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3/13 22:18:29
Name Ensis
Subject [LOL] 리그제 도입 이후 역대 MVP(+POG) 누적 포인트 1~30위

(원출처 : 슼마갤)


(공식적으로 리그제 도입한 15스프링 이후부터 기준)


(정규시즌 + 플레이오프 합산 수치)


(팀명 뒤 시즌은 LCK에서 플레이한 시즌 숫자)




1위. 10,600점 : Faker  (SKT - T1, 11시즌)


2위. 7,800점 : Smeb  (Tigers - KT,  10시즌)


3위. 7,500점 : Kuro  (Tigers - AF - KT,  9시즌)


4위. 6,900점 : Score  (KT, 10시즌)


5위. 5,700점 : Bdd  (CJ - LZ - KZ - KT - GEN,  8시즌)


6위. 4,900점 : Peanut  (NJE - Tigers - SKT - KZ - GEN,  10시즌)


7위. 4,600점 : Bang  (SKT, 8시즌)


T-8위. 4,500점 : Khan  (LZ - KZ - SKT, 5시즌)


T-8위. 4,500점 : CuVee  (SSG - GEN - HLE, 11시즌)


10위. 4,300점 : Deft  (KT - KZ - DRX, 7시즌)


T-11위. 4,000점 : Pray  (Tigers - LZ - KZ - KT, 9시즌)


T-11위. 4,000점 : Ssumday  (KT,  4시즌)


13위. 3,900점 : Ambition  (CJ - SSG, 8시즌)


T-14위. 3,700점 : Crown  (SSG - GEN, 8시즌)


T-14위. 3,700점 : Teddy  (JAG - SKT - T1, 7시즌)


T-16위. 3,400점 : TuSiN  (IM - AF - KZ - KT, 9시즌)


T-16위. 3,400점 : Tempt  (BBQ - ROX - HLE, 8시즌)


T-18위. 3,300점 : Duke  (NJE - SKT, 4시즌)


T-18위. 3,300점 : Ruler  (SSG - GEN, 8시즌)


T-18위. 3,300점 : Clid  (SKT - GEN, 3시즌)


21위. 3,200점 : Kiin  (Winners - AF, 6시즌)


T-22위. 3,100점 : Fly  (KT - LZ - GEN - AF, 7시즌)


T-22위. 3,100점 : Mickey  (ANC - AF - ROX, 5시즌)


T-22위. 3,100점 : Chovy  (GRF - DRX, 4시즌)


25위. 2,900점 : Sangyoon  (ANC - AF - ROX, 9시즌)


26위. 2,800점 : Tarzan  (GRF, 4시즌)


T-27위. 2,600점 : Wolf  (SKT, 7시즌)


T-27위. 2,600점 : Haru  (SSG - GEN - SKT - HLE,  7시즌)


T-29위. 2,500점 : GorillA  (Tigers - LZ - KZ - SB, 9시즌)


T-29위. 2,500점 : coco  (CJ - LZ, 4시즌)


T-29위. 2,500점 : Viper  (GRF, 4시즌)




포지션별 TOP 5


TOP 

7,800 : Smeb

4,500 : Khan, CuVee

4,000 : Ssumday

3,300 : Duke


JGL

6,900 : Score

4,900 : Peanut

3,900 : Ambition

3,300 : Clid

2,800 : Tarzan


MID

10,600 : Faker

7,500 : Kuro

5,700 : Bdd

3,700 : Crown

3,400 : Tempt


ADC

4,600 : Bang

4,300 : Deft

4,000 : PraY

3,700 : Teddy

3,300 : Ruler


SPT

3,400 : TuSiN

2,600 : Wolf

2,500 : GorillA

1,900 : Mata, Key





(이 정리된걸 보고 몇몇 감상들)


- MVP 포인트는 매번 말 나오는 선정들도 있었지만 이렇게 누적으로 보면 확실히 그럴만한 선수들


- 페이커 만점돌파;;


- 스멥과 쿠로가 2,3위. 쿠로가 중국에서 1년 보냈고 스멥이 복귀각을 재고(?) 있지만, 아마 통산 2위가 쿠로가 되지 않을런지?


- Bdd의 누적 점수에도 놀라고, 누적 시즌을 보니 정말 어릴때 데뷔했구나 싶은...


- 4시즌 뛰고 4천점 쌓은 썸데이.... (3시즌 뛰고 3,300점 쌓은 클리드....)


- 리그제 도입 이후 최다 MVP 수상 서포터는 투신인것도 흥미롭고, 서포터 1~5위 목록 보니 서포터는 정말 세대교체가 젤 빨리 된 포지션인거 같기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감별사
20/03/13 22:21
수정 아이콘
그냥 단순하게 점수 나누기 시즌 하는 것도 재미있겠네요.
그보다 스멥은 언제 복귀하려나.....
20/03/13 22:54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거 듣고 그냥 본문에 나온걸로 나누기 해봤는데 클리드(1,100) - 썸데이(1,000) - 페이커(964) - 칸(900) - 쿠로(833) - 듀크(825) - 스멥(780) - 쵸비(775) 이런 식으로 가네요
감별사
20/03/13 22:57
수정 아이콘
3시즌 뛰고 평균값 1위한 클리드 위엄...
20/03/13 23:12
수정 아이콘
사실 평균값이니 적게 뛰는게 유리할수도? 크크크
감별사
20/03/13 23:13
수정 아이콘
앗...그것도 일리가 있네요. 크크...
다리기
20/03/14 09:07
수정 아이콘
보통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평균에 수렴하죠. 페이커처럼 커리어 내내 탑급인 경우는 드무니까요.

클리드도 한 3시즌 더 뛰면 평균으로는 저 위치에 못있을 확률이 높겠죠 보통이라면..
Supervenience
20/03/15 05:09
수정 아이콘
테디가 좀 억울하죠 일단 팀이 이겨야 받을테니 크크
퍼리새
20/03/13 22:25
수정 아이콘
주인공 포지션과 도구 포지션들의 차이도..
Nasty breaking B
20/03/13 22:29
수정 아이콘
저도 보면서 썸데이 클리드가 가장 눈에 띄더라구요.
사이퍼
20/03/13 22:49
수정 아이콘
스멥 스코어 페이커 뱅 까지 엠브이피 1등이 역대 최고 lck인건 확실한거 같은데 하필 울프가 2등이네요.
잉여신 아쿠아
20/03/13 22:52
수정 아이콘
스맵아 ㅠㅠ
합류했어야지 ㅠㅠ
20/03/13 23:43
수정 아이콘
"왕호야 너는 SKT에 갔지만 형은 SKT를 잡고 싶어서 KT에 갔어"(실제로 한 말)
VinnyDaddy
20/03/14 01:45
수정 아이콘
그 결승 끝나고 스멥이 그 영상 보다가 저 장면에서 "못보겠어요" 하면서 꺼버리더라구요 ㅠㅠ
다리기
20/03/14 09:10
수정 아이콘
그래도 스맵 아니었으면 우승도 한 번 못할 뻔한 팀이어서.. SKT도 떨어뜨려 보기도 했고요.

SKT를 잡는다는 게 페이커를 이겨야된다는건데. LCK 역사상 그걸 해낸 팀이 서너팀이 끝이에요. 스맵이 SKT 갔으면 롤 역사가 또 많이 달라졌겠네요
카르타고
20/03/13 22:59
수정 아이콘
와 썸데이 미쳤네요 진짜...
썸데이는 북미가서도 클라스 유지하고 롤드컵에서도 맞라인 밀리지않는 몇안되는 북미선수라 국내에 남았어도 밥값은 했을꺼 같습니다.
하필 리빌딩 타이밍에 풀린 매물이 스맵이라서...
다크템플러
20/03/13 23:03
수정 아이콘
투신이 18년 한해동안 2천점가까이 받았을겁니다 크크 특히 18스프링이 엄청났죠
인간atm
20/03/14 00:55
수정 아이콘
투신이 정규시즌은 임팩트있게 잘했는데 중요한 순간에 자주 미끄러져서..
20/03/14 01: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비디디는 CJ반년+KT1년+롱주 반년해서 거의 2년 가까이 승을 못쌓았을텐데 5위네요;; 좋은팀에서 데뷔해서 중간에 커리어 안꼬였으면 더 높이 갔겠네요 크크
20/03/14 02:21
수정 아이콘
8시즌인거보면 17스프링은 아예 한경기도 안나와서 포함 안된거같긴 합니다 그래도 어마어마하죠
20/03/14 10:19
수정 아이콘
클리드,타잔 저번 시즌까지 대단했는데 타잔은 저기서 당분간 정체 하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099 [LOL] MID 포디움(Podium) 내역 (2015 단일팀 이후) [23] 오타니7488 23/04/25 7488 1
76742 [LOL] LCK 각팀 감독들과 페이커의 마지막 경기날짜 [19] roqur12518 23/02/24 12518 0
75834 [LOL] 결승만 남은 현재 각팀별 계약 상황.jpg [45] 아지매14535 22/10/31 14535 3
73739 [LOL] 은퇴한 LCK 레전드급 선수들의 10전 이상 70% 이상 승률 챔피언들 [24] Hestia6665 22/02/22 6665 2
72003 [LOL] 올해도 돌아온 e스포츠 코시엔 STAGE:0 [14] Yang13448 21/08/12 13448 1
70517 [LOL] 신과 같은 다전제의 페이커, 그리고 신과 맞선 자들 [51] ELESIS14979 20/12/29 14979 9
70017 [LOL] PGR에서 뽑았던 당대 라인별 선수들(12~15년) [27] Aqours9598 20/11/11 9598 4
68014 [LOL] 리그제 도입 이후 역대 MVP(+POG) 누적 포인트 1~30위 [20] Ensis9088 20/03/13 9088 0
61394 [LOL] 롱주와 크래쉬의 이별이 신의 한 수가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 중국 데마시아컵 소식 [14] 아마존장인9476 17/06/02 9476 3
60888 [LOL] 페이커 (SKT T1)를 5전 3선승제에서 잡았던 팀들 [45] 반니스텔루이13066 17/03/06 13066 1
60518 [LOL] LPL 2017 스프링시즌 로스터 모두 확정 (+코멘트) [59] Ensis11196 16/12/21 11196 3
60480 [LOL] 2016 스토브리그 희망하는 뇌피셜(?) 한번 적어보죠! [36] RookieKid9999 16/12/12 9999 1
60250 [LOL] 누가 페이커 상대로 잘 견뎌내었나? [79] Eulbsyar17321 16/11/01 17321 6
60046 [LOL] 롤드컵 정화 버그 관련 라이엇 코멘트 [41] Leeka9550 16/10/04 9550 1
58956 [LOL] 0401 LZ vs SBENU 2세트 - 경기 리뷰 [8] 한아8170 16/04/03 8170 36
58911 [LOL] 페이커, 롤챔스 800킬에 이은 또 다른 숨겨진 기록. [45] 반니스텔루이11501 16/03/28 11501 22
58410 [LOL] 현재까지 진행된 겨울이적시장 로스터 정리및 예상 [56] Tad12539 15/12/16 12539 3
58180 [LOL] 페이커 선수의 방송경기 176회 솔로킬 레코드 [54] 반니스텔루이17475 15/11/15 17475 79
58176 [LOL] 올스타전 투표가 시작되었습니다! [95] 반니스텔루이9660 15/11/14 9660 0
57328 [LOL] 새로운 스타가 필요한 LCK [44] CoNd.XellOs9145 15/07/26 9145 0
57162 [LOL] 시즌5 LCK 상위 6팀 선수들의 고승률 챔프 정리 #3 - CJ Entus [3] Vesta3940 15/06/29 3940 1
57060 [LOL] LCK 첫 바위게 획득 관련 통계 + 펜타킬 [92] 반니스텔루이20889 15/06/16 20889 43
57038 [LOL] 온게임넷의 펜타킬 역사 [63] 반니스텔루이12451 15/06/11 12451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