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04 01:17:50
Name 가스불을깜빡했다
Subject [LOL] 올해 한국의 국제대회는 대체적으로 결과가 안 좋았네요
이제까지 [매치 무패]를 이어오던 오버워치 월드컵 대표팀이 4강에서 미국에게 3:1 패배

올해 담원과 그리핀을 압도적으로 찍어눌렀던 LCK 최상의 전력 SKT도 G2에게 3:1 패배

그나마 스타크래프트2에서 박령우가 우승하기는 했는데 이것도 세랄이 미친 포스로 날뛰다가

4강전에서 레이너에게 저저전에서 고꾸라지고 그 세랄을 고꾸라트린 레이너를 저저전에서 박령우가 깔끔하게 이긴 케이스

근데 스2는 국내 신인 선수가 없다시피 해서....

도타2, 레식, CS:GO 같이 외국에서만 즐기는 게임을 제외하면 항상 압도적인 전력을 뽐내던 한국은 이제 아쉽지만 역사의 저편으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정재
19/11/04 01:19
수정 아이콘
배그월드컵도 2위..
아웃프런트
19/11/04 01:19
수정 아이콘
문..호준..있어요.. 아직 현역이에요..
가스불을깜빡했다
19/11/04 01:20
수정 아이콘
카트는 스1처럼 타국과 겨루기에는 좀 그렇지 않나요 흐흐
피카츄 배 만지기
19/11/04 01:21
수정 아이콘
롤뿐만 아니고 다른 종목에서도 우리 한국 성적이 안좋았군요.
2019년은 이스포츠 팬들에게는 아픔의 해가 되겠네요...
신예은팬
19/11/04 01: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게댓글에도 썼지만 한국이 게임잘한다는거에 예전부터

그다지 공감안가는 입장이었는데 그낭 잘하는 사람이

잘하는거지 그리고 막상 살펴보면 성적 못 내는 게임이 더 많죠
19/11/04 01:30
수정 아이콘
한국인이 많이 하는 흔히말해 인싸게임,주류게임에서 한국이 최강이 아니였던적 꼽기가 힘들겁니다. 근데 그게 달라지고 있으니까요.

성적 못내는 게임 살펴보면 한국인이 안하거나 주류가 아니죠.
신예은팬
19/11/04 01:33
수정 아이콘
근데 스타1도 우리나라만 계속 즐긴거죠

역사에 만약은 없다지만 스타도 다른 나라도

계속 했다면 어떻게 됐을지 모른다봅니다
19/11/04 01:39
수정 아이콘
굳이 스타1 얘기 하지도 않았지만 그렇게 역사의 만약에 없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면 한국인이 메이저 이스포츠에서 잘 안하는 카스나 도타같은 게임도 한국 국민게임이였다면 저는 짱먹었으리라 봅니다.

이걸 증명한게 오버워치구요.
클로로루실후르
19/11/04 08:4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성적 못 내는 게임이 더 많으면,
다른 나라는 성적 못 내는 게임이 훨씬 더 많죠.
공감의 영역을 떠나 객관적인 데이터가 압도적이었는데요.
19/11/04 01:29
수정 아이콘
철권도 한국이 주도하는 게임중 하나였는데 파키스탄으로 완벽히 넘어갔고...
다시마두장
19/11/04 03:00
수정 아이콘
크크 맞네요 사실 충격으로만 치면 이게 가장 컸던 것 같습니다.
19/11/04 01:35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도... 원래 디펜딩챔피언까지는 아닌데 [올해도] 국제전에서 잘 안 풀려서 아쉽습니다.
곰성병기
19/11/04 01:43
수정 아이콘
올해 스2는 세랄이 작년만큼 포스는 아니었습니다
서킷 gsl선수가 동시에 나온 대회에서 세랄은 타이틀하나도 못땄죠
다시마두장
19/11/04 03:02
수정 아이콘
리프트 라이벌즈에서 중국 상대로 이겼던 그 순간이 올해 중 가장 즐거웠던 순간이 돼버렸네요. ㅠ
19/11/04 08:12
수정 아이콘
옵드컵은 조별 예선에서 프랑스에도 졌습니다. 5판 3선도 아니었고 3, 4위전에서 복수했지만 전원 리거가 아닌 팀한테 진건 충격적이었습니다
샤르미에티미
19/11/04 08:2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이걸 보면 게임 못 하는 나라 아닌가 하는 생각이...우리나라만큼 가둬놓고 연습하는 곳도 없는데 말이죠. 어쨌든 대체적으로 인프라만큼 결과가 나온다고 생각해서 해외의 이스포츠 투자가 적극적인 것이 이런 상황을 불러왔다고 보네요. 우리나라는 하는 쪽만 하고 뭔가 좀 적극적으로 투자한다는 느낌은 덜 드는 것 같습니다. T1처럼 선수들에게 연봉을 많이 주는 그런 것만 갖고 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풍경화
19/11/04 11:09
수정 아이콘
투자한만큼 결국엔 따라오는게 맞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526 [LOL] pc방 점유율 따인 기념 pc방 롤 흥행의 역사 정리 [20] 마라탕11095 23/07/09 11095 1
77077 [LOL] 올해 롤드컵에 '버추얼 패스' 도입 예정 [40] slo starer12536 23/04/21 12536 2
76520 [LOL] 김동준 해설 LCK CL로 복귀 [85] SAS Tony Parker 15561 23/01/05 15561 6
73457 [LOL] TSM은 과연 LCS 팀인가 LPL 팀인가 [42] 달은다시차오른다11023 22/01/15 11023 0
72128 [LOL] 롤할때 사용하면 좋은 추천프로그램 + 장례식에 틀 영상 [8] 랜슬롯20775 21/08/24 20775 10
71862 [LOL] 투 웨이 제도 도입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18] 두룬17808 21/07/19 17808 0
71686 [LOL] 시간 지나고 다시 본 KDA - MORE과 세라핀에 대한 감상평: 과연 그렇게 욕먹을만했는가 [57] 랜슬롯20107 21/06/26 20107 3
70923 [LOL] 과연 이스포츠에서 팀팬은 존재할 수 있을까? [184] 及時雨15053 21/02/28 15053 12
70594 [LOL] LPL 플레이오프 포맷 변경 [116] ELESIS14208 21/01/10 14208 1
70281 [LOL] 롤인벤펌)DRX 씨맥 방송 발언 정리 [39] 아츠푸18479 20/11/28 18479 4
70166 [LOL] 무지하고 무식하고 알려하지도 않고... [53] 후추통15584 20/11/19 15584 43
70088 [LOL] 현재 대천사의 지팡이에 버그가 있습니다 + 패치 방향 관련 생각 [37] 아츠푸16270 20/11/15 16270 2
68631 [LOL] 리그오브레전드 e스포츠에도 드롭스가 생깁니다 [21] 타바스코14910 20/06/04 14910 3
67606 [LOL] 워싱턴 포스트 - 베팅은 과연 성공할수 있을까? [13] 라면11632 19/12/23 11632 2
67578 [LOL] 이변의 연속인 챌린저스 코리아 승강전 [35] 비오는풍경13923 19/12/18 13923 0
67391 [LOL] 서라벌 게이밍이 2부리그에 도전합니다. +@ 러너웨이 [53] Leeka16196 19/12/02 16196 5
67371 [LOL] 라이엇의 잘 벼려진 검. 프랜차이즈. [62] 후추통11864 19/11/29 11864 3
67260 [LOL] 러너웨이가 롤팀을 창단한다고 합니다 [45] 노랑끼파랑끼13734 19/11/22 13734 7
67134 [LOL] [Dot Esports] 라이엇은 외국인 선수 영입 규정을 폐지해야 한다 [60] e평w1평qe10840 19/11/19 10840 3
66955 [LOL] 올해 한국의 국제대회는 대체적으로 결과가 안 좋았네요 [17] 가스불을깜빡했다5799 19/11/04 5799 0
66771 [LOL] 몬테와 쏘린의 서머닝 인사이트를 기억하시나요? [38] 블레이즈11637 19/10/17 11637 3
66708 [LOL] 롤드컵은 왜 더블엘리미네이션 을 도입하지 않는걸까요? [83] realcircle12550 19/10/10 12550 1
66611 [LOL] 젠지가 보내는 메세지 [79] 바람과 구름12885 19/09/23 128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