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페이커 vs 우지페이커와 우지는 '롤드컵에 같이 진출한 경우 항상 만났습니다'
13 롤드컵 - 결승에서 페이커가 이김
14 롤드컵 - 페이커 못옴
15 롤드컵 - 우지 못옴
16 롤드컵 - 8강에서 페이커가 이김
17 롤드컵 - 4강에서 페이커가 이김
18 롤드컵 - 페이커 못옴
19 롤드컵 - 16강에서 페이커가 이김
결론 : 결승, 4강, 8강, 16강 모두 페이커가 우지 이겨서 떨굼..
?!?!?
+@ 로얄클럽과 RNG는 공식적으로 다른팀이기 때문에.. 페이커&우지만 위 공식이 성립합니다...
2. 김정수, 역대 최초 코치로 4년연속 롤드컵 8강 달성.
역대 감코진중 최초로. 롤드컵에서 4년연속 8강이상 진출하는 기록을 김정수가 달성했습니다.
3. 더블리프트 & 북미 1시드.
16년 - 3승 3패 탈락
17년 - 3승 3패 탈락
18년 - 3승 3패 탈락
19년 - 3승 3패 탈락
북미 1시드&덥립의 3승 3패는 과학인가...
4. 므시 우승지역은 8강에 3팀을 보낸다?
16 MSI 우승 SKT -> 8강 LCK 3팀 -> 우승 SKT
17 MSI 우승 SKT -> 8강 LCK 3팀 -> 우승 삼성
18 MSI 우승 RNG -> 8강 LPL 3팀 -> 우승 IG
19 MSI 우승 G2 -> 8강 LEC 3팀 -> 우승 ???
작년에 중국, 올해 유럽까지 8강에 3팀을 올려보내면서, 므시 우승지역을 확실히 무시하면 안된다는걸 보여준..
이렇게 보면 볼수록 15년에 몰락한 중국이 진짜 특이한 케이스..
5. 대만 2~3시드. 2년간 0승 24패 달성
말그대로. 대만 2~3시드가 '롤드컵 본선에서 2년간 0승 24패'의 대기록을 달성했습니다.
심지어 17년은 대만 3시드가 아에 플레이인에서 3팀중 2등한 뒤, 플레이인 토너먼트에서 터키한테 져서 못왔습니다 -.-;
내년부터 대만 시드가 소멸된게 참 다행이랄까.
6. 그룹스테이지 전승팀
14 삼화, 15 SKT, 17 롱주. 이후 2년째 안나오고 있습니다.
7. 중국 1시드의 비극?
14 롤드컵 - 8강
15 롤드컵 - 16강
16 롤드컵 - 8강
17 롤드컵 - 16강
18 롤드컵 - 8강
19 롤드컵 - ?!?
중국에 티켓이 3장이 지급된 이후
중국의 1시드팀은 언제나 8강~16강 따리.. 를 유지하는 중국 1시드의 비극이 있는데요.
이번에 펀플러스는 과연?
8. 이게 2주차의 프나틱이다!
15년 -> 1주차 1승 2패, 2주차 3승 0패로 8강 진출
17년 -> 1주차 0승 3패, 2주차 4승 1패로 8강 진출 (전설의 패패패패 승승승승...)
18년 -> 1주차 2승 1패, 2주차 4승 0패로 8강 진출 (그해 디펜딩 챔피언 IG 상대로 2주차에 2번 다 이김..)
19년 -> 1주차 1승 2패, 2주차 3승 0패로 8강 진출..
프나틱은 1주차 승률이 4승 8패.. 지만 2주차는 14승 1패입니다.
?!?!?
2주차는 IG건 SKT건 뭐건 다 밀어버리는 프나틱의 2주차..