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04 01:17:50
Name 가스불을깜빡했다
Subject [LOL] 올해 한국의 국제대회는 대체적으로 결과가 안 좋았네요
이제까지 [매치 무패]를 이어오던 오버워치 월드컵 대표팀이 4강에서 미국에게 3:1 패배

올해 담원과 그리핀을 압도적으로 찍어눌렀던 LCK 최상의 전력 SKT도 G2에게 3:1 패배

그나마 스타크래프트2에서 박령우가 우승하기는 했는데 이것도 세랄이 미친 포스로 날뛰다가

4강전에서 레이너에게 저저전에서 고꾸라지고 그 세랄을 고꾸라트린 레이너를 저저전에서 박령우가 깔끔하게 이긴 케이스

근데 스2는 국내 신인 선수가 없다시피 해서....

도타2, 레식, CS:GO 같이 외국에서만 즐기는 게임을 제외하면 항상 압도적인 전력을 뽐내던 한국은 이제 아쉽지만 역사의 저편으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정재
19/11/04 01:19
수정 아이콘
배그월드컵도 2위..
아웃프런트
19/11/04 01:19
수정 아이콘
문..호준..있어요.. 아직 현역이에요..
가스불을깜빡했다
19/11/04 01:20
수정 아이콘
카트는 스1처럼 타국과 겨루기에는 좀 그렇지 않나요 흐흐
피카츄 배 만지기
19/11/04 01:21
수정 아이콘
롤뿐만 아니고 다른 종목에서도 우리 한국 성적이 안좋았군요.
2019년은 이스포츠 팬들에게는 아픔의 해가 되겠네요...
신예은팬
19/11/04 01: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게댓글에도 썼지만 한국이 게임잘한다는거에 예전부터

그다지 공감안가는 입장이었는데 그낭 잘하는 사람이

잘하는거지 그리고 막상 살펴보면 성적 못 내는 게임이 더 많죠
19/11/04 01:30
수정 아이콘
한국인이 많이 하는 흔히말해 인싸게임,주류게임에서 한국이 최강이 아니였던적 꼽기가 힘들겁니다. 근데 그게 달라지고 있으니까요.

성적 못내는 게임 살펴보면 한국인이 안하거나 주류가 아니죠.
신예은팬
19/11/04 01:33
수정 아이콘
근데 스타1도 우리나라만 계속 즐긴거죠

역사에 만약은 없다지만 스타도 다른 나라도

계속 했다면 어떻게 됐을지 모른다봅니다
19/11/04 01:39
수정 아이콘
굳이 스타1 얘기 하지도 않았지만 그렇게 역사의 만약에 없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면 한국인이 메이저 이스포츠에서 잘 안하는 카스나 도타같은 게임도 한국 국민게임이였다면 저는 짱먹었으리라 봅니다.

이걸 증명한게 오버워치구요.
클로로루실후르
19/11/04 08:4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성적 못 내는 게임이 더 많으면,
다른 나라는 성적 못 내는 게임이 훨씬 더 많죠.
공감의 영역을 떠나 객관적인 데이터가 압도적이었는데요.
19/11/04 01:29
수정 아이콘
철권도 한국이 주도하는 게임중 하나였는데 파키스탄으로 완벽히 넘어갔고...
다시마두장
19/11/04 03:00
수정 아이콘
크크 맞네요 사실 충격으로만 치면 이게 가장 컸던 것 같습니다.
19/11/04 01:35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도... 원래 디펜딩챔피언까지는 아닌데 [올해도] 국제전에서 잘 안 풀려서 아쉽습니다.
곰성병기
19/11/04 01:43
수정 아이콘
올해 스2는 세랄이 작년만큼 포스는 아니었습니다
서킷 gsl선수가 동시에 나온 대회에서 세랄은 타이틀하나도 못땄죠
다시마두장
19/11/04 03:02
수정 아이콘
리프트 라이벌즈에서 중국 상대로 이겼던 그 순간이 올해 중 가장 즐거웠던 순간이 돼버렸네요. ㅠ
19/11/04 08:12
수정 아이콘
옵드컵은 조별 예선에서 프랑스에도 졌습니다. 5판 3선도 아니었고 3, 4위전에서 복수했지만 전원 리거가 아닌 팀한테 진건 충격적이었습니다
샤르미에티미
19/11/04 08:2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이걸 보면 게임 못 하는 나라 아닌가 하는 생각이...우리나라만큼 가둬놓고 연습하는 곳도 없는데 말이죠. 어쨌든 대체적으로 인프라만큼 결과가 나온다고 생각해서 해외의 이스포츠 투자가 적극적인 것이 이런 상황을 불러왔다고 보네요. 우리나라는 하는 쪽만 하고 뭔가 좀 적극적으로 투자한다는 느낌은 덜 드는 것 같습니다. T1처럼 선수들에게 연봉을 많이 주는 그런 것만 갖고 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풍경화
19/11/04 11:09
수정 아이콘
투자한만큼 결국엔 따라오는게 맞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631 [기타] ESPN 2019 esports 결산 어워드 [25] 라면10586 19/12/28 10586 2
67627 [기타] 2019 개인 결산 [10] 루데온배틀마스터10424 19/12/27 10424 5
67506 [LOL] 난 이제 어떻게 되건 난 관심없다. [105] 한글날기념19430 19/12/11 19430 102
67355 [도타2] 도타 5 "Outlanders" (7.23) 업데이트 - 신영웅 추가, 중립템 추가 외 [30] Finding Joe9835 19/11/28 9835 1
67115 [기타] 어떤 뇌지컬 게임이 나와 어울릴까 [25] 루윈12350 19/11/15 12350 0
67092 [LOL] [공식]라이엇이 더블 엘리미네이션의 가능성을 일축했네요. [164] 랜슬롯11267 19/11/13 11267 0
67069 [LOL] 요새,,,내,,,동년배들,,,이정도는,,다한다,,, (심심해서 만들어본 게임플레이 영상) [9] 랜슬롯9487 19/11/12 9487 2
67051 [LOL] 롤드컵의 끝, LCK는 과연 [51] 루데온배틀마스터11311 19/11/11 11311 6
66955 [LOL] 올해 한국의 국제대회는 대체적으로 결과가 안 좋았네요 [17] 가스불을깜빡했다5889 19/11/04 5889 0
66708 [LOL] 롤드컵은 왜 더블엘리미네이션 을 도입하지 않는걸까요? [83] realcircle12745 19/10/10 12745 1
66466 [도타2] [언더로드] 새로운 시스템이 등장했습니다. [15] MirrorShield8010 19/08/31 8010 0
66071 [도타2] 언더로드 후기 및 잡다한 이야기 [53] valewalker9650 19/07/04 9650 3
66048 [기타] [번역] 24시간 챌린지: 언더로드 vs 전략적팀전투 [25] DewRas8625 19/07/01 8625 1
66030 [기타] 롤토체스랑 언더로드랑 비교하며 게임해본 후기 [39] 데로롱8953 19/06/29 8953 0
66027 [LOL] 롤토체스 오늘 오픈했습니다. [30] 월광의밤9712 19/06/29 9712 2
65980 [기타] 도타 언더로드 오픈베타 시작 [71] 얼음다리8961 19/06/21 8961 1
65941 [기타] 아티팩트를 교훈 삼아 정반대로 가고 있는 밸브의 오토체스 도타 언더로드 [32] 지부릴7508 19/06/15 7508 3
65907 [LOL] 오토체스가 그렇게 잘 나간다던데? (신규 모드 추가) [229] 스위치 메이커17766 19/06/11 17766 5
65899 [기타] <패스오브엑자일> 역시 뜰 게임은 어떻게든 뜨는거 같습니다. [60] 마빠이11178 19/06/10 11178 1
65805 [기타] 맥으로 게임라이프를 즐기면서 쓰는 잡담 [16] Leeka21639 19/05/24 21639 2
65757 [LOL] 관점의 변화가 필요할 때가 아닐까 [15] 루데온배틀마스터5604 19/05/19 5604 2
65403 [도타2] [오토체스] 퀸 기념 공략글 올립니다 [23] Rexpieta7906 19/04/05 7906 1
65124 [도타2] 도슬람에게 있어서 아티팩트와 오토체스 [66] 지부릴12926 19/02/25 1292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