건 문제없고 표는 꽤 받을것 같지만요. 원딜 퍼스트는 에이밍에 마음이 쏠리긴 하지만 테디가 1라때 워낙 잘한건 평가를 해 줘야할것 같고요.
탑이 너구리 빼면 진짜 뽑을 선수가 없는데 뭐 칸나나 도란같은 선수들이 탑3 안에 들어도 딱히 불만 없을것 같습니다. 그 정도로 올해 탑라이너들은 그나마 팀 1옵션에 캐리해서 플옵 보낸 너구리 제외하면 서로 우열을 두기가 어려운 것 같네요.
요슈아
20/04/13 19:38
수정 아이콘
EPL같은 경우도 POG(경기)/POW(주일)/POM(월별) 다 뽑으면서 시즌 MVP는 따로 뽑죠. 이런 맥락으로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1등급 저지방 우유
20/04/13 19:56
수정 아이콘
아랫글보니까 LPL은 이주의 팀 뽑네요.
LCK도 다음엔 이 부분도 고려해 봤으면 좋겠네요
이정재
20/04/13 20:01
수정 아이콘
뽑다가 말았습니다
뽑는게 LCK 주간결산프로그램에서 뽑는거라서 프로그램을 안하니 뽑는걸 그만두던데
그냥 프로그램은 안하더라도 뽑는건 계속 뽑았으면좋겠네요
20/04/13 19:47
수정 아이콘
기인 클리드 페이커 테디 리헨즈
다크템플러
20/04/13 19:47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는 1라까지만해도 기인이 퍼스트 따놓은당상에, 젤리가 최대 세컨드까지, 스피릿-미스틱이 써드까지도 노려볼만한 상황이었는데 왕창 떡락해버렸
네요 흐흐 그나마 기인이 써드정도는 노려볼만할듯... T1전 엄청 잘해야 세컨드?
퍼스트는 너구리 클리드 테디 케리아 에다가 미드는 그냥 팀순위대로 갈것같습니다.
다레니안
20/04/13 19:51
수정 아이콘
확실히 쵸디커에다 쿠로를 못 넣는게 아쉬울정도로 써드팀이 꽉 차는 미드 외에는 모든 포지션에서 써드팀까지 뽑으려니 애매한 느낌이네요. 크크..
특히 탑은 퍼스트를 누구 넣어야할지부터가 음.....
1등급 저지방 우유
20/04/13 19:54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특정 포지션은 한사람이 못들어가는 정도만큼 아쉬운데
특정 포지션은 써드팀까지 들어갈만한 인물이 없는것 같기도 하고..
Your Star
20/04/13 19:59
수정 아이콘
신인왕 케리아
그리고 이런 거 정할 때 저는 맞대결에서 졌다고 깍아내리는 거 안 봤으면 합니다. 정규시즌은 정규시즌 전체로 넓혀서 봐야한다고 보거든요.
그리고 한 가지 바라는 게 있는건 타 스포츠처럼 흔히 말하는 팀우승 커리어와 개인 커리어가 구분되었으면 합니다. 정말로 팀우승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선수는 따로 개인 커리어까지 추가해 주면 되는거구요.
전 해축이나 야구볼때 꾸준한 걸 높이 치는데 롤판은 이거 뭐...
Eulbsyar
20/04/13 20: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롤이랑 5인 스포츠라는게 같은 농구는 더 심해요.

거기는 옵션까지 따집니다. 그리고 파이널 활약까지...

(우승 반지 3개지만 클러치에서 맨날 꼬라박는 스테판 커리라든가...)

야구는 가을야구 한 번도 못 가도 명전에 영구결번 주는 스포츠인데 농구에는 그게 허용이 안 되죠.
다크템플러
20/04/13 20:56
수정 아이콘
근데 롤판에서 팀커리어 중요시하는분들 옵션 거의 안따지죠
베스타
20/04/13 21:14
수정 아이콘
문제는 잣대가 너무 자의적이라는거죠. 어떤때는 맞대결이 중요하고, 어떤때는 커리어가 중요하고, 어떤때는 평가도르가 중요하고, 어떤때는 퍼포먼스 도르가 중요하고... 1옵션 이론이라는거도 거울의 양면 같은겁니다. 1옵션은 그만큼 투자받는 위치라는건데 몰아먹은 만큼 성과 못내면 또 폄하의 대상이 되기도 해요. 향로메타 두고 원딜들 평가가 어떤식으로 벌어지는지를 보면 참 재밌죠.
승률대폭상승!
20/04/13 20: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너구리/클리드/쵸비/하이브리드/케리아
라스칼/보노/비디디/에이밍/투신
기인/커즈/페이커/테디/에포트

주로 15분 골드차이와 dpm을 봤습니다
쵸비는 자신도 이제 3년차면서 데뷔시즌정글러와 2년차 탑을 가지고 1위경쟁한다는 부분에서 비디디 페이커보다 윗순위로.
특히 하이브리드는 시크릿 달고 망한 라인전을 가지고 원딜엔딩을 만들어내는게 놀랍. 그리고 이게 1라 망한통계까지 합한거라니 더 놀라운

전체적으로 미드원딜은 넘치는데 다른자리들은...
우르쿤
20/04/13 20:06
수정 아이콘
시즌 MVP T1이 1위 페이커, 젠지가 1위 클리드, DRX가 1위 쵸비
신인상 케리아 or 칸나
1,2라운드 전체를 기억하려니 뭔가 빡세네요.

퍼스트 팀
너구리 클리드 페이커 테디 에포트

세컨드 팀
기인 커즈 쵸비 에이밍 케리아

써드 팀
라스칼 보노 비디디 하이브리드 투신

이유를 적으려다 보니 너무 길어지는 것 같아서 그냥 짧게 올립니다. 크크 기인, 라스칼 위치가 많이 고민됬습니다. 하이브리드도 1라운드 때는 부진했다고 해도 승리할땐 항상 승리 주역으로 꼽히는 선수여서 서드에 간신히 꼽았습니다.
20/04/13 20:08
수정 아이콘
너구리-클리드-?-테디-케리아
기인-커즈-?-데프트-에포트
라스칼-보노-?-에이밍-리헨즈

나름 지금까지 시즌 전체 돌이켜봐서 정한거긴 한데 미드는 참 쵸디커 순서 놓기 애매하네요... 페이커가 폼만 어느정도 일정했어도 페쵸디 순으로 놓을거 같은데...
기도씨
20/04/13 20:10
수정 아이콘
케리아선수 귀여워서 팬됐어요.
Splendid
20/04/13 20:14
수정 아이콘
라스칼 클리드 시즌1위미드 테디 케리아
너구리 보노 시즌2위미드 데프트 에포트
기인 커즈 시즌3위미드 에이밍 투신
정도로 가고싶네요 mvp는 시즌1위미드 or 클리드로 가고.
20/04/13 20:15
수정 아이콘
1st - 너구리 / 클리드 / 초비 / 테디 / 케리아
2nd - 도란 / 커즈 / 페이커 / 에이밍 / 에포트
3rd - ??? / 보노 / 비디디 / 하이브리드 / 리헨즈

서드탑은 라스칼 아님 칸나라고 생각합니다. 초디커는 크게 차이 없는 거 같은데(부진으로 인한 패배는 초비 비디디도 좀 있고) 가장 최근 폼이 좋은 게 초비 같아서 초비.

원딜은 테디에이밍 부동에 하이브리드 팀보정 받아서 서드.
20/04/13 20: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영플레이어상은 신인상이 아니라 19세 이하 선수에게 주는 상이니까 쵸비가 맞는것같습니다. 그래서 제 개인적 의견은

영플레이어상: 쵸비
정규시즌 MVP: 클리드
퍼스트팀: 너구리/클리드/비디디/테디/케리아
세컨드팀: 라스칼/커즈/쵸비/에이밍/에포트
써드팀: 도란/플로리스/페이커/하이브리드/리헨즈
베스트코치상: 씨맥
쓰레기청소부
20/04/13 20:23
수정 아이콘
MVP:페이커
퍼스트팀:칸나 클리드 페이커 테디 케리아
세컨드팀:라스칼 커즈 쵸비 에이밍 에포트
서드팀:너구리 보노 비디디 하이브리드 투신
베스트코치:김정수
신인상:칸나
티모대위
20/04/13 20:24
수정 아이콘
1st: 너구리 클리드 비디디 데프트 케리아
: 미드정글, 봇듀오 시너지 고려 안한 픽입니다. 비디디는 팀이 요즘처럼 안좋을때도 폼이 내려가질 않길래 높게 평가. 데프트는 흔들린적도 있었는데 테디가 주춤하는 요즘에 좋은 폼을 계속 보여줘서 높게 평가. 테디가 정말 잘하는 원딜인건 맞는데, 요새 꽤 오래 헤매고 있어서.. 데프트 안좋을 때보다 더 오래가고 팀에 영향도 큰 느낌입니다.
탑은 너구리입니다. 저는 너구리를 굉장히 고평가하는 편이었는데, 그 생각을 바꿀만한 계기가 지금까지 없었습니다. 이 선수는 진정한 탑솔의 혼을 가지고 있어요. 그 포텐은 단연, 전성기 기인과 더샤이에 밀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2nd: 기인 커즈 페이커 테디 에포트
: 기인은 그래도 기인이라... 잘 안풀릴때 보면 다 그만한 이유는 있더라고요. 어깨도 무거워뵈고.. 실력 자체가 내려간건 결코 아니라 봅니다.
미드는 쵸비로 생각했는데, T1의 후반게임을 이끄는 원동력은 페이커 지분이 엄청 크다고 봐서... 근소한 차이로 페이커 꼽았습니다. 쵸비는 항상 잘하지만, 팀 안좋을때 같이 좀 내려가는 면이 있어요. 반면에 페이커는 팀이 힘들어지면 'T1의 꿈과 희망 페이커' 같은 느낌을 주더라고요.
에포트는... 팀적으로 좀 잘 써먹어야 하긴 합니다. 픽도 잘 골라줘야되고, 인게임 조율도 아직 좀 필요한 것 같고. 근데 투신보다 실수의 악영향이 적은 편이고, 번뜩이는 플레이의 빈도도 투신에 버금갑니다. 페이커, 커즈랑 같이 묶는다면 세컨팀 서폿은 에포트 할만 하죠.

3rd: 도란 보노 쵸비(쿠로) 에이밍 투신
: 아 진짜 어렵습니다. 에이밍이 진짜 잘하고 있는데, 그래도 탑팀을 구성하라면 뎊테에 밀려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미드도 쿠로가 진짜 너무 너무너무 아까워서 괄호로 추가.. 탑은 라스칼 꼽고 싶었는데 라스칼은 아직 게임체인져는 못 되는것 같아요. 도란은 가끔씩 게임흐름을 바꿉니다. 게임이 항상 잘풀린다면 라스칼이 더 나은 탑솔이지만, 게임이 비등하거나 좀 밀릴 때 변수를 만들어주는 해결사가 필요하다면 도란이 낫지 않을까 싶네요.
20/04/14 01:49
수정 아이콘
데프트가... 퍼스트...!? 데프트가 전체 라운드 비교해서 테디보다 뛰어났나요? 2라운드 한정 하이브리드보다 보여준게 있나요? 제가 디테일한 부분을 놓치고 있는게 아닌가 싶은데 디테일한 설명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제 질문에 대한 답과 함께 부탁좀 드릴께요
티모대위
20/04/14 08: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무슨 분석관도 아니고 전문가도 아니고 고티어 유저도 아니라서 별로 믿을만한 평가자는 못되는 것 같지만;;;
그리고 데프트를 테디, 하이브리드보다 앞에 둔 분들이 저 말고도 여기 엄청 많은데요... 어쨌든
제가 데프트를 맨 앞에 둔 이유는 팀의 후반게임을 이끄는 데 있어서 테디나 2라운드 하이브리드보다 확실히 폭발력이 덜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테디가 거의 2라운드 내내 헤매고 있는 점, 1라운드 때 하이브리드가 보여준 불안정함을 봤을때 데프트보다 위로 놓기 어렵다고 봤습니다.
테디의 후반캐리력은 무시무시한 수준이었지만, 데프트가 라인전 단계에서부터 팀의 게임플랜에 주는 이득이 엄청나다고 봐서 기여도도 크게 밀리지 않는다 보고요.
하이브리드는 데프트보다 위로 놓기 솔직히 어렵죠.. 2라운드 최고원딜을 꼽으라면 단연 하이브리드 맞는데, 시즌 전체로 꼽으면... APK는 라인전을 이기고 시작하는 일이 아예 없다시피한 팀인데, 그말인즉슨 봇의 라인전도 그닥 강력하지 않다는 뜻이죠. 상대가 누구든 패고 시작하는 테디나 라인전 최강이라서 케리아가 맨날 로밍갈수 있게 해주는 데프트랑은 아직 비교하기 어렵죠.
이러나 저러나해도 저도 근소한 차이로 데프트를 테디보다 앞에 놓은거지, 데프트가 그리 압도적 1위라 생각하진 않는데... 디테일한 설명까지야.. 부담스럽네요 ㅡㅡ
Eulbsyar
20/04/13 20:29
수정 아이콘
Young Player : 케리아
(쵸비도 리스트에 들어가지만 안 줄거 같습니다....)

Regular Season MVP : 쵸비

Best Coach : 씨맥

1st Team : 너구리/클리드/쵸비/테디/케리아
2nd Team : 기인/커즈/비디디/에이밍/에포트
3rd Team : 도란/보노/쿠로/하이브리드/투신

황금 쓰레기통 상 : 소드/타잔/유칼/뉴클리어/아이로브
더치커피
20/04/13 21:10
수정 아이콘
쓰레기상에 샌박이 한명도 없다니 인정할 수 없습니다!
20/04/13 20:54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올해 탑솔러 대체적으로 폼이 많이 떨어진 것같아요. 작년 LCK에서 활약한 탑솔러중에 중국으로 빠져나간건 칸 뿐인데 남아있는 기인, 너구리, 서밋 모두 폼이 별로에요. (옆동네 줌, 더샤이만 봐도 메타탓은 아닌것 같고요) 올해 라스칼이 각광 받는것도 저는 솔직히 실력 향상이라기보단 상대적으로 나머지 인원들이 붕괴된거에서 오는 현상이라고 봅니다. 그나마 너구리가 좀 덜 폼 떨어진 것같고요.

1ST : 너구리/클리드/비디디/에이밍/케리아 : 너구리야 뭐 고립데스 1위라고 조리돌림도 당하지만 담원에 너구리없었다? 그러면 바로 플옵 탈락이었다고 봅니다. 캐리력 분명히 있는 선수이고 가치가 있는 선수입니다. 젠지의 클리드 비디디야 말할것도 없이 항상 솔리드하고요. 그중에서도 비디디는 안정성 포텐 면에선 페이커,쵸비보다 우위인것 같아요. 테디를 꼽을수도 있었으나 에이밍은 진짜 1라운드 투신 그 말도안되는 던질 투 폼일때도 지금의 폼 유지한것만으로도 1st 자격있다고 봤습니다. 케리아야 뭐 말할거있나요. 팀에서 맨날 남들 쉬운 서포터할때 쓰레쉬같은 초고난이도 계속 소화해내는거보면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2nd : 기인/보노/페이커/데프트/에포트 : 올해 기인은 작년 기인이랑 대결한다 치면 무참히 질것 같긴한데 그래도 클라스 있는 모습 보여주긴 했죠. 보노는 전 KT 반등의 1등 공신이라고 봅니다. 솔직히 MVP보노가 받을 거 많았는데 뺏긴거 많았다고 봅니다. 페이커는 안정성은 쵸디커 중 제일 떨어지는데 불리한 상황에서의 폭발력은 제일 인것 같습니다. 데프트야 솔리드한 모습 계속 보여주고 있고요. 에포트도 그냥 2위로 뽑힐만해서 뽑았네요.

3RD : 라스칼 / 커즈 / 쵸비 / 하이브리드 / 투신 : 그냥 다 3위같아서 뽑았습니다.
기사왕
20/04/13 20:57
수정 아이콘
작년 한체탑은 중국으로 갔고, 그 뒤을 한체탑 유력 후보는 팀 똥에 휘말리다가 본인 폼마저 망가져버렸으니...그나마 2라 들어와서 도란 폼 올라온거 보면 씨맥이 확실히 선구안은 있다는 생각은 듭니다. 특히 세트 잡으면 진짜 날아다니더군요.
20/04/13 20:59
수정 아이콘
도란도 솔직히 모르겠어요. 작년 써밋 / 너구리 / 기인 / 칸 이었으면 기 그렇게 못 폈을것 같은;; 올해만큼 국내 탑솔러 약해보인 적이 없는것 같아요. 칸도 사실 섬머 후반에 아트록스 장인 + 롤드컵에서의 활약 떄문에 한체탑 먹은거지 스프링 ~ MSI ~ 섬머 1라운드 때만해도 SKT에서 탑이 아쉽다는 소리가 제일 많았었죠.
스덕선생
20/04/13 21:03
수정 아이콘
LCK가 오랫동안 탑솔 명가였는데 이번 시즌은 탑솔 흉가라고 봐도 될 정도죠.
너구리가 그나마 나은데 나머지 선수들은 딱히 빛난다는 느낌을 못받았습니다.

라스칼/칸나는 개인역량이 시험받는 시기가 되니까 역시 우려했던 그대로의 모습이고
기인은 몸에 안 맞는 캐리롤 억지로 몇번 부여받더니 이젠 안정감까지 무너진거 같습니다.

그나마 도란이 최근 준수하긴 한데, 이게 다른 탑솔들이 무너져서인지 긴가민가합니다.
20/04/13 21:04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스덕선생
20/04/13 20:58
수정 아이콘
사실 서드까지 뽑기가 어려운거지, 굳이 못뽑혀서 아쉬울 선수는 없죠.

쿠로 이야기가 나와서 부연하면 올 시즌 쿠로가 소위 빅3에 비해 아쉽다 이정도가 아니었죠.
사실 꽤 격차가 크게 났다고 봅니다. 서부리그 나머지 2명인 쇼메이커와 비교해서도 쿠로가 엄청 앞서는게 아니니까요.
좋은데이
20/04/13 21: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신인 - 케리아
MVP - 클리드 or 쵸비 (누구 한명이 확 치고나갔다고 보긴 어렵긴하지만, 상위권팀에서 확실한 에이스롤을 잘 수행했다고 봐서..)
1라기준 - 기인/클리드/페이커/테디/케리아
2라기준 - 도란/클리드/쵸비/하이브리드/투신
평균치 - 너구리/클리드/비디디/데프트/케리아
이게 애매한게 고점기준으로는 기인/클리드/쵸비/테디or에이밍or하이브리드/케리아 가 가장 폭발력있게 보여줬다고 보는데
기인/테디는 2라 지나면서 부진한점, 하이브리드는 1라에 부진했던 점, 쵸비/케리아는 2라초반 꽤 부진했던점,
, 데프트는 T1전에서 상대적으로 아쉬웠던 점, 에이밍은 DRX전에서 상대적으로 아쉬웠던 점, 너구리는 평균적으로 나쁘진 않은데 확 1인자 느낌은 아니었고.. 결국 클리드말고 확 꽂히는 선수가 없네요.
페로몬아돌
20/04/13 21:47
수정 아이콘
1st : 너구리/클리드/쵸비/에이밍/케리아
2nd : 기인/커즈/비디디/데프트/에포트
3rd : 도란/보노/페이커/테디/투신
Young Player : 케리아, Regular Season MVP : 쵸비 , Best Coach : 씨맥
20/04/13 21:56
수정 아이콘
신인상: 케리아

MVP: 우승팀에서 나오는 게 맞다고 생각해서, 젠지-클리드, DRX-쵸비, T1-테디

퍼스트: 너구리-클리드-쵸비-테디-케리아
세컨드: 도란-커즈-비디디-에이밍-에포트
써드: 기인-보노-페이커-하이브리드-리헨즈

베스트 코치: 씨맥 or 김정수 (1위시)

쓰레기통: 큐베-타잔-플라이-루트-시크릿
유사장
20/04/13 22:36
수정 아이콘
신인왕: 케리아
MVP: 쵸비
퍼스트: 너구리 클리드 쵸비 테디 케리아
세컨드: 기인 커즈 페이커 에이밍 에포트
써드: 라스칼 표식 비디디 하이브리드 리헨즈
뽑을 선수 못 정하겠어서 넣은 선수: 표식
못 넣어서 아쉬운 선수: 쿠로 칸나 데프트
수박바
20/04/13 22:40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하시네요 크크크 미드 순위 대로 가신것도 그렇고
다른점이 있으시다면 서드에 하이브리드 대신 데프트를 넣은것 정도?
많은 분들이 팀 가중치를 둬서 약팀에서 에이스인 선수들을 더 높게 치시긴 하지만 전 성적충이라 역으로 팀 가중치를 둬서
포시도 못 올려보낸 팀 선수를 올 lck 팀에 2명이나 둘 이유가 없다고 보는지라 크크 서드팀에 기인 한명이면 충분하다는 생각이
20/04/13 22:49
수정 아이콘
퍼스트만 뽑자면 너구리 클리드 비디디 테디 케리아
인듯하네요. 핵심은 1라운드 2라운드 통산이니깐요.
프테라양날박치기
20/04/13 22:53
수정 아이콘
1라를 통으로 못봐서 딱히 뽑을 생각은 없는데, 제가 본 경기 기준으로만 하면 원딜은 다 필요없고 하이브리드 원탑입니다 크크크크

여하튼 제가 본 2라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탑이 애매하네요. 확실히 칸이 떠나고 기인이 본인까지 흔들리기 시작하니 탑에 갑자기 인물이 사라진 느낌. 메꿔주길 기대한 서밋은 모니터에 챔피언이 많아질수록 약해지는 불치병을 앓고있고... 사견이지만 칸나/라스칼/도란 이 친구들은 셋다 제대로된 칼챔으로 여러차례 캐리하는걸 보기 전까진 전성기 칸이나 기인과 같은 반열에 둘수는 없다 생각합니다. 물론 이렇게 두면 현 메타에선 좀 억울할수는 있네요. 스플릿 전문가들이 LCK에서 나와서 힘쓰는일이 거의 없더군요.
20/04/13 23: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미드 리인전은 +정글 이라고생각해서 신인 정글러(지표들이 좋진 않죠) 데리고 팀 이끌고 있는 쵸비가 한손가락에 꼽혀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불안정한 탑 그리고 미드로서의 포스나 역량뿐만 아니라 탑으로도 기용되는 다재다능함까지 고려할 수 있구요.
비오는풍경
20/04/13 23: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감독상에 대한 얘기는 별로 없네요. 씨맥 아니면 김정수 같은데 아무래도 씨맥 쪽으로 기울 확률이 높아보이긴 합니다.
그리고 신인상은 기준을 바꿨으면 좋겠습니다. 대체 어느 스포츠 신인상이 나이로만 기준을 잡습니까?
늦깎이 데뷔한 신인들은 신인도 아니라는 거에요?
이름도 신인상이 아닌 영 플레이어상인데... 대체 이 상에 무슨 의미가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정글자르반
20/04/13 23:13
수정 아이콘
퍼스트부터 써드까지 어렵네요. 많이들 각자의 기준으로 뽑아주셨으니 저는 생략하고 그냥 각 포지션 단상이나 쓰렵니다


탑 ㅡ 탑솔의 나라는 옛 영광인가 싶을정도로 고만고만 했습니다. 솔직히 명목상 세명이 뽑히긴 하겠으나 타 라인에 비해서 가장 임팩트가 없다고 기억될것 같네요

정글 ㅡ 정글했다? 표식정도 제외하고는 왠만하면 성적에 맞는 퍼포먼스였어요. 라이너 영향을 너무 많이 받는 포지션이라 애초에 제약을 극복하기 너무 힘듭니다. 다만 미드가 약했던 정글러들은 조금 더 점수를 줘야 할 거에요. 솔직히 불쌍했어요 플로리스 타잔 스피릿/드레드요.

미드 ㅡ 신과구의 연결고리? 상위권 세미드가 경력으로 보면 재밌게도 저 가사와 매치가 되네요. 상위권 미드들이 국밥과 셰프 스페셜을 넘나들며 즐거움을 줬습니다. 쇼메도 슬슬 시동 걸어서 좋아요

바텀 ㅡ 여전히 조선의 피지컬 깡패들은 죽지 않았습니다 룰러 빼고 기존의 강자들은 이름값 증명을,에이밍은 알을 깨버렸고, 리그 중반부터 전혀 예상치 않은 곳에서 다이너마이트가 터져버렸습니다.

서포터 ㅡ 마타의 재림. 다른 포지션에서 안정감과 기복 이슈가 많은데 lck에서 가장 안정적인 모습을 케리아가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이미지보다 에포트는 준수했고 투신은 에이밍을 위해 헌신하는걸로 바뀌었습니다
티모대위
20/04/14 08:50
수정 아이콘
음 제 이번시즌 소회랑 진짜 똑같네요
저격수
20/04/13 23:20
수정 아이콘
First : Nuguri Clid Chovy Teddy Keria
Second : Rascal Bono Faker Deft TusiN
Third : Kiin Canyon(Cuzz) BDD Aiming Effort

매판 아군 서포터를 먼저 위로 올려보내는 건 원딜로서 상상 이상의 희생이고 자신의 캐리를 반쯤 포기하면서 승리를 노리는 플랜이라, 데프트를 세컨드로 올렸습니다. 절대 팬이라 그런 거 아닙니다.
나물꿀템선쉔님
20/04/13 23:23
수정 아이콘
도란 고평가 장난 아니네요 허허

퍼스트팀 : 라스칼 - 클리드 - 비디디 - 에이밍 - 케리아
세컨드팀 : 기인 - 플로리스 - 쵸비 - 하이브리드 - 리헨즈
써드팀 : 칸나 - 보노 - 페이커 - 데프트 - 투신

ROY : 케리아
MVP : 클리드or페이커or쵸비
20/04/14 01: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 4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격수
20/04/14 02:42
수정 아이콘
몇 경기나 부진한 선수에게 퍼스트를 줄 수는 없죠. 한 시즌은 달랑 18경기로 구성되어 있답니다.
댓글에서 사람들 자극하고 싶어하는 그 마음은 알겠는데 너무 속보여요.
20/04/14 03:19
수정 아이콘
굳이 본인과 평가가 다르다고해서 보는 눈 얘기하시며 묘하게 까는 글을 올리실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다들 그냥 자기 취향과 보는 관점이 다른거죠. 다들 그래서 저마다 사족을 달아놨는데요. 얼마나 전문가이신지는 모르겠지만 케리아는 고평가라고 하기엔 해설가 분석가 전프로 현프로 모두에게 평이 좋은 건 팩트죠.
정글자르반
20/04/14 08: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캐리한 경기를 누구 맘대로 뺍니까? 크크크 님 맘대로요? 네 빼봐요. 그럼 너무 많은 경기 빠질텐데? 그리고 drx에 쵸비 데프트 있다는걸 제발 잊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저들이랑 경쟁하면서 캐리력 보여준겁니다. 일원으로 준수한거랑 캐리하는것의 차이를 입 아프게 난이도 이야기 해야 아는건 아니시죠?

롤알못 어쩌고 운운하시는데 댓글에 케리아 퍼스트 아닌것 님포함 딸랑 두명이네요. 다 롤알못이겠죠? 그럼 롤알못들 설득당하게 좀 구체적인 근거좀 써주세요. 추상적이고 개인의 주관에 입각한것 말고 경기 장면이나 지표가지고 오세요. 칸나가 케리아보다 통합으로 더 나았다는 증거요. 아... 칸나도 탑쓰리에 뽑으신분 딱 두명이네요 탑3에도 거의 안뽑히는 칸나가 서폿 1픽 몰표받은 케리아보다 통합점수 높다는 근거좀 가져와주세요

티원팬도 에포트가 팀의 중심입니다 하면 헛웃음 나올것같은데. 진심으로 주장하는건 아니시죠? 누구마음대로 에포트가 중심?
장고끝에악수
20/04/14 08:22
수정 아이콘
이번시즌 얘기하는데 왜 작년을 꺼내오시는지 논리도 없고 롤 보는 눈도 부족하신것같아 안타깝네요~
베스타
20/04/14 09:42
수정 아이콘
롤 보는 눈 드립은 너무 나가신거죠. 님도 롤잘알은 아니잖아요.
카푸스틴
20/04/14 13:12
수정 아이콘
네이버 블로그하세요?
20/04/14 15:48
수정 아이콘
백번양보해서 에포트가 케리아보다 낫다고하시면 존중 해드릴수 있는데
케리아보다 칸나가 낫다고 하시면 그냥 나는 티원골수팬이다 인증밖에 안되죠. 크크

하여간 pgr에서 슼까들때문에 고통받는 팬분들이 성토하는거 이해는 되면서도 한번씩 이렇게 다른팀 눈치 하나도 안보고 급발진하는 슼팬들이 나름대로 업보를 쌓고 있는점도 알아주셨으면 좋겠군요. 어휴 진짜... 배려라는건 어디에 두고 있는건지.
스톤에이지
20/04/14 02:25
수정 아이콘
퍼스트 : 너구리 클리드 비디디 에이밍 케리아
세컨드 : 라스칼 커즈 쵸비 테디 에포트
써드 : 도란 보노 페이커 하이브리드 투신

퍼스트는 그냥 각 라인별 POG 1등이네요
20/04/14 03:15
수정 아이콘
퍼스트 : 너구리 클리드 쵸비 테디 케리아
세컨드 : 기인 커즈 페이커 데프트 리헨즈
써드 : 도란 보노 비디디 에이밍 에포트

좀 부진한다해도 좋은 모습이 더 기억에 남는 선수들 위주네요. 퍼스트는 확실히 게임내에 존재감과 캐리력 있는 모습을 보여준 선수들. 세컨드는 전체적으로 캐리력 비중은 낮아도 팀의 기본을 받쳐주고, 우승 플랜을 실행하게 해주는 솔리드했던 선수들. 세번째는 그 외에 제 기준 뽑고싶은 선수들 입니다. 이래저래 고민되는 선수들도 많긴하네요.
응~아니야
20/04/14 07:08
수정 아이콘
도란은 한타력이 개노답이라도 미친듯한 라인전 클라스 생각하면 무조건 한자리줘야할듯

1st 너구리 클리드 쵸비 테디 케리아
2nd 도란 커즈 비디디 데프트 리헨즈
3rd 라스칼 보노 페이커 에이밍 에포트

굳이 아까운 선수들로 4th 팀 뽑으면
기인 표식 쿠로 하이브리드 투신 줄 듯
날아라슈퍼냥
20/04/14 08:42
수정 아이콘
신인왕: 케리아
MVP : 비디디 or 페이커(순위)
퍼스트: 라스칼 클리드 페이커 테디 리헨즈
세컨드: 기인 보노 비디디 하이브리드 에포트
써드: 익수 커즈 쵸비 에이밍 케리아

표식은 써드까지 들어갈 정도로 잘한다는 느낌은 없고 오히려 시즌중에 쵸비라서 좋게 나오는게 아니냐 할 정도로 말이 나와서... 정글은 아무래도 시야점수도 어느정도 들어간다봐서 써드까지는 안되는 느낌이고, 커즈는 아무래도 초반에 막 들어가는 스타일이 아니라 초반 개입력이 많이 필요한 지금시점에서는 조금 떨어지지않나싶어요.

미드는 쵸비 빼고 비디디 페이커 2명중 아무나 해도 크게 상관없을거같은데 이번 시즌 상대전적 기준으로 줄세웠고... 쵸비같은경우에는 최근 티원전때 비디디랑 비교하면 너무 기대 이하였던지라 써드로 내리고, mvp같은 경우에도 t1만나서 미드차 팍팍내면서 이기는거 아니면, mvp가능성은 없다고 봅니다. 첫 시즌때, 엄청난KDA때문에 생각보다 너무 고평가 들어가는 부분이 있는거같아요. 칼챔 숙력도는 높지만 아지르 등 ap쪽이 많이 좁아보이는게 조금은....

원딜은 최근 에이밍 하이브리드가 너무 잘해주다보니 테디, 에이밍중 1~2위, 하이브리드는 지금 같은 실력으로 서머까지 간다면 서머에서 평가할때에는 1위가 당연한데 1라때 조금 성적이 안나온게 1위를 못받는 이유인듯합니다... 한 6~7승 찍었으면 1위에 하이브리드가 들어갔을거에요.

탑은 익수가 들어간건 다양한 폭이랑 과감한 플레이에 가점이 들어갔고... 젠지나, T1, DRX가 팀이라면 좀 더 평가가 올라갈거같은 선수, 기인은...... 요새 플레이가 너무 안좋아서 2위로 밀려난감이 있고 라스칼은 최근 오른으로 항문개방한느낌이 있는데, 그 경기 이외에는 플레이에서 부족함이 많이 보이지 않았던거 같아요. 예전 킹존때부터 지금 젠지까지 팀원바뀌고 해도 어느정도 보여준게 있었고, 칸나는 아직 저기 들어갈 정도의 검증이 되지 않았고, 도란은 캐리한다는 느낌보다는 이기는 판에서 눈에 플레이가 들어오지만, 지는경기에서는 1라때 안좋게 눈에 띄는 모습이 보여서 지금이야 잘한다고는 하지만 좀 주사위 많이 굴러가는느낌..
20/04/14 10:23
수정 아이콘
퍼스트 : 너구리 - 클리드 - 쵸비 - 에이밍 - 케리아
세컨드 : 기인 - 커즈 - 비디디or페이커 - 하이브리드 - 에포트
써드 : 도란 - 보노 - 비디디or페이커 - 테디 - 리헨즈

미드는 마지막 라운드까지 보고 정하고 싶네요

못들어서 아쉬운 명단은
라스칼,칸나 - 플로리스 - 쿠로 - 데프트 -투신

워스트팀은
서밋 - 타잔 - 유칼 - 뉴클리어 - 아이로브
ge휘인
20/04/14 12:32
수정 아이콘
퍼스트 : 너구리-클리드-비디디-에이밍-케리아
세컨드 : 도란-커즈-쵸비-테디-에포트
써드 : 칸나-보노-페이커-하이브리드-리헨즈

솔직히 탑은 역대급으로 임팩트 없는 시즌이라고 생각합니다
뽑긴했지만 그나마 너구리 정도만 눈에 띄는..?

미드는 순서를 정하긴 했지만 순서를 바꿔도 안이상할만큼 각자 잘하고 있다고 생각해서 그나마 아쉬웠던게 덜 생각나는 순서대로 적었네요

원딜은 에이밍이 포텐이 팍 터졌고
테디는 1라때보다는 부진하지만 그래도 폼이 많이 하락한것까지는 아니라 세컨드에 넣었습니다
하이브리드는 진짜 보물같은 선수네요
개인적으로 데프트 룰러선수 둘다 좋아하는데
이번시즌은 둘다 잘하든 못하든 상관없이 존재감이
안느껴지는..?
데프트는 쵸비 케리아한테 묻히는 느낌이고
룰러는 그냥 스스로 무덤파는..
뚜루루루루루쨘~
20/04/14 16:40
수정 아이콘
너구리를 퍼스트에 두시는 분들이 꽤 되네요.
전체적으로 보면 라스칼이 확실히 공수밸런스 맞고 짬처리도 잘하고 잘 맞는거 같은데...
걍 현 1,2,3위가 탑은 딱 맞는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270 [LOL] [펌]APK 시크릿 선수를 위한 변명 - 가자미와 도미 [9] 1등급 저지방 우유11113 20/04/17 11113 0
68269 [LOL] 정규시즌 POG 라인별 총 투표수 탑5 [21] qwerasdf9782 20/04/17 9782 0
68268 [LOL] 챌린저스로 간 진에어가 또 대기록을 작성했습니다. [21] 비오는풍경11072 20/04/17 11072 0
68267 [LOL] 관계자 5명이 뽑은 올프로팀 & 시즌 MVP 현황 [31] Leeka8852 20/04/17 8852 0
68266 [LOL] 현재 레드/블루사이드 간 균형이 맞지 않는것 같습니다. [36] 작은형13452 20/04/17 13452 1
68265 [LOL] 관계자들 플옵 예측 + 저도 플옵 예측 [116] roqur13033 20/04/17 13033 0
68264 [LOL] 몇가지 LPL 관련 이야기들 [25] 신불해14903 20/04/17 14903 13
68263 [LOL] 관계자들이 방송에서 뽑은 올 프로팀 [61] Leeka11051 20/04/17 11051 2
68262 [스타2] [2020 GSL S1] 8년 5개월 만의 GSL 도전, 그 장벽은 높았다. [8] RagnaRocky9841 20/04/17 9841 3
68261 [배그] 초창기 배그 이후 정말 오랜만에 배그를 해보았습니다. [12] 랜슬롯9894 20/04/17 9894 4
68260 [LOL] 2020 스프링 수상을 개인적으로 뽑아봤습니다. [59] jakunoba9785 20/04/17 9785 0
68259 [LOL] [LCK 포스트 시즌 분석 1탄] KT 롤스터 [19] elkyy9393 20/04/17 9393 8
68258 [LOL] LCK 스프링 2020 각팀 지표 [10] 니시노 나나세9036 20/04/17 9036 0
68257 [LOL] DRX APK 2세트 칼리가 아지르와 계약한 이유 [36] om111212539 20/04/16 12539 0
68256 [LOL] 이번 주 LCK MVP [21] 스위치 메이커10755 20/04/16 10755 1
68255 [LOL] 스프링 마무리를 앞두고 대거 후원에 나선 BMW [28] 及時雨11734 20/04/16 11734 0
68254 [LOL] 이번 주말 예정된 결승전들: LEC, LCS + VCS [13] 비역슨8648 20/04/16 8648 2
68253 [기타] 무료게임들(플스, PC) 배포 정보 [24] soulbass11133 20/04/16 11133 1
68252 [LOL] 승강전 직행을 향한 챌린저스 코리아 정상결전 [15] 비오는풍경10424 20/04/16 10424 0
68251 [LOL] 2/3위 결정전과, 플레이어 오브 스플릿만 남은 현황 [26] Leeka10517 20/04/15 10517 1
68250 [기타] [WoW ]어둠의 땅 확장팩 권장사양 [63] 토니파커17967 20/04/15 17967 0
68249 [스타1] ASL 4강 이재호vs박상현 [17] 빵pro점쟁이12273 20/04/15 12273 0
68248 [LOL] FPX 롤드컵 우승 스킨이 공개되었습니다 [106] Pessoa13681 20/04/15 136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