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3/23 22:32:46
Name 삭제됨
Subject [LOL] 와디드&리라가 말하는 LCK 프리뷰 + 분석데스크 없어진다네요.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3/23 22:37
수정 아이콘
이미 t1은 아프리카한테 졌는데 안 질거 같다는 주장은 의아하네요. 경기 내용으로 봐도 신승한 것도 아닌데
감별사
20/03/23 22:48
수정 아이콘
리라 http://vod.afreecatv.com/PLAYER/STATION/54436112
와디드 https://www.twitch.tv/videos/573432618
해당 영상을 보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저도 한 번 봐보려고요.
20/03/23 23:17
수정 아이콘
저도 이상해서 봤는데 저게 맞네요...
오히려 [DRX가 메타랑 잘 맞아서 2위 할 것 같다 -> 1위 할 것 같다] 로 들리네요
차은우
20/03/23 22:44
수정 아이콘
전 아프리카한테 상위권 세팀중에서는 티원이 제일 나은거같아요. 일단 플라이가 안터지고 후반으로 가는 가능성이 제일 높음..
20/03/23 23:21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생각하는데 리라 생각의 이유가 좀 궁금하네요.
20/03/23 22:54
수정 아이콘
T1 한줄요약 날카롭네요. [스타일 변할까?
뚠뚠이
20/03/23 22:58
수정 아이콘
칸나가 솔랭에서 보여주는 탑루시안 이런 것도 2라운드 혹은 서머에서 한번은 보여주겠지싶습니다. 사실 지금 스타일로 젠지 DRX 다 잡아봤으니 굳이 안 바꿔도 문제없어보이기도 하구요.
스덕선생
20/03/23 23: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T1이 스타일 바꾸는건 어려울거라 봅니다.

지금의 스타일은 팀적으로 원해서 하는게 아니라 칸나의 라인전 약세, 페이커의 초반 주도권 약화가 겹쳐서 나온 고육지책이죠.

작년에 T1과 유사한 패턴을 보여준게 딱 젠지였는데 이것 역시 큐베의 기량저하와 미드라인의 약점이 겹쳐져 어쩔 수 없이 그런 스타일을 한 거였고요. 뭐 젠지보단 기본기면에서 훨씬 단단합니다만
20/03/23 23:09
수정 아이콘
초반주도권을 줄 수밖에 없는 라이너들의 픽과 룬선택이 많아서 저는 팀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7승 2패면 충분히 시도해볼만 하죠.
기사조련가
20/03/24 09:22
수정 아이콘
제가 탑솔입장에서 보면 미드바텀은 라인 당기고 있고 커즈는 자기정글 방어하기 바쁜 입장이라 탑이 공격적으로 하면 갱에 호되게 쳐맞아서 약하게 갈수밖에 없어요. 정글러랑 미드가 탑으로는 거의 안가니까요.
베스타
20/03/23 23:24
수정 아이콘
이번 시즌은 개인적으로 와디드와 리라의 시선이 가장 공감가네요. 거의 싱크로율이 95% 이상...
Do The Motion
20/03/24 00:03
수정 아이콘
코커는 이제 출세해서 떠나는건가요 크크
로즈엘
20/03/24 00:10
수정 아이콘
그 안 좋은 소식이 코커가 가는 건가요
감별사
20/03/24 00:58
수정 아이콘
그건 외국인 해설 한 명이 입국금지된 거 아니었던가요?
밀크카밀
20/03/24 00:32
수정 아이콘
페이커의 리산드라는 상대를 빡치게 한다는 와디드 말에 공감합니다. 페이커의 리산드라 +커즈의 그레이브즈 보고 싶네요.
이정재
20/03/24 00:33
수정 아이콘
리라가 말하는 상성이 뭔지 모르겠네요
20/03/24 00:53
수정 아이콘
저번에 빛돌 없이 와디드 리라 진행할 때 리라 목소리 정말 좋았는데 해설도 들어보고 싶습니다.
이직신
20/03/24 02:00
수정 아이콘
전 개인적으로 아프리카가 정말 재밌는 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1라운드 마지막에 SKT 전에서 보여준 경기력이 너무 화끈하고 좋았어요.
기사조련가
20/03/24 09:20
수정 아이콘
저는 칸나가 신인이면 신인답게 시원하게 던지고 공격적으로 하는거루보고 싶은데 팀 상황 때문인지 그걸 못봐서 좀 아쉬워요. 원래 탑은 캐리하기도 하고 역캐리하기도 하는 법.....7번 캐리하고 3번 던지면 뭐 s급 탑인거죠.
더샤이 너구리도 다룬 김정수 감독인데 아쉽긴 해요.
더샤이랑 너구리가 천외천의 에고였나....크크
나스이즈라잌
20/03/24 09:37
수정 아이콘
김정수감독은 팀에 가장 효율적으로 맞추기위해 이렇게 운영을 하는것같습니다. 더샤이나 너구리가 공격적인능력이 팀이 도움이되니 이용했을뿐 지금은 테디라는 안정적인 캐리가 있으니 그게 더 맞다고 생각해서 탑 운영을 지금 처럼 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기사조련가
20/03/24 09:58
수정 아이콘
이번패치는 아펠도 너프버전이라 원딜이 힘쓰기 어렵거든요. 특히 오공의 등장으로 상체 박살메타가 올듯합니다.
나스이즈라잌
20/03/24 11:03
수정 아이콘
김정수감독이 과연 2라운드는 어떻게 준비했을지 기대가 되네요
興盡悲來
20/03/24 11:34
수정 아이콘
거꾸로 생각해봐야할지도 모릅니다.... 가는곳마다 있던 선수가 더샤이 너구리라서 이번에는 말 좀 듣고 얌전한 탑솔을 키우려고 하는지도... 실제로 인터뷰에서 더샤이 너구리가 말을 안들어서 길들이는데 고생했다 얘기도 했었고... ㅡㅡ;;
기사조련가
20/03/24 12:14
수정 아이콘
저는 꼭 길들여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들긴 합니다.가끔은 칸나가 마음껏 날뛸 수 있게 밀어주는것도....
興盡悲來
20/03/24 12:25
수정 아이콘
역대 롤드컵 우승팀들... SKT1, 삼성, IG, FPX 모두 탑솔러가 개인기량을 바탕으로 프리롤로 미쳐날뛰어 캐리해주는 방식으로 우승을 차지한 경우는 없으니, 탑솔러는 기본적으로는 야수같은 모습을 갖고있으면 좋겠지만서도 결국은 감독 말을 잘 듣는.... 작전수행능력이 중요하다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보는맛은 좀 미쳐날뛰는 선수들이 좋긴 한데....
기사조련가
20/03/24 12:31
수정 아이콘
ig는 탑캐리로 우승한거 맞지 않나요? 마린도 탑캐리였죠...뭐 선수마다 팀마다 다른법이죠.
20/03/24 14:31
수정 아이콘
예?? 아이지는 탑캐린데요 15sk도 탑캐리고요
바로 그런 사고 방식때문에 lck가 헤메고 있는건데... 롤판에 정답은 없습니다 우승이 답이죠
차은우
20/03/24 12:43
수정 아이콘
칸나 지금 능력치가 더샤이랑 너구리가 아니라는게 크지않을까요 크크
1등급 저지방 우유
20/03/24 09:46
수정 아이콘
어제 소문돌던 LS의 언급이 결국 해외중계진 공백관련이었나보네요
리라,와디드 두 분석은 해외경험도 있으니 투입될수도 있겠는데
빛돌은 영어가 어느정도인지 알수가 없어서 궁금하긴합니다

+세트별 분석데스크는 없다고 하더라도
매치전 프리뷰나 매치후 리뷰는 짧게라도 있었으면 하는데
공식적으로 그게 없다면 각자가 갠방에서 데일리 컨텐츠로 써먹으면 되겠네요
갠적으론 울모노가 강찬밥이랑 같이 하는것도 괜찮아보이기는 한데..
최종병기캐리어
20/03/24 09:59
수정 아이콘
와디드, 리라가 해외해설로 빠지고, 퀴돌성 / 전클동 조합 고정으로 해설간 교차가 안생기게 진행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興盡悲來
20/03/24 11:35
수정 아이콘
빛돌 해설로 컴백하면 또 여기저기서 빛소리 운운하면서 까일 것 같은데..... ㅡㅡ;;
10월9일한글날
20/03/24 15:42
수정 아이콘
분석데스크 일부만 해설시킬순 없으니 다 데리고 오긴 했는데, 뭐 이것도 실험으로 볼 순 있겠네요.. 해설진 풀이 워낙 적고 새얼굴 들어오는게 힘든 곳이다보니
여튼 울프.. 힘들겠지만 빼먹지말고 혼자서 끝까지 방송 해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141 [기타] (게임추천) 실력지상주의, 뇌지컬 게임 추천 [46] 아이작존스13848 20/04/01 13848 4
68140 [LOL] 만우절 기념, LCK 및 국제대회 우승 준우승이 바뀌었다면? [29] 반니스텔루이12128 20/04/01 12128 0
68139 [LOL] 차라리 만우절 거짓말이었으면...JPG [10] 신불해86220 20/04/01 86220 0
68138 [기타] 라스트 오브 어스 : 메인 스토리 #2 "격리 구역(The Quarantine Zone)" [7] 은하관제10632 20/04/01 10632 6
68136 [LOL] LCS 9주차 요약 - 지켜진 LCS의 위상 [10] 비오는풍경11291 20/03/31 11291 2
68135 [LOL] 오늘자 ESPN 파워랭킹 [47] ELESIS15460 20/03/31 15460 0
68132 [LOL] 이번 주 LCK 배당입니다. [26] 삭제됨14414 20/03/31 14414 0
68131 [기타] 동숲도 제끼고 엔딩까지 달린 13기병방위권 리뷰 [30] 소이밀크러버15566 20/03/31 15566 3
68130 [기타] 발로란트, 4월7일 북미/유럽 제한적 클베 시작 [39] 마빠이11913 20/03/31 11913 0
68129 [기타] 거저나 다름 없는 스위치 킬링타임 게임 추천 [9] 及時雨13798 20/03/31 13798 0
68128 [오버워치] OWL 8주차 리뷰 [8] Riina10319 20/03/31 10319 4
68127 [기타] 라스트 오브 어스 : 메인 스토리 #1 "고향(Hometown)" [25] 은하관제13087 20/03/31 13087 7
68126 [LOL] 역대 롤드컵 우승팀의 게임시간과 골드격차 [165] ELESIS17795 20/03/30 17795 8
68125 [LOL] TFT 10.7 예정 패치 노트 및 이후 메타 예상 [41] 삭제됨13028 20/03/30 13028 2
68124 [LOL] LCK 2 ROUND 1주차 POG Share [10] GogoGo9521 20/03/30 9521 0
68123 [LOL] 현 4대리그 가장 독보적인 최악의 팀, V5 [15] 신불해15774 20/03/30 15774 9
68122 [LOL] 보기보다 의외로 인게임 멘탈이 약한 듯한 선수 [15] 신불해17678 20/03/30 17678 0
68121 [LOL] LCK 6주차 맘대로 뽑아본 라인별 BEST and WORST [56] 삭제됨12872 20/03/29 12872 0
68120 [LOL] 각 국가의 LOL 국가대표를 짜봅시다! [114] 조율의조유리16256 20/03/29 16256 0
68119 [LOL] 은근히 저평가 받는 선수 [43] 가스불을깜빡했다15948 20/03/29 15948 2
68118 [LOL] 확정된 LEC 플레이오프 대진 / 정규시즌 개인 시상 예상 [7] 비역슨10973 20/03/29 10973 3
68117 [스타2] 2020 GSL 슈퍼 토너먼트 시즌1 결승전 우승 "조성주" [1] 김치찌개9820 20/03/29 9820 3
68116 [LOL] (수정) 테디의 고통은 나아졌는가? [55] Eulbsyar85303 20/03/28 853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