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2/24 20:27:33
Name Leeka
Subject [스타1] 스타1 시절, 랭킹 1위를 차지했던 10명의 프로게이머들의 기록 (수정됨)

다양한 랭킹이 있긴 했지만

그래도 모든 리그를 통합해서 집계했던.. 케스파랭킹 기준 1위를 차지했던 프로게이머는 총 10명입니다.


기간 : 2001년 11월 ~ 2012년 10월. 까지 총 12년.

-> 최초 선정 시기로 보는 1위 기록. 


임요환 - 이윤열 - 최연성 - 박성준 - 조용호 - 김택용 - 송병구 - 이제동 - 이영호 - 정명훈

: 임요환 - 이윤열 - 최연성.. 으로 대표되는 임이최.. 테란 강점기.
그 이후 박성준 - 조용호가 잠시 저그의 자존심을 지켜주고
'택뱅리쌍'으로 불리는 4명이 그 이후에 영원히 해먹는 와중에 정명훈이 반짝 1위를 했습니다. 

-> 종족으로 보는 1위 기록. 


프로토스 : 김택용 - 송병구

테란 : 임요환 - 이윤열 - 최연성 - 이영호 - 정명훈

저그 : 박성준 - 조용호 - 이제동

-> 누적 1위 기간으로 보는 기록. 

이영호 : 34개월
임요환 / 이윤열 : 17개월
이제동 : 16개월
최연성 : 12개월
박성준 : 11개월
김택용 : 6개월
송병구 / 조용호 : 4개월
정명훈 : 2개월

-> 연속 1위 기간으로 보는 기록. 

임요환 : 17개월
이윤열 : 16개월
이영호 : 14개월
박성준 / 이제동 : 11개월
최연성 : 8개월
조용호 : 4개월
김택용 / 송병구 : 2개월
정명훈 : 1개월


-> 번외 1 : 종족으로 보는 1위 기간

프로토스 : 10개월 (김택용 6 + 송병구 4)

테란 : 82개월 (이영호 34 + 임요환 17 + 이윤열 17 + 최연성 12 + 정명훈 2)

저그 : 31개월 (이제동 16 + 박성준 11 + 조용호 4)

비율로 따지면
프로토스 : 8.1%
테란 : 66.6%
저그 : 25.2%

의 비율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 번외 2 : 각 종족별 연속 1위 기간

프로토스 : 6개월 (김택용 - 송병구가 반복해서 1위를 한 07년 9월~08년 2월까지)
테란 : 41개월 (임요환 - 이윤열 - 최연성으로 이어지는 01년 11월~05년 3월까지)
저그 : 11개월 (박성준의 05년 4월~06년 2월 / 이제동의 09년 4월~10년 2월)



당연히 없어져야 될 기록을 삭제한 버전입니다. (다른 사람이 1위를 하는것도 이상하기에 그냥 삭제..)


+@ 이영호가 1위를 한 기간은..  저그가 1위를 한 기간보다 깁니다..
+@ 프로토스는 흑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바라스
19/12/24 20:30
수정 아이콘
카테고리가 스타1이되야할거같습니다
19/12/24 20:35
수정 아이콘
습관의 무서움이 ㅜㅜ
마스터충달
19/12/24 20:39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면 택뱅보다 투신이 훨 나아보이는데...
19/12/24 20:44
수정 아이콘
종족의 차이로 인한 시너지들이 크지 않았나...

택뱅이 사실 이영호/이제동보단 많이 부족한데 -.-;;
막상 토스중에 택뱅보다 더 커리어 잘 적립한 토스 있냐.. 라고 하면 막바지에 2회 우승 찍은 허영무 빼고 없었던것도 현실이라..
스톤에이지
19/12/24 21:02
수정 아이콘
강민도 2회우승아닌가요 유일한 토스 양대리그우승
19/12/24 23:15
수정 아이콘
역사적으로 손에 꼽힐정도의 위세로 무시무시하게 랭킹1위를 유지했던 삭제된 기록의 그 인간.
택신은 그 위세가 정점에 달했을때 그 인간을 개박살냈었던 기간이 저 때라 저 기록이 가치가 있는거죠. 그것도 토스로
트윈스
19/12/26 01:52
수정 아이콘
택이랑 투신은 비등비등하다고 봐도 되죠. 뱅은..
대패삼겹두루치기
19/12/24 21:01
수정 아이콘
하필 이제동에서 이영호로 무게추가 넘어갈쯤 이제동 팬질 시작해서 마음 고생했었는데...
기록으로 봐도 이영호가 너무 대단해서 그렇지 이제동도 어마어마하네요.
승률대폭상승!
19/12/24 21:14
수정 아이콘
왜 마주작이 없나 했더니

대강 조용호 자리에 마주작 넣으면 되는군요

이러면 인간계 아웃라이어는 박성준과 정명훈인가
19/12/24 21:16
수정 아이콘
이영호>게이머네요
됍늅이
19/12/24 21:27
수정 아이콘
없어진 기록 반영하면 그래도 저그 비율이 좀 오르겠군요
19/12/24 21:45
수정 아이콘
테사기네요.
2001년 11월 이전까지 따지면 임요환이 더 들어갈테니 테사기가 더욱 심해질 뿐입니다.
다레니안
19/12/25 00: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박성준이 커리어로 정말 압도적인 성적을 거뒀음에도 손스타유저들, 그것도 저그유저들에게 인정을 못 받았던게...
빌드로 앞서는게 아닌, 피지컬로 찍어누르는거라 따라할 수가 없었어요...
제가 조용호, 박태민, 마주작, 이제동, 김명운, 김민철 등의 저그유저들의 빌드덕에 실력을 키웠는데 박성준은 따라할 수가 없었어요. ㅡㅡ;
아니 저 타이밍에 들어가? 아니 저 타이밍에 싸워? 아니 저 타이밍에 멀티 안하고 걍 박어? 등등...
(결승전에서 드론 밀치기 들어가던게 아직도 생상하네요.)
따라하다가 점수만 오지게 떨궜었죠. 크크
아이러니한게 지금으로 치면 페이커 루키 더샤이가 손으로 따라할 수 없는 플레이 보여주면 열광할텐데 그 땐 "저건 저 놈만 할 수 있는 거잖아 ㅡㅡ 인정못함" 이런 분위기였어요. 크크
김택용은 못 따라해도 찬양받았는데 왜 박성준은 ㅠㅠ... (토스가 저그를 때려잡는거에 대한 통쾌함때문일지도...)
그 와중에 저 중에서 제 스타실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게 주작의 3해처리란게 참...
3해처리 운영 > 네오사우론 으로 완성되면서 스타1 접기전까지 토스전에서 자신감 없던 적이 한 번도 없었습니다. 크크
생각해보면 안정적 운영 대신 과감한 공격을 선택하는건 롤에서 킬각 잡는 것에 비교조차 하지 못할정도로 하이리스크인 플레이인데도 스1시절엔 "날빌"이라며 평가절하당했던게 아이러니하네요. 크크..
19/12/25 00:21
수정 아이콘
결국 이윤열, 최연성 양대 테란을 극복 못한게 제1원인이라고 봅니다. 마씨가 고평가 받았던것도 테란을 완벽히 밟아버린 최초의 저그이기 때문이기도 하구요.
다레니안
19/12/25 00:38
수정 아이콘
그것도 한 이유지만 박성준과 마찬가지로 이윤열을 단 한번도 이겨보지 못한(다전제에서) 조용호가 받는 평가와 비교해보면 박성준에 대한 저평가는 너무 가혹합니다. 심지어 저그유저들조차 인정을 안해줬으니까요.
이시하라사토미
19/12/25 00:59
수정 아이콘
마씨를 이기고 우승한거라... 평가가 그렇게 되긴했죠. 그리고 양대리그 결승만 4번을 갔는데 박성준은 MSL에서 커리어가 없는것도 크긴하죠.
독수리의습격
19/12/25 14:06
수정 아이콘
오히려 저그유저니까 실제 포스와는 별개로 조용호를 더 고평가 하는 편이 있고(아무래도 빌드 정립 측면에서 조용호는 저그의 아버지 격이니) 선수로서의 조용호가 박성준보다 높게 평가받는건 본 적이 없는거 같네요. 팬들한테 저그 순위를 따져봐도 이제동-(마)-박성준은 사실상 고정이었고요. 조용호는 홍진호, 박태민과 묶여서 누가 더 나은지 논란이 있는 축이죠.
가을의전설
19/12/25 19:06
수정 아이콘
이윤열은 모르겠는대 최연성은 박성준이 거의 만날때마다 이겼습니다.
그 최강포스의 최연성이 박성준만 만나면 다전제에서도 3:0으로 발리는거 보고 좀 충격먹었었죠.
예니치카
19/12/25 19:28
수정 아이콘
최연성이랑 박성준의 상대 전적은 거의 더블스코어일걸요....? 질레트배 임팩트가 커서 그렇지 뒤로 갈수록 박성준이 최연성을 거의 못 이겼을 겁니다. 신한은행배 결승에서 최연성이 셧아웃으로 이긴 것도 있구요. 박성준이 이긴 게 질레트랑 itv 결승이던가....그나마도 둘 다 셧아웃은 아니었는데, 기억에 혼동이 있으신 게 아닐까 합니다.
가을의전설
19/12/25 19:48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오래되서 기억이 가물한대...
질레트때 박성준이 이기고 그다음 itv랑 wcg였나 연달아 이겼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중 한번은 3:2 였는대 스코어만 3:2지 경기내용은 5경기 내내 처맞기만 했던 기억이 강렬하게 남았어서..
오래된 기억이라 아닐수도 있습니다.
다이어트
19/12/26 01:01
수정 아이콘
3대2가 질레트고 그 무렵의 itv 2번 이겨서 강렬하긴 하지만 그 뒤로는 최연성이 거의 이겨서 아마 상대전적 20대 13 으로 최연성이 압도할껍니다.
한걸음
19/12/26 13:51
수정 아이콘
질레트 3:2가 강렬해서 그랬지, 신한은행 결승 3:0 등 최연성이 박성준 압도했었습니다.
19/12/25 10:40
수정 아이콘
도재욱전 일꾼밀쳐서 끝내러 가던 모습 그 장면이야말로 투신 그 자체였다고 생각합니다

재앙 그 자체죠

그 박용욱이 인상을 찌푸리고 택신이 입을 쩍 벌렸으니
눈물고기
19/12/25 00:15
수정 아이콘
스타판 좀만 더 길었으면 정명훈 허영무도 한자리씩 했을거라봐요..
RapidSilver
19/12/25 09:40
수정 아이콘
저도 동의하는게 정명훈선수는 스1판 황혼기쯤엔 테테전은 이영호랑 붙어도 안질것같은 포스였고
(실제로 그때즘 이영호랑 다전제에서 정말 말도안되는 경기력으로 이겼던거 아직도 기억합니다.)
허영무선수는 큰무대에서 강했다고 생각해서 커리어 꾸준히 적립했을것같아요
좋은데이
19/12/26 01:05
수정 아이콘
스1 막바지 정명훈은 최강자포스 꽤 많이 났죠. 큰무대에서 허영무한테 두번진게 좀 컸지만..
19/12/25 00:19
수정 아이콘
강민이 1위를 한번도 못했군요..
김유라
19/12/25 02:15
수정 아이콘
이윤열 이기고 올라가려 하니까 박성준, 최연성이 빠르게 치고 올라왔죠.
꺄르르뭥미
19/12/25 00:47
수정 아이콘
마주작이 일등하던 시기에는 2위를 1위로 올려주는건가요?
메데이아
19/12/25 01:05
수정 아이콘
아뇨. 본문은 그냥 마씨의 1위 기록 구간만 없앤겁니다.
19/12/25 01:10
수정 아이콘
종밸이 들어가면 마씨는 넣는게 맞지 않나 그렇게 생각하긴 합니다만...
마그너스
19/12/25 13:43
수정 아이콘
종밸을 떠나서 그 새x는 안 넣는게 맞아요 저그 역사가 사라져도 어쩔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19/12/25 01:36
수정 아이콘
프로급에선 프로토스 구린거 맞는것같네요
미카엘
19/12/25 02: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프로토스가 힘든 게 맞긴 합니다. 타종족 상대로 잘못 꼴아박으면 복구가 제일 힘든 종족이니까요. 물론 이것도 결과론적인 얘기고.. 테란에 이영호가 없었다면 얼추 밸런스가 맞았을 겁니다.
치토스
19/12/25 06:57
수정 아이콘
너무 비약적인 얘기일수도 있지만, 테란에 이영호 없었으면 그만큼 이제동이 최소 우승 두어번은 더 했을테고 저그쪽이 좀 언밸런스하게 올라갔을것 같네요.
미카엘
19/12/25 12:28
수정 아이콘
흐흐 그럴 가능성이 충분히 높지만 육룡급 토스가 결승 매치 전에 드래곤 슬레이어 이영호에게 썰려 나갈 확률이 낮아질 거라 생각했습니다
19/12/25 03:03
수정 아이콘
마주작 이제와서 1도 의미 없지만 참 대단했었습니다.. 이윤열을 집어삼키고 온게임넷 스타리그 정상에 설때 그 순간 까지는 정말....

택신의 정의구현에 감사를 드릴 따름
the hive
19/12/25 10:35
수정 아이콘
으스트스
the hive
19/12/25 10:37
수정 아이콘
다만 케스파 랭킹의 경우 프로리그의 가점이 많았던걸로 기억합니다. 지금생각해보면 프로리그는 필요악이긴 헀지만, 그래도 편중성이 강했다 생각합니다.
19/12/25 11:47
수정 아이콘
케스파 랭킹 자체가 좀 신뢰도가 낮은 랭킹이라... 애매하긴 하네요
마스터충달
19/12/25 12:16
수정 아이콘
반대 아닌가요? 선정기준 미공개로 신뢰도 잃을 뻔 했다가 누가 역계산 해봤더니 이보다 공정한 계산이 없다고 결론 난 걸로 기억합니다.
헤나투
19/12/25 12:11
수정 아이콘
이게 초창기엔 누적랭킹으로 기억하는데, 보정을 하면 조금 달라지지않을까요?
2022300000000
19/12/25 18:24
수정 아이콘
마지막 토스 허영무는 없나요?
김오월
19/12/26 09:36
수정 아이콘
개인리그 우승은 했는데, 프로리그에서 반타작이 되나 안 되나 해서 아마 2윈가 3위가 최고일 겁니다.
그래서 실력적으론 2연속 우승보다 프로리그 잘하고 경기력도 좋지만 준우승만 쌓던 허느님 시절을 더 높게 보는 사람이 많구요.
좋은데이
19/12/25 21:04
수정 아이콘
이거 케스파랭킹 예전에 쭉 봤던거같은데 2등순위로 치면 저그 꽤 높았던걸로..
브레드
19/12/26 10:12
수정 아이콘
역시콩신의 종족...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213 [스타1] ASL9 8강 D조 김택용vs박상현(짭제동) [7] 빵pro점쟁이10172 20/04/09 10172 0
68200 [스타1] (최종) “낭만시대, 마지막 승부” 5세트 - 무아지경 [6] 나주임13977 20/04/07 13977 12
68173 [스타1] “낭만시대, 마지막 승부” 4세트 - 타이밍 [8] 나주임12282 20/04/04 12282 7
68143 [스타1] 10년 전 시대를 앞서갔던 OGN 프로그램 [12] Winterspring13850 20/04/01 13850 3
68094 [스타1] ASL 시즌9 8강 대진 [17] dong-12413 20/03/24 12413 1
68069 [스타1] “낭만시대, 마지막 승부” 3세트 - 승부사 [5] 나주임12524 20/03/21 12524 11
68068 [스타1] “낭만시대, 마지막 승부” 2세트 - 스타일리스트의 종말 나주임12093 20/03/21 12093 2
68067 [스타1] “낭만시대, 마지막 승부” 1세트 - 스타일리스트에서 올라운더로 [4] 나주임10792 20/03/21 10792 8
68037 [스타1] 질레트 더블 끝장전 PP TT ZZ [19] 빵pro점쟁이13464 20/03/18 13464 5
68024 [스타1] 공식리그 종료 이전 대회를 엑셀 파일로 정리해봤습니다 (3차 수정본) [16] 크리넥스14882 20/03/15 14882 9
68010 [스타1] 질레트 스타리그에 쓰였던 BGM의 기타커버모음 [13] 커버홀릭10723 20/03/13 10723 4
67896 [스타1] 아마추어 빨무유저가 asl 16강! [14] 아슨벵거날11979 20/02/26 11979 0
67810 [스타1] (2)Breaking Backshot 0.97 [5] 삭제됨8388 20/02/15 8388 2
67807 [스타1] 1.23.3 패치 노트 [19] dong-13698 20/02/14 13698 1
67802 [스타1] ASL 시즌 9 24강이 기존에 명시된 일정대로 열린다고 합니다. (무기한 무관중) [38] dong-12024 20/02/13 12024 1
67729 [스타1] 1.23 정전록 10주년 타임머신 (스압) [29] ELESIS12633 20/01/23 12633 5
67670 [스타1] 박성준 5:0관광 VS 3.3혁명 [85] 스톤에이지14805 20/01/09 14805 0
67668 [스타1] 탑골매치 T1 vs KT [15] Ace of Base14953 20/01/08 14953 2
67611 [스타1] 스타1 시절, 랭킹 1위를 차지했던 10명의 프로게이머들의 기록 [46] Leeka17856 19/12/24 17856 0
67582 [스타1] KBS 다큐멘터리 [더 게이머] 예고편 [13] redder17151 19/12/19 17151 0
67378 [스타1] 결승을 망친 KSL의 제작사 SPOTV게임즈 [11] 지성파크16328 19/11/30 16328 2
67171 [스타1] 2019 스타1 멸망전 시즌2 결승 [9] 빵pro점쟁이12757 19/11/20 12757 3
67099 [스타1] 이제는 추억으로 남은 ygosu(구 ygclan) 홍남봉 사건 최종 정리 2 [12] 오클랜드에이스13470 19/11/13 13470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